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성인의 소비가치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및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ealth Functional Food by Consumption value of Adul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 대상자의 건강관련사항,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섭취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에 거주 중인 성인 346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4일부터 4월 27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46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총 30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 Program (ver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내용별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군집분석, χ2-test,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성별은 여자 59.8%, 남자 40.2%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가 22.3%로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64.5%, 현재 거주형태는 자택 90.4%, 가구 형태는 4인 이상 가족 42.2%, 직업은 전문직이 29.6%, 월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관련 사항은 음주 빈도는 한 달에 2-4번 30.6%, 흡연 여부는 피우지 않는 대상이 79.1%, 하루 취침 시간은 5-7시간 미만이 68.1%, 일상생활 스트레스 정도는 조금 느끼는 편 56.8%, 건강 관심 정도는 ‘보통이다’가 51.5%, 자신의 건강 상태 정도는 ‘보통이다’가 5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의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5개의 요인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군집 1은 상황적, 사회적, 감정적, 인지적 소비가치가 높게 나타나 고관심가치집단, 군집 2는 군집 1에 비해 상황적, 사회적, 감정적, 인지적 소비가치가 낮게 나타나 저관심가치집단 이라고 명명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따른 일반사항을 분석한 결과, 성별(p<.001), 연령(p<.001), 최종학력(p<.05), 현재 거주형태(p<.001), 가구 형태(p<.05), 직업(p<.001), 월 소득(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조사대상의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에 있어서는 건강기능식품 홍보 또는 교육 경험의 경우 ‘있다’의 비율이 저관심가치집단(6.9%)에 비해 고관심가치집단(23.1%)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건강기능식품 섭취 후 효과는 ‘효과 있다’의 비율이 고관심가치집단(71.9%)에서 높았고, 저관심가치집단(52.9%)에서 ‘잘 모르겠다’의 비율이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다섯째, 조사대상의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품목별 섭취 빈 도에 대해서는 홍삼의 경우 고관심가치집단에서 매일 섭취하는 비율(32.2%)이 높았 고, 저관심가치집단에서 섭취하지 않는 비율(63.7%)이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프로바이오틱스의 경우 저관심가치집단에서 매일 섭취하는 비율이 43.1%로 유의적 으로 높았다(p<.05).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품목별 1회 구매가 격에 있어서는 홍삼의 경우 고관심가치집단에서 20만원 이상인 비율(7.5%)이 높았고, 저관심가치집단에서 구매하지 않는 비율(67.6%)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는 제품성분 4.60점 (5점 만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실제효능 여부(4.59), 제품의 과학적 자료(4.48), 섭취와 휴대의 간편성(4.23), 제품의 브랜드(3.69), 향(3.66), 맛(3.61), 광고 여부(3.14) 순으로 나타났다. 선택속성 전체의 경우 고관심가치집단(4.06)이 저관심가치집단(3.89)에 비해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조사대상의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있어서 2개의 군집이 추출되었고 군집별로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에 차이를 보여 이를 고려한 건강기능식품 홍보 또는 교육자료 개발 등 소비자들의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섭취를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따른 선택속성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고관심가치집단과 저관심가치집단이 맛, 제품의 브랜드, 광고 여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건강기능식품업계는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는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takes by consumption value and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 of 346 adults in Jeju surveyed from April 4 to April 27, 2022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consumers to seek the ways of properly consum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A total of 301 questionnaires out of 346 were used as base data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luste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χ2-test, t-test, ANOVA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sio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included for male 40.2% and female 59.8%, and aged in 20s 22.3%, the university graduates 64.5%, 90.4% own house, household type 42.2% household with more than four people, specialized occupations 29.6%, average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to 3 million won 40.9% showed a high proportion.
Second, regarding the highest portion among the items that are related to health, 2-4 times in drinking frequency per month accounted for 30.6%, those who do not smoke accounted for 79.1%, those who have a bedtime of less than 5-7 hours a day accounted for 68.1%, those who feel light stress in daily life accounted for 56.8%, those who have a ‘normal interest’ in their own health status accounted for 51.5%, and those who think of ‘normal' for their own health status accounted for 58.1%.
Third, five factors were derived for the consumption value of those surveyed, a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subject were divided into 2 groups by cluster analysis: high interest value group, low interest value group. regarding a result of general matters according to health functional food consumption valu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001), age (p<.001), educational background (p<.05), household type (p<.001), Type of residence (p<.05), job (p<.001) and average monthly incomeand (p<.05).
Fourth, regarding a result of intake status analysis according to health functional food consumption value, the rate of 'h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interest value group (23.1%) than in the low interest value group (6.9%) (p<.001). in the case of health functional food promotion or educational experience. In addition, regarding the effect after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 the rate of ‘effective’ was high in the high interest value group (71.9%) and the rate of ‘not sure’ was high in the low interest value group (52.9%),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1).
Fifth, rega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by health functional food items for the functional food consumption value, the high interest value group exhibited a high rate (32.2%) of daily intake of Red Ginseng and low interest value group exhibited a high rate (63.7%) of not taking the Red Ginseng,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1). The rate of daily intake of probiotics in the low interest value group accounted for 43.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 (p<.05). Regarding the one-time purchase price of health functional food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value, the rate of purchasing Red Ginseng more than 200 thousand was high (7.5%) in the high interest value group and the rate of not purchasing was high (67.6%) in the low interest value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 .001).
Sixth,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of health functional food selection attributes, ingredient of product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60 (out of 5), and actual efficacy (4.59), scientific data (4.48), ease of intake and carrying (4.23), brand (3.69), fragrance (3.66), taste (3.61), advertisement (3.14) for the specific product. The entire selection attributes exhibited higher in the high interest value group (4.06) than in the low interest value group (3.89),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wo clusters were extracted from the consumption value of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survey subjects, and the actual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 revealed a difference between clus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measures to ensure the correct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 by consumers, such as the promo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that. Moreover, even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value of health functional foo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hibited between the high interest value group and the low interest value group in taste, product brand, and advertisement.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y needs to develop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by reflecting those results.
Author(s)
한지수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80
Alternative Author(s)
Han, Ji-S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건강기능식품 3
2. 소비가치 4
3. 선택속성 5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조사대상 및 기간 7
2. 조사내용 및 방법 7
3. 자료의 분석 및 통계처리 9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0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사항 10
2. 조사 대상자의 건강관련사항 12
3.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 14
4.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19
5.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63
Ⅴ. 결론 및 제언 65
Ⅵ. 참고문헌 68
Abstract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