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5·18 소설 담론의 '유령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ectral’ of May 18 Novel Discourse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한국문학의 담론 속에서 광주 5·18을 다룬 소설(약칭 5·18 소설)의 위상과 가치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리다의 ‘유령성’ 이론을 원용하며, 5·18 소설의 본질이 공동체의 경계를 위협하며 유령적으로 되돌아오는 비가시적인 타자성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5·18의 본질은 개념적으로 포착되지 않는 잔여인 동시에 병리적으로 치유되지 않는 외상이다. 사건의 정의되지 않는 그 잔여로서의 성질을 최종적으로 ‘X’로 표기할 때, 본 논문은 5·18 소설이 ‘X’의 유령적인 기입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전제한다. 1980년대 대항 담론은 5·18을 지배 세력에 의해 억압된 모든 타자성을 대리 표상하는 상징으로 삼았고, 담론 지형의 변화에 따라 문학에서 5·18의 ‘X’를 언어화하려는 시도 또한 다양하게 변화했다. 원사건이 상징 질서에 등록되는 과정은 현실정치의 역동성을 반영했고, 불안정한 유동성은 정치적, 윤리적 영역의 외상을 초래했다. 5·18에서 완전히 해결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이 외상성의 핵심은 무엇보다 5·18-죽음에 있다. 이 죽음에 대한 다층적인 고찰은 그 안에서 포획되지 않는 잔여를 가시화하고, 이는 문학에서 언어화되지 못하는 재현 불가능의 영역으로 잔존한다. 비언어적인 타자성 ‘X’를 언어화하고자 하는 의미화의 과제는 점차 확장되어 의미화를 위한 도식을 발명했고, 이어 도식이 포착하지 못하는 잔여를 재발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것은 ‘실재’가 현실 담론에서 확정되지 않은 기표로서 원사건을 설명하는 두 가지 방식을 의미한다. 1980년대 진상규명 작업에서 나아간 문학운동론은 지배 담론에 반박하는 정치적 도식을 가정하고 이를 사실적으로 재현하고자 했다. 이는 폭도를 희생자로, 폭동을 민주화항쟁으로 그 의미를 복원하는 작업이었다. 이러한 작업의 목적성이 1980년대 민족·민중주의의 지배적인 도식이었다면, 두 번째 방법론은 원사건 자체의 징후적 특성에 주목했다. 1980년대 초기, 정보 부족과 검열 문제로 사건의 직접적 재현이 제약되었을 때 외상적이고 징후적인 재현은 소설의 저자가 사건에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또 다른 방법이었다. 1990년대의 공개청문회와 진상규명 이후 5·18이 상징체계에 객관적 실재로 등록되면서 도식에 포획되지 않는, 사건의 주변부적 사건성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러한 징후적 재현에 대한 재평가 외에도 5·18-죽음의 의미나 표현을 포착/정의하려는 시도에는 이제까지의 단일한 기준과 시각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적 역학관계에 의해 상징적 지위가 다시 불안정한 상태에 놓였다고 해도, 포획되지 않은 잔여로서의 5·18의 ‘유령성’은 여전히 논의될 필요가 있다. 정치적 맥락에 따라 '5·18'이 끊임없이 재소환되고, 그 위상을 둘러싼 대립은 5·18의 ‘X’로 대표되는 정당성에 대한 투쟁을 보여준다. 원사건에 대한 규정이 정치적 역학관계를 반영하는 만큼, ‘X’를 정의하는 도식은 그 시대의 타자(랑시에르적으로 말해 ‘몫 없는 자’)를 반영한다. 5·18-죽음은 그런 의미에서 1970-1980년대 군사독재정권에 의해 대한민국 공동체에서 배제된 다른 모든 타자의 대표성을 획득한다. 광주나 전라남도의 특정한 시공간에서 일어난 수난이나 항쟁이라는 의미를 넘어, 1980년대 중반 주류를 이룬 민중·노동운동의 독점적 전유를 넘어 2000년대 이후 5·18 연구에서 무산계급, 어린이, 여성 등 새로운 존재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포획할 수 없는 5·18 죽음을 ‘X’로 재현할 때에만 5·18 소설이 모든 타자성을 재발견할 수 있는 현재적 장소가 된다는 것으로 본고의 결론은 요약된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status and value of the novel text dealing with Gwangju May 18 in Korean literature discourse(It abbreviated as May 18 novel). Through Derrida's ‘ghost’ theory, this paper discussed that the essence of May 18 novel is to examine the invisible alterity, which threatens the boundaries of community and ghostly returns.
The essence of May 18 is conceptually impossible to capture and pathologically impossible to heal. In the case of the eventual Aspects as undefined ‘X’, this paper presupposes that May 18 novel is created by ghost entry of the ‘X’. In the 1980s, the counter-discourse make May 18 as a symbol to represent alterity suppressed by the ruling forces. In line with change in the discourse terrain, attempts to capture ‘X’ of May 18 linguistically in literature have also changed in various ways. The process of the original case being registered in the symbol order reflected the dynamics of real politics, and its unstable liquidity caused political and ethical trauma. The core of this traumatic event, which remains in an area that cannot be completely resolved or explained in the May 18 and continues discussions, is May 18-Death above all. This death has some uncaptured parts on multi-layered levels, so it remains unverbalized in literature. The semantic capture task, which verbalizes the non-verbal alterity ‘X’, gradually expanded to invent a schematic for signifying, again to discover the residual that the schematic could not capture.
It meant two ways that the ‘substance’ narrated the original case as an unconfirmed signifier in the real fields of discourse. The theory of literary movement extended in the fact-finding work of the 80s assumed a solid schematic against the discourse of domination and reproduced it realistically. It was the work of returning the mob to martyrs and riot to democratic uprising. It was the dominant schematic of nationalism and popularism in the 1980s. The second methodology was to pay attention to the symptomatic nature of the original case itself. In the early 1980s, when information shortages and censorship issues constrained direct reproduction of events, this traumatic reproduction was another way of revealing that the author was responding to the case. Since the 1990s when the May 18 was registered as an objective entity in the symbol system due to some public investigation, the eventuality of the area not captured in the schematic began to be noted. In addition to the re-evaluation of this symptomatic reproduction,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arbitrariness of attempts to capture/define the meaning or representation of May 18-Death.
May 18's ‘ghost’ as an uncaptured remainer still needs to be discussed, even if its symbolic status has been put in a state of instability again by political dynamics. ‘May 18’ is constantly called again according to the political context, but the confrontation over its status is a struggle against the legitimacy represented by ‘X’ of May 18. As much as the regulations on the original case reflect political dynamics, the schematic that defines ‘X’ also reflects ‘the other’(As Rancière, ‘Parts Without Parts'). May 18-Death, in that sense, could represent all the others excluded from the community of Korea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the 70-80s, not only referring to the ordeal or heroic deed that occurred in time and space in Gwangju or Jeollanam-do. It was a natural trend in this context that new other beings such as lumpenproletariat, children, and women began to be noted in May 18 research after the 2000s beyond the exclusive ownership of the people and labor’s movement, which was the mainstream in the mid-1980s. It can be summarized that May 18 novel becomes a present place to rediscover all alterity only if it reproduces May 18-death as ‘X’, which cannot be captured.
Author(s)
최다의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036
Alternative Author(s)
Choi, Da-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장인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과 문제 제기 1
2. 연구 대상 및 연구사 검토 5
2.1. 연구 대상 5
2.2. 연구사 검토 8
3. 연구 방법론 17

Ⅱ. 사건의 ‘유령화’와 담론의 분화 양상 31
1. 1980-1990년대 초기 단편에 나타난 5·18-죽음의 외상과 그 대응 32
1.1. 구조화 전단계의 병리성과 징후적 현실 인식 34
1.2. 대항 담론의 구체화와 ‘피 값’의 논리 44
1.3. 이분법적 도식 확립과 ‘유령’ 창출 58
2. 신군부 종결 이후 소설의 ‘축귀’ 경향과 반작용 73
2.1. 유령 제거 욕망과 그 불가능성 76
2.2. 사건의 재소환과 유령적 기표화 92

Ⅲ. ‘유령성’의 재현 양상과 소설적 응답 107
1. 주변부적 실존의 모티프 양상 108
1.1. 선택적 가시성 : 담론의 남성화와 여성 타자의 비가시화 111
1.2. 가시성/대표성의 주체 담론 : ‘몫’과 ‘총’ 125
1.3. ‘총 없는 자들’의 몫 : 장벽, 휘장, 장막 135
2. 비가시성의 서사화 양상 152
2.1. 개인적 응답 층위 : 외상과 애도 158
2.2. 사회적 환대 층위 : 윤리적 명령 이행 172
2.3. 구조적 징후 층위 : 폭력-권력에 대한 고찰 187

Ⅳ. 결론 205

212
22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다의. (2023). 5·18 소설 담론의 “유령성”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