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의 학습상담 호소문제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Adolescents’ Learning Counseling Appealed Issue Using Text Mining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학습상담 호소문제를 분석하는 데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급에 따른 내담자별 학습상담 호소문제는 어떠한가? 둘째, 내담자에 따른 학교급별 학습상담 호소문제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상담’, ‘학업상담’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웹상의 자료, 첨부 파일과 논문, 단행본 등의 텍스트 자료를 편의표집하였다. 본 연구에 적합한 406건의 자료가 분석 자료로 선정되고, 수집된 텍스트는 R 프로그램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인 KoNLP와 NIADic를 활용 하여 키워드분포, 토픽모델링, 오즈비 그리고 문장분석 방식으로 정리되었다.
텍스트마이닝으로 학습상담 호소문제를 분석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의 공통점은 학습, 진로, 친 구 관계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초등학생은 ‘진로’, ‘엄마’, ‘친구 관계’로 나타났는데 이는 초등학생이 엄마에 의해 학습상담을 하거나 엄마에게 인정받으려고 공부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친 구 관계에 대한 어려움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중학생은 ‘공부’, ‘성적’, ‘진로’, ‘친구’, ‘자신’, ‘엄마’, ‘생각’ 순이며 고등학생은 ‘공부’, ‘성적’, ‘생각’, ‘진로’, ‘엄마’, ‘친구’, ‘자신’ 순으로 추 출되었는데 두 집단에서 상위 7위 안에 유사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고등학 생은 중학생보다 ‘공부’ 키워드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자살과 자해의 키워드가 타 학교급보다 다 수 출현하여 학업적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초·중학생 학부모는 ‘공부’, 고등학생의 학부모에서 ‘성적’ 키워드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중학생의 학부모는 공부를 강조하고, 고등학 생 학부모는 공부의 결과인 성적을 자녀에게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중학생의 학부모 가 학습의 과정인 공부를 강조하고, 고등학생 학부모가 공부의 결과인 성적을 자녀에게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청소년의 학습상담에서 학생과 학부모 호소문제를 정리하면,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1위는 ‘공부’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엄마’가 2위로 나타났으며 학습상담에서 엄마 관련 문제를 호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공부’, ‘성적’, ‘엄마’, ‘진로’ 순으로 나타나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습상담 호소문제가 유사함을 보인다. 한편, 초등학생 학부모 학습상담 호소 문제 상위 1위와 2위는 ‘진로’와 ‘아이’로 나타나 자녀의 미래에 대하여 학습상담을 호소하는 것으 로 해석된다. 중학생 학부모는 공부와 성적, 고등학생 학부모는 성적과 공부로 그 순위는 다르나 유사한 호소문제를 보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학습결과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성적과 관련된 청소년의 고민은 학부모와의 갈등으로 이어져 학업 소진과 극단적 생각을 일 으키는 학습상담 호소문제로 이어진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습상담의 실제 사례로 초·중·고등학생의 학습상담 호소문제를 분석하여 학 생과 학부모의 학습상담 호소문제를 체계적으로 상세하게 확인한 데 있다. 특히 학교급별·학습대상 자별 학습상담 호소문제의 비중을 분석한 것은 학생과 학부모 대상으로 한 실제 학습상담 장면에 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들이 풍부하지 않고 학교급별 분포 가 고르지 못한 것은 이 연구가 갖는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나 키워드 중심으로 이루어지 는 텍스트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문장분석을 수행한 것은 기존 연구와 차별된 영역에서 이 연 구를 좋게 만드는 요인이며, 이 연구의 기여가 작지 않음을 보여주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olescents’ learning counseling appeal issue using text mining. The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dolescents’ learning counseling appeal issues are there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ir schools? Second, what adolescents’ learning counseling appeal issues in terms of their school level are there depending on each client?
Specifically focusing on key words such as learning counseling, academic counseling, text data was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the internet, references, research papers. 406 ca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hich went through keyword distribution, topic modeling, odds ratio, and sentence analysis using the KoNLP and NIADic which are Korean morpheme analysis module of R program.
Though text mining, there were significant commonalities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in terms of learning, career, and friendship. If we look into the results by their level of schoo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only mention about career or their moms. And they come to counseling by their mother’s decision or study in order to get approved by their mom. They also express difficulty about friendship.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talk about studying, grades, career, friends, themselves, mom, thoughts, and high school students talk about studying, grades, thoughts, career, mom, friends, themselves, in the order of frequency. Likewise, they share the same top 7 keywords. Compa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more frequently show the keyword related to studying, and show more frequency in keywords such as suicide, self-harm compared to other school level students, which means that they have more academic related stres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arents, ‘studying’ was referred the most, while parents with high school student child talk about ‘grades’ the most. Simply put,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emphasize studying, while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emphasize grades which is the result of studying. This implies that par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lines the process of learning: studying, while those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cores the result of studying: grades to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the appeal issues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in terms of adolescents learning counseling are as follows. The top frequently mentioned keyword of all levels of students is ‘studying.’ Elementary students especially appeal issues related to their mom in learning counseling as they frequently mention problems related to their mom.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grades’, ‘mom’, and ‘career’ are mentioned the most in the order of frequency. It infers that the learning counseling appeal issue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similar. In the meantime,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l issues are ‘career’ and ‘children’, which shows that those parents have appeal issues related to their children’s future. Parents with middle school student child and with high school student child each mention ‘studying’, and ‘grades’ and ‘grades’ and ‘studying’ in frequency order, which shows difference in its’ frequency, but still share the same appeal issues. Furthermore, adolescent’s apeal issues related to grades leads to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consequently ending up in learning counseling appral issues such as, loss in academic will and extreme thoughts.
This research has meaning in that it confirmed the student’s and parent’s learning counseling appealing problem by analyzing the learning counseling appealing problem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ctual cases. Specifically, systematic analysis of learning counseling appeal issues of both students and parents also offers basic data that is essential for students and parents learning counseling. The utilized data in this research might not be enough and the distribution of school levels might not be even. Despite such limitations, the research conducted sentence analysis to overcome the keyword-based text analysis. Such approa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preceding research, thus shows the significance of it.
Author(s)
현용찬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927
Alternative Author(s)
Hyun, Yong-Ch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가. 학습상담 호소문제 6
나. 청소년 7
II. 이론적 배경 9
1. 학습상담 9
가. 학습 9
나. 학습동기 18
다. 학습유형 21
라. 학습상담 23
2. 텍스트마이닝과 연구윤리 27
가. 텍스트마이닝 28
나. 데이터 활용 연구윤리 32
III. 연구방법 35
1. 연구도구 35
2. 연구대상 35
3. 연구절차 37
가. 분석 준비 37
나. 키워드 빈도분석과 시각화 40
다. 토픽모델링(LDA) 41
라. 오즈비(odds ratio) 44
마. 중심문장 찾기 46
IV. 연구결과 47
1. 자료수집 결과 47
2. 학교급에 따른 내담자별 학습상담 호소문제 48
가.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학습상담 호소문제 49
나. 중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학습상담 호소문제 65
다. 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학습상담 호소문제 80
3. 내담자에 따른 학교급별 학습상담 호소문제 96
가. 학생 키워드 비교분석 96
나. 학부모 키워드 비교분석 97
V. 결론 및 논의 99
1. 결론 99
가. 학교급에 따른 내담자별 학습상담 호소문제 99
나. 내담자에 따른 학교급별 학습상담 호소문제 101
2. 제언 105
참고문헌 107
Abstract 125
부 록 12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