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STEAM 교육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STEAM Educational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Abstract
급변하는 사회에 대응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창의ㆍ융합형 인재가 요구됨에 따라 교육부는 창의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과학(S), 기술(T), 공학(E), 예술(A), 수학(M)이 융합된‘STEAM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STEAM이 도입된 이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교수·학습활동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미술 교과가 창의적 능력 향상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미술 교과의 STEAM 교육 현황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STEAM 교육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교육 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중 11개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STEAM 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접어들면서 타 학습 영역,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와 융합방안을 다루는 연결이라는 핵심 개념이 체험의 영역으로 제시되어 연구 대상 교과서 모두 체험 영역에서 융합 내용이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융합교육 영역 분석 결과, 각 출판사별 교과서 내용이 편차가 있었으며, 교과서의 융합교육 영역의 단원이나 활동에‘융합’이 제대로 표기가 되지 않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과서 내용에서 다양한 융합 사례를 보여주지만, 이와 관련된 활동에 대한 제시가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역별 STEAM 요소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영역 편차도 크게 나타났고, 위의 결과는 STEAM 교육을 고려한 교과서 개발에 대한 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융합교육 영역 분석 결과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으로 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반영하는 만큼 융합교육 관련 단원의 비중을 일정하게 확보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창의ㆍ융합 능력을 강조하는 만큼, 융합교육 관련 내용의 단원명과 학습목표에‘융합’관련 단어가 명확히 표기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의 틀을 벗어난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여 창의성과 능동적인 사고 및 영역의 이해를 넓히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분야의 융합 방안을 모색하고 활용하기 위해 STEAM 영역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
STEAM 교육이 교과의 성취를 위함이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창의ㆍ융합형 인재 육성에 있는 만큼, 미술 과목의 부수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융합교육을 위한 교과서와 프로그램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posed ‘STEAM education,’ in which science (S), technology (T), engineering (E), art (A) and math (M) are merged,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and self-directed talents according as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capable of responding to rapidly-changing society and creating new values are required.
At this time when STEAM has been embodied in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a school education setting since its introduction and the art subject receives attention as the key to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bility, it is very important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the art subjec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how STEAM education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reby grasping the actual status of the education. Textbooks of 11 publishers among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were selected as objects of analysis, and results of analyzing them as to STEAM elements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re concept of connection, which deals with linkage to and merge with other learning domains and diverse disciplines, was presented by means of experience domain, and thus the contents of convergence were concentrated in the experience domain in all the textbooks investiga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ain of converge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ations in textbook contents according to publishers and that sometimes ‘convergence’ was not properly marked in the units or activities of convergence education domain in the textbooks.
Third,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textbooks showed various cases of convergence, the suggestion of related activities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analyzing STEAM elements by domain showed that there were also wide variations in domains according to textbook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more efforts and research are needed to develop textbooks in consideration of STEAM education.

Improvements suggested as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domain in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a fixed proportion of convergence education-related units should be secured, for the need for convergence continuously comes to the fore and is also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econd, considering that the curriculum also stresses the abilities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words related to ‘convergence’ need to be marked definitely in the unit names and learning objectives of convergence education-related contents.
Third, plans that suggest various activities breaking away from the framework of textbooks and widen creativity, active thinking, and understanding about the domain should be sought for.
Fourth, the diversity of STEAM domain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find and use methods for the convergence of diverse areas.
Given that STEAM education aims at raising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and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of improved problems-solving capability, rather than academic achievement,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art subject textbooks and programs for convergence education, beyond art subject playing a subsidiary role, will be carried out vigorously in the future.
Author(s)
김하영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71
Alternative Author(s)
Kim, Ha-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Advisor
손일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STEAM 교육의 이론적 고찰과 교육과정 3
1. STEAM 교육의 배경 3
2. STEAM 교육의 이해 6
3.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STEAM 교육 12
Ⅲ.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STEAM 교육 분석 16
1. 연구 대상 및 분석 준거 16
2. 단원 구성 분석 21
3. STEAM 요소 분석 27
4. 분석 결과 48
Ⅳ. 결론 53
참고문헌 55
Abstract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