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문법 중에서 조사를 정확하게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어의 조사는 매우 발달하였으며,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어의 조사는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낯설어하고, 배우기 어려워하는 문법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조사를 초급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초급 학습자들이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초급 한국어 교재 중에서도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재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미 모국어를 습득한 성인 학습자들에게 제2언어로 배우는 한국어의 조사가 더 낯설고, 어려운 문법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교재를 선정하기 위해 먼저 원미진 외(2020)의 연구 결과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동안의 한국어 교재의 흐름을 반영하고자 최근에 출판된 교재인 『한국어와 한국문화』(2020), 『서울대 한국어』(2013), 『세종한국어』(2019), 『즐거운 한국어』(2019) 4종을 연구 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 4종의 초급 교재는 다음의 4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했다. 첫째, 학습 목표로 제시된 조사는 무엇인지, 둘째, 제시된 조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셋째, 조사는 어떤 순서로 제시되었는지, 넷째, 조사의 형태 및 용법 설명은 어떻게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초급 교재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보면 먼저, 4종의 초급 교재에 모두 제시된 조사에는 주격조사 ‘이/가’, 목적격조사 ‘을/를’, 보격조사 ‘이/가’, 부사격조사 ‘에(장소, 목적지, 시간)’, ‘에서(장소)’, ‘(으)로(방향)’, ‘보다’, 보조사 ‘은/는(주제)’, ‘까지’, 접속조사 ‘하고’, ‘(이)나’가 있었다. 초급 교재에 제시된 조사 대부분은 서로 다른 주제에 제시되었고, 공통적인 형태로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초급 교재 4종에서는 첫 번째 교재 1과에서 가장 먼저 서술격조사 ‘이다’가 결합한 ‘이에요/예요’, 보조사 ‘은/는’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초급 교재에서 부사격조사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교재 초반이나 후반에 상관없이 제시되었다. 그 외의 다른 격조사는 보통 초급 교재 초반에 제시되었고, 보조사는 대부분의 초급 교재에서 초반과 후반에 모두 제시되었다. 접속조사 ‘하고’는 초급 교재 초반에 제시되었고, ‘(이)나’는 후반에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세종한국어』에서는 보통 ‘명사 뒤에 붙어서 …을/를 나타낸다.’의 형식으로 조사의 형태, 용법 설명이 제시되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에서는 형태 설명은 없고, ‘…할 때 사용해요.’라는 형식으로 용법 설명이 제시되었다. 『서울대 한국어』와 『즐거운 한국어』에서는 조사의 형태, 용법 설명이 모두 제시되지 않았지만, 형태 관련 정보는 예시나 도식·표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렇게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의 양상을 전반적으로 비교 분석한 이 연구가 추후에 조사 교육에서의 교재 활용 방향이나 한국어 초급 교재 개발에 토대가 되는 자료가 되길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 analyze the postposition in Beginner’s Korean textbooks. Because postposition in Korean is very develope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ntences, it is necessary to learn accurately postposition in Korean grammar for Korean learners to communicate smoothly. However, the postposition of Korean is a grammar that most Korean learners are unfamiliar with and difficult to learn.
Therefore, Korean learners should be systematically taught from the beginner level.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mparative analyze the postposition in Beginner’s Korean textbooks. Among the beginner’s Korean textbooks, we analyze the textbooks targeted adult Korean learners, because the postposition of Korean as second language is more unfamiliar and difficult for adult Korean learner who have already mastered their first langua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Won Mi-jin et al.(2020), we select four recently published textbooks to reflect the flow of Korean textbooks as study subjects: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2020),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2013), 『Sejong Korean』(2019), and 『Pleasant Korean』(2019). The four types of beginner’s textbooks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first, what is the postposition presented as learning objectives, second, what types of postposition are presented as learning objectives, third, the order in which postposition were presented, and four, how the forms and usage explanations of postposition were presented.
From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beginner’s textbooks in this study, first, we find that postposition presented in all four types of beginner’s textbooks include subject case marker ‘이/가’, object case marker ‘을/를’, complement case marker ‘이/가’, adverbial case marker ‘에(place, destination, time)’, ‘에서(place)', ‘(으)로(direction)', ‘보다’,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은/는(subject)', ‘까지’, and conjunctive postpositional particle ‘하고’, ‘(이)나’. Most of the postposition presented in the beginner’s textbooks are presented in different topics and in a common form.
Second, ‘이에요/예요’ combined with predicative particle ‘이다’ and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은/는’ is presented first in the lesson 1 of the first text book of the four types of beginner’s textbooks. And, adverbial case marker is presented the most in the beginner’s textbooks regardless of the beginning or latter part of the textbooks. Other case markers are usually presented at the beginning part of the beginner’s textbooks and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is presented both at the beginning and latter part of most beginner’s textbooks. Conjunctive postpositional particle ‘하고’ is presented at the beginning part, and ‘(이)나’ is presented at the latter part in the beginner’s textbooks.
Lastly, in the 『Sejong Korean』, the explanation of the form and usage of postposition are usually presented as the form of ‘…is attached to a noun, indicate ….’.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here is no explanation of the form of postposition, and the usage explanation is presented as the form of ‘…is used to….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Pleasant Korean』, the explanation of the form and usage of the postposition are not presented, bu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rm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examples or diagrams·tables, etc.
We hope that this study, which comparative analyzes the overall aspects of postposition in the Korean textbooks, will serve as a basi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extbook utilization in postposition education or the development of the beginner's Korean textbooks.
Author(s)
이소정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012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한국어교육협동과정
Advisor
최대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2
3. 연구 대상 및 방법 8
Ⅱ. 이론적 배경 14
1. 한국어 조사의 개념과 종류 14
1.1. 한국어 조사의 개념 14
1.2. 한국어 조사의 종류 16
2. 초급 한국어 교재 19
2.1.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 교재 20
2.2. 국외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 교재 25
Ⅲ. 한국어 교재별 조사 제시 양상 28
1.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교재 28
1.1. 교재 구성 28
1.2.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조사 제시 양상 29
2. 서울대 한국어 Student's Book 초급 교재 41
2.1. 교재 구성 41
2.2. 서울대 한국어의 조사 제시 양상 42
3. 세종한국어(증보판) 초급 교재 57
3.1. 교재 구성 57
3.2. 세종한국어의 조사 제시 양상 58
4. 다문화 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 초급 교재 69
4.1. 교재 구성 70
4.2. 즐거운 한국어의 조사 제시 양상 70
Ⅳ.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 비교 및 제언 81
1. 학습 목표로 제시된 조사 81
1.1. 격조사 81
1.2. 보조사 91
1.3. 접속조사 95
2. 조사의 제시 순서 98
3. 조사의 형태 및 용법 설명 102
4. 교육 방향성 및 교재 개선 방안 104
Ⅴ. 결론 110
참고문헌 113
Abstract 11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소정. (2023).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양상 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Course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