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감정노동으로 힘들어하는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소진 현상을 줄이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설무지와 온라인 조사로 진행되었으며 모집단은 제주도 내 소재한 75개 중등교원 3,267명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소재 23개 중등학교에 근무 중인 남녀교사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3월 30일부터 4월 15일까지 약 58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총 표집수는 458부이며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12부의 설문지는 사후층화를 거쳐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이에 총 446부가 회수되었고 일부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 등을 제외한 444부의 설문지만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구글 온라인 설문지 77부와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 381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측정 도구는 Gilstrap(2005)의 연구를 근거로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석류(2014)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감정노동 척도 측정(총 10문항, 5점 Likert)의 하위영역은 표면행동(5문항), 내면행동(5문항)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마음챙김 측정은 박성현(2006)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마음챙김 척도 측정(총 20문항,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소진 측정은 Maslach와 Jackon(1981)이 개발한 Maslach Burnout Inventory(MBI)를 김두천(1995)이 번안하고, 강진아(2010)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로 사용한 5점 Likert식 소진척도(총 22문항)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SPSS 18.0을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소(표면행동, 내면행동)이 각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v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는 마음챙김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중등교사의 표면행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가설에 대한 예측을 충족했다 볼 수 있다.
셋째, 중등교사의 내면행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등교사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인 표면행동에서는 마음챙김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면행동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에서는 마음챙김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면행동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마음챙김을 통해 표면행동을 감소시키고 소진을 완화할 수 있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표면행동을 할 때 마음챙김을 하면 소진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마음챙김 프로그램이 중등교사의 마음챙김을 증진할 수 있는 심리치료 기제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길 시사한다. 마음챙김 심리치료기제가 현장에 제도적으로 마련되어 심리‧정서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들의 마음방역 예방과 소진을 줄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Jeju. Through this, the purpose was to provide data necessary to relieve the job stres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struggling with emotional labor and to reduce the burnout phenomen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Research question. Is mindfulnes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nowflakes and online surveys due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population was set at 3,267 secondary school teachers located in Jeju Islan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teachers working at 23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Jeju. Data collection took about 58 days from March 30 to April 15, 2022, and the total collection was 458 copies, and 12 questionnaires with unfaithful or erroneous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fter post-stratification. A total of 446 copies were recovered, and only 44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some non-response and unfaithful responses. The measurement tool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77 Google online questionnaires and 381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urvey questions.
The measurement tool used the scale used by pomegranate (2014) for secondary teachers based on the study of Gilstrap (2005). The sub-area of emotional labor scale measurement (10 questions in total, 5 Likert) consists of two sub-factors: surface behavior (5 questions) and inner behavior (5 questions), and mindfulness measurement developed and validated by Park Sung-hyun (2006) was used. And for burnout measurement, Kim Doo-cheon (1995) developed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on (1981), and a 5-point Likert burnout scale (22 questions in total) used by Kang Jin-ah (2010) as a questionnair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used.
SPSS 18.0 was used as a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effect of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surface behavior and inner behavior) on burnout, and a Sou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mindful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mindfulnes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behavior and burnou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seen that the prediction of the hypothesis has been me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behavior and burnou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mindfulness had no mediating effec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indfulness was acting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burnout due to emotional labor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because it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or in surface behavior, a sub-variable of emotional labor. In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inner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burnout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it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surface behavior and alleviating burnout through mindfulness than in increasing inner behavio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empirically verified that mindfulness can reduce burnout when performing surface behavior. It also suggests that the mindfulness program in the school field will help to use it as a psychological treatment mechanism that can enhance the mindfulness of secondary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psychotherapy mechanism for mindfulness will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on the site, whic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mental quarantine and reducing burnout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ve been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exhausted.
Author(s)
양복심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79
Alternative Author(s)
Yang Bok C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7
3. 연구모형 8
4. 용어의 정의 9
가. 감정노동 9
나. 소진 9
다. 마음챙김 9
Ⅱ. 이론적 배경 11
1. 감정노동 11
가. 감정노동의 개념 11
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12
다. 중등교사의 감정노동 13
2. 소진 15
가. 소진의 개념 15
나. 소진의 하위요인 16
다. 중등교사의 소진 17
3. 마음챙김 19
가. 마음챙김의 개념 19
나. 중등교사의 마음챙김 21
4.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 22
가. 감정노동과 소진 22
나. 마음챙김과 소진 23
다. 마음챙김과 감정노동 23
라. 감정노동과 소진 및 마음챙김의 관계 24- v -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절차 27
3. 자료처리 및 분석 28
4. 측정도구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2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3
3. 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34
Ⅴ. 결론 및 제언 41
Ⅵ. 참고문헌 49
Abstract 61
부록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