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국가의 한라산 인식과 이용·관리에 대한 변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State's Perception and Management of Halla Mountain
Abstract
한라산은 명산(名山)이자 영산(靈山)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가치를 규명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연구 활동은 부족했다. 특히 그동안 한라산 연구가 조선시대에 편중되면서 탐라시대, 일제강점기 등 다른 시기의 한라산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드물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탐라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관점에서 한라산 인식, 그리고 이용·관리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한라산 가치, 정체성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는 한라산과 국가와의 바람직한 관계설정을 모색하기 위한 기본 연구이기도 하다.
연구 결과 한라산 ‘인식’에 대한 변천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탐라시대는 신비스럽고 경외한 산 자체를 신격화한, 그러면서 초자연적인 자연신으로 한라산을 숭배했다. 중요한 삶의 거점으로서 생존에 필요한 일체의 것을 제공받았다. 또한 농경, 선박운항에 가장 중요한 비바람 등을 관장한다고 여기는 한라산의 산신, 천신을 향해서 제사를 지냈다.
한라산은 고려시대부터 진산(鎭山)의 의미가 싹트기 시작해서 조선시대에 와서는 유교적 제례를 통해 진산으로서의 성격이 굳어졌다. 진산은 제사의 대상이자 장소로서의 기능, 방어기지로서의 기능, 그리고 풍수지리설에서 나오는 주산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조정에서는 홍수와 가뭄, 전염병 등의 재앙을 막거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진산에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 한라산은 진산의 역할과 더불어 전설 속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라는 의미가 더해지면서 조정의 인식에 영향을 미쳤고, 제례에 반영될 만큼 특징적인 요소가 됐다.
이러한 제사가 조선 초기에는 드문드문 거행되다가 중기를 지나서야 한라산 산신제가 보다 비중 있고 정기적으로 치러졌다. 이는 지역을 진호하는 진산에서 명산, 삼신산의 의미가 더해지면서 한라산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점차 증대된 것과 맥을 같이했다고 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한라산의 신적 표상이 소거되고 자원의 개발과 독점적 이용, 국유권의 강화와 통제 등을 통한 이익추구 대상으로 객체화(客體化)했다. 식민지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조선총독부는 한라산에 대한 국유화를 강력하게 추진해 소유권이 공고하게 정립되었다.
해방이후 한라산은 닫힌 공간에서 열린 공간으로 전환되면서 수익과 편의성 차원의 케이블카건설, 도로개설 등의 개발 압력이 높아졌다. 하지만 한라산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독특한 생태계 등을 인정받아 보호구역 지정이 먼저 이뤄졌는데 일제강점기 한라산에 대한 인식이 ‘사물적 대상’에서 해방이후 ‘보호와 보전의 대상’으로 변화한 것이다. 이런 인식의 변화는 국립공원 지정으로 표현됐다.
국가의 한라산 ‘이용·관리’에서는 다음과 같이 시대 흐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탐라시대 전통적인 수렵채취의 공간이었던 한라산은 중국 원나라의 지배를 받으면서 목장 제도가 이입됐으며 선박건조 등을 위해 산림이 대대적으로 벌채됐다.
조선시대에는 한라산 공간구조에 커다란 변동이 발생했다. 국영 목마장의 경계에 석축을 함으로써 보편적인 공간이 특수한 장소로 변했다. 시각적인 경계인 돌담이 생성되면서 국가 소유 영역이라는 인식도 동반해서 발생했다. 목장 축조는 또한 이동, 출입의 자유가 통제되고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 같은 구획획정은 일제강점기로 이어져 한라산 국유지를 확정하는 근거로 작용했다.
조선시대 한라산은 공물 진상을 위한 사냥터이기도 했는데, 이는 군사훈련을 겸한 성격이었다. 고정적인 사냥터를 운영함으로써 공간을 점유하고 자원을 획득하는 형태를 동시에 보여줬다. 한라산에서 희귀 산림자원 확보를 위해 일정 구역을 통제했으며 화전을 일부 허용해 세수의 수단으로 삼았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국유림 사업계획을 세워서 산림 자원을 독점적으로 확보했다. 한라산 국유림 보호라는 명목아래 도민들의 산림이용을 통제했으며, 이는 국유림 자체의 보호보다는 독점적으로 국유림을 이용하고 관리한 것을 의미했다. 한라산 희귀수목 채취는 물론이고 남측 원시림 지대에 대해 버섯재배를 집중적으로 허용해 임대수익을 얻었다.
해방이후 한라산 이용·관리는 국가를 대표하는 자연경관으로 국립공원을 지정해 관광, 휴양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자연경관의 상품화를 지향했다. 또한 한라산이 백두산과 더불어 국토 통일의 상징 이미지로 확산된 것은 국가의 이용·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양상이다. 남·북 정상이 한라산과 백두산의 물과 흙을 하나로 합치는 정치이벤트는 한라산을 국토 강역의 대표적인 이미지이자 통일의 상징으로 여기게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국가의 한라산 인식은 토착신, 자연신에서 출발해 진산, 삼신산의 의미가 더해졌으며 일제강점기를 맞아서는 신(神)격이 제거되고 사물적 대상으로 인식됐으며 해방이후에는 보호, 보존적 대상이 됐다. 인식의 표현방식으로는 한라산이 국가 제사로 모셔지다가 개발의 대상이 되었으며 국유화 정립을 거쳐 해방이후 보호구역으로 전개됐다. 한라산 이용·관리는 국가 운용을 위한 자원채취, 개발에서 통일의 상징적 대표 장소로 변모했다.
이 연구는 국가와의 관계에서 한라산을 수동적, 피동적인 타자(他者)적 존재로 고찰했다. 시대별 흐름을 보면 한라산 위상이 고정불변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기에 앞으로 변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예측해볼 수 있다. 향후 한라산 자체가 주체적 존재로서 분석하는 연구와 정책이 진행돼야할 것이고, 이를 통해 한라산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 보다 다양해지고 ‘산 연구’ 지평이 더욱 확대되길 기대한다.| Halla Mountain is recognized as a famous mountain and a spiritual mountain, but research activities to identify values, give meanings, and present theoretical grounds have been lacking. In particular, as research on Halla Mountain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Joseon Dynasty, discussions on the status and role of Halla Mountain in other periods, such as the Tamra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en rare.
In order to find the value and identity of Halla Mountain, this study examined Halla Mountain's perception and management aspects from the State perspective from the Tamra era to the present. This is to seek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Halla Mountain and the Stat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nge in perception of Halla Mountain was as follows. During the Tamra era, Halla Mountain was worshiped as a supernatural god. As an important base of life, the mountain was provided with everything necessary for survival. In addition, ancestral rites were held for the mountain god and heavenly god of Halla Mountain, who oversee rain and wind, which are most important for farming and ship navig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Halla Mountain was characterized as Jinsan: a mountain that protected the region. Halla Mountain performed the function as an object and place of ancestral rites, as a defense base, and as a key mountain in feng shui theory. In the royal court, ancestral rites were held on the guardian mountain to prevent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and epidemics, or to pray for fertility. In the Joseon Dynasty, Halla Mountain influenced perception as it added the meaning of being one of Samsinsan; three divine mountains in the legend where immortals live, along with the role of Jinsan, and it became a characteristic element enough to be reflected in ancestral rites.
These ancestral rites were held sparse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after the middle period, the Halla Mountain ancestral rites became more important and held on a regular basis. This can be seen as the fact that the national interest in Halla Mountain gradually increased as the meaning of Halla Mounta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alla Mountain's divine representation was removed, and it was objectified as a target for profit pursuit through resource development, exclusive use, and strengthening and control of national ownership.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colon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trongly promoted the nationalization of Halla Mountain, and ownership was firmly established.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Halla Mountain was transformed from a closed space to an open space, and development pressures such as cable car construction and road construction increased for profit and convenience.
However, Halla Mountain was designated as a protected area first in recognition of its beautiful natural scenery and unique ecosystem. The perception of Halla Mounta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anged from 'a material object' to ‘an object of protection and preservation' after the liberation. This change in perception was expressed in the designation of a national park.
In the State’s management of Halla Mountain, different aspect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s follows. Halla Mountain, which had been a traditional hunting and gathering place in the Tamra era, was under the rule of the Chinese Yuan Dynasty, and the ranch system was imported, and the forest was extensively cut down for shipbuild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great changes occurred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alla Mountain. A universal space was transformed into a special place by building stones on the border of the state-run horse ranch. With the creation of the stone wall, a visual boundary, the perception that it is a state-owned territory also occurred. Building a ranch also meant that freedom of movement, entry and exit was controlled and restricted. This division of land continu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served as the basis to determine Halla Mountain’s state-owned 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Halla Mountain was also a hunting ground to secure tributes to the court, which also served as military training. The Dynasty could occupy the space and acquire the resources at the same time by operating a fixed hunting ground. In Halla Mountain, certain areas were controlled to secure rare forest resources, and slash-and-burn fields were allowed in some areas to be used as a means for securing revenu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xclusively secured forest resources by establishing a national forest business plan.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ng the Halla Mountain National Forest, the use of the forest by provincial residents was controlled, which meant that the national forest was exclusively used and managed rather than protected. In addition to collecting rare trees in Halla Mountain, the Dynasty earned rental income by intensively allowing cultivation of mushrooms in the primeval forest.
After the liberation, the management of Halla Mountain aimed to commercialize the natural landscape by designating as a national park representing natural landscape of the country and utilizing it as a space for tourism and recreation. In addition, the spread of Halla Mountain and Baekdu Mountain as a symbol image of national territorial unification is a new aspect in the State's management. The political event of the summits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merged the water and soil of Halla Mountain and Baekdu Mountain into one, regarded Halla Mountain as a representative image of national territory and a symbol of unification.
In conclusion, the national perception of Halla Mountain started from an indigenous god and nature god, and added the meaning of Jinsan and Samshinsan. After the liberation, it became an object of protection and preservation. As for the expression of perception, Halla Mountain was enshrined as a national ancestral rite, then became a target for development, and after nationalization was established, it was designated as a protected area after the liberation. The management of Halla Mountain has changed from resource collection and development for the state to a symbolic representative place for unification.
This study considered Halla Mountain as a passive and passive other being in relation to the state. Looking at the flow of each era, we can see that the status of Halla Mountain is not fixed and unchanging, so we can predic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future. In times to come, research and policies that analyze Halla Mountain itself as a subjective entity should be conducted, an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humanities approach to Halla Mountain will become more diverse and the horizon of mountain research will be further expanded.
Author(s)
임재영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999
Alternative Author(s)
Im, Jae-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리교육전공
Advisor
오상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2. 연구방법 및 범위 5
1) 연구방법 5
2) 연구범위 7
3. 선행 연구 검토 및 논문 구성 13
1) 선행 연구 13
2) 논문 구성 17
Ⅱ. 탐라-고려시대 한라산 인식과 이용관리 19
1. 고대 국가의 산 인식 19
1) 산 인식 19
2) 인식의 표현: 제사의례 20
2. 탐라시대 한라산 인식 24
1) 탐라의 성립과 전개 24
2) 한라산 인식 28
3) 인식의 표현: 제사의례 33
3. 고려시대 한라산 인식 39
1) 산 인식 39
2) 인식의 표현: 제사의례 40
3) 한라산 인식과 표현 41
4. 한라산 이용관리 44
1) 목마장 44
2) 사냥 49
3) 목재 51
Ⅲ. 조선시대 한라산 인식과 이용관리 55
1. 한라산 인식 55
1) 진산 55
2) 삼신산 59
2. 인식의 표현: 산신제 62
1) 제사의례 변화 62
2) 한라산 산신제 65
3. 한라산 이용관리 77
1) 국영 목마장 77
2) 사냥 86
3) 목재 91
4) 화전 93
Ⅳ. 일제강점기 한라산 인식과 이용관리 96
1. 한라산 인식 96
1) 산 인식 96
2) 인식의 표현: 소유권 강화 98
2. 한라산 이용관리 109
1) 자원남벌과 조림갱신 109
2) 인위적 개발, 표고버섯 120
3) 국영 목마장의 쇠퇴 123
Ⅴ. 해방이후 한라산 인식과 이용관리 128
1. 한라산 인식 128
1) 산 인식 128
2) 인식의 표현: 보호구역 지정 129
2. 한라산 이용관리 141
1) 자연경관의 상품화 141
2) 국토 및 통일의 상징이미지 145
3) 관리의 체계화, 세계화 149
Ⅵ. 결론 및 제언 155
1. 요약 및 결론 155
2. 제언 159
참고문헌 160
Abstract 170
감사의 글 174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임재영. (2023). 국가의 한라산 인식과 이용·관리에 대한 변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Social Science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