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y college Student’s and Social Anxiety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for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suggested above might have the meaning in facilitating the intervention with treatment by identifying mediators to alleviate the social anxiety. The research question for the purpose indicates as follow.

Research question : Do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hav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he study administrated online self-reported survey to nationwide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or 7 days from November first to 7th, 2021, then the complete responses of 440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or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measured in this study,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developed by Barber(1996) and validated by M.J.,Choi and E.J.,Kim(2018) was used. For rejection sensitivity measured in the study,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M.J.,Park and N.M.,Yang(2017) in Korea was used. For experiential avoidance measur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voidance Questionnaire(K-MEAQ) developed and validated by J.E.,Lee and S.E.,You was used. For social anxiety measur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developed and validated by J.Y.,Lee and J.H.,Choi(1997)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5 and AMOS 25.
The finding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show as follows.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ce avoidance had the sequential mediating on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the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thus as long as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could surpass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they could play the essential role of mediator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experienced, if not through the lowe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high experienced avoidance, the likelihood to suffer the social anxiety could decrease.
Therefore, this study implicates that for university students who could undergo social anxiety b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y examining the path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experiential avoidance the critical point of intervention for counselling might be determined. Because the twofold mediators, i.e.,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ced avoidance are problem solving-oriented and have viable attributes, would be variables with greater changeable potentiality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conclude that whe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suffer the psychological difficult due to social anxiety are counselled with, the implication on which stages could be effective to approach could be suggested.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은 사회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한 매개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치료적인 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1일부터 11월7일까지 약 7일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에 성실하게 참여한 표본 440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Barber(1996)가 개발하고 최명진, 김은정(2018)이 타당화한 심리적 통제척도(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 PCS-YSR)를 사용하였다. 거부민감성은 박명진과 양난미(2017)가 국내에서 개발 및 타당화한 거부민감성 척도(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Scale)를 사용하였다. 경험회피는 이주연, 유성은(2017)이 타당화하고 개발한 한국판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 단축형(K-MEAQ-24)을 사용하였다. 사회불안은 이정윤과 최정훈(1997)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가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므로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으로 가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상쇄시킬 만큼 강력한 매개변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경험했더라도 거부민감성을 낮추고 경험회피를 하지 않는다면 사회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해 사회불안을 겪는 대학생에 대해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로 이어지는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상담에서 중요한 개입 지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매개변인으로 작용한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는 문제 해결 지향적이고 구체적인 속성을 가지기에 개입 후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변인이다. 이를 통해 사회불안으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을 상담할 때 어떠한 순서로 접근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uthor(s)
박선영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57
Alternative Author(s)
Park Sun-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8
3. 연구 모형 9
4. 용어의 정의 10
Ⅱ. 이론적 배경 12
1. 심리적 통제 12
2. 사회불안 14
3. 거부민감성 16
4. 경험회피 18
5. 변인들 간의 관계
가.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 20
나. 심리적 통제와 거부민감성의 관계 21
다. 심리적 통제와 경험회피의 관계 22
라.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22
마.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관계 23
바.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의 관계 24
사. 심리적 통제, 거부민감성, 경험회피, 사회불안의 관계 25
Ⅲ. 연구 방법 26
1. 연구대상 및 절차 26
2. 측정도구 28
가. 심리적 통제 척도 28
나. 사회불안 척도 29
다. 거부민감성 척도 30
라. 경험회피 척도 31
3. 자료처리 및 분석 3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4
1.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34
2.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 36
3. 측정모형 검증 37
4. 구조모형 검증 41
Ⅴ. 논의 및 제언 46
1. 결과 요약 및 논의 46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9
Ⅵ. 참고문헌 51
Abstract 64
부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