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지역 문화예술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Arts Spaces :Focusing on Culture and Arts Centers in Jeju
Abstract
오늘날 우리 사회는 경제성장과 함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으며 더이상 문화예술이 순수예술과 대척적인 관계가 아니라 인간의 삶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인 개념으로 확장됨에 따라 지방정부에서도 문화정책이 중요한 분야로 지속해서 대두되어왔다. ‘1지자체 1문예회관’ 정책으로 문예회관의 양적 성장을 이루었고 제주 지역에도 1988년 제주문화진흥원 개관을 시작으로 2014년 서귀포예술의전당, 2010년 아트센터가 개관하여 총 3개의 문예회관이 운영되고 있다. 문예회관은 문화 향유 기회 제공, 주민들의 문화예술 창조 활동과 그 발표의 장을 제공하는 문화예술공간이기에 각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시설로써 중요한 역할이 되며 양적성장을 이룬 시점에서 질적성장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문예회관의 활성화 요인을 구성하고 요인별 중요도와 우선순위 도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먼저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주 지역의 문화를 살펴보고 문예회관 활성화 요인을 4개의 상위요인과 13개의 하위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30명의 문예회관 종사자, 전문 예술가, 기획자를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AHP기법을 이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요인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결과는 운영조직(35.6%)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재원조성(27.5%), 프로그램(22.0%), 마케팅(14.9%)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위요인을 반영한 하위요인에 대한 종합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결과는 공공재원, 운영주체, 전문인력, 기획프로그램, 운영시설, 민간재원, 홍보전략, 사업수익, 문화예술교육, 대관프로그램, 제품관리, 고객관리, 가격전략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요인별 중요도 평가결과는 모든 하위요인의 중요도가 종합 평가결과 중요 0.792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 문예회관 활성화 요인은 모두 중요도가 높으며 상대적 중요도로만 판단해 다른 요인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내 문예회관의 운영 활성화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활성화 요인을 정리한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 지역 문예회관 활성화 요인 우선순위를 의견에서 멈추는 게 아니라, 통계된 제주 지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제주도 내 문예회관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제주 지역의 문예회관 운영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개선되어야 할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AHP를 통한 활성화 요인 우선순위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 중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활성화 요인에 있어서 지역 문예회관의 모든 특징을 나타내지 못하며 설문 응답자가 대부분 제주 지역 거주자임을 고려해 결과에 주관적인 평가가 반영될 수 있다는 점, 민간 문화예술공간 활성화를 위한 표본으로서는 적절하지 않다는 점과 문예회관을 방문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활성화 요인으로 작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나타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oday, our society becomes increasingly interested in culture and arts with economic growth, and cultural policy has continued to emerge as an important field in local governments as culture and arts no longer have an antipodal relationship with pure art but an integrated concept for human life. Along with the policy of "1 Local Government 1 Culture and Art Center",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ulture and art center has been achieved, and a total of three culture and art centers have been operated in Jeju, starting with the opening of the Jeju Culture & Art Center followed by the Art Center in 2010 and the Seogwipo Arts Center in 2014. As the culture and art center is a cultural and artistic space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joyment and residents with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and presentations,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cultural facility representing each region, and qualitative growth is presented at the time of quantitative growth.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activation factors of the culture and center and deriv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ach factor.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e of the Jeju region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preceding studies, derived four top factors and 13 sub-factors, and based on this, an AHP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0 culture and art center workers, professional artists, and planners.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AHP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top factors showed that the operating institution (35.6%)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funding (27.5%), programs (22.0%), and marketing (14.9%).
Second,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importance and priority analysis of sub-factors reflecting top factors were in the order of public resources, operating entities, professionals, planning programs, operating facilities, private resources, public relations strategies, business profits, culture and art education, rental programs, product management, customer management, and price strategies.
Third, the importance assessment result for each factor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all sub-factors was higher than the importance of 0.792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It is understood that all the factors for activating local culture and art center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of high importance, and other factors should not be overlooked by judging only the relative importance.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organized the activation factor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o revitalize the operation of the culture and art centers in Jeju Island. Second, this study was not satisfied with the opinions for the priority of activating the local culture and art centers but figured out the priority of the Jeju area‘s statistic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culture and art center in Jeju Island allows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the culture and art centers in Jeju Island and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to be improved.
Second, short-term and mid-term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iority of activation factors through AHP.
However,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does not show all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 centers, and the results can be subjectively assessed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are the residents of Jeju, and it is not appropriate as a sample for revitalizing private culture and art space, and it may not act as an activation factor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umers visiting the culture and art centers,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conducted in future studies.
Author(s)
김다은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936
Alternative Author(s)
Kim, Da E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Advisor
박설우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II. 이론적 배경 4
1. 문화예술공간의 정의 및 특성 4
1) 문화예술공간의 개념 및 기능 4
2) 문화예술공간의 분류 6
3) 문예회관 개념 및 구조 10
2. 지역 문예회관 현황 분석 17
1) 제주 현황 17
(1) 제주 지역 현황 17
가) 지리적환경 17
나) 문화자원 현황 18
다) 문화정책 25
라) 문화수요 분석 27
(2) 제주도 내 문예회관 현황 31
가) 제주도문예회관 31
나) 제주아트센터 38
다) 서귀포예술의전당 43
2) 도외 지역 운영 사례분석 47
(1) 함안문예회관 47
(2) 세종문화회관 48
(3) 경남문예회관 49
3) 시사점 51
3. 지역 문예회관 활성화 요인 53
1) 운영조직 55
2) 재원 조성 60
3) 프로그램 62
4) 마케팅 65
III. 연구조사방법 70
1. AHP 분석의 개요 70
2. 평가 대안 72
3. AHP 구조 및 평가항목 73
4. AHP 분석 결과 76
VI. 결 론 82
참 고 문 헌 85
Abstract 91
부록 9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Culture and Arts Manage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