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현대한국화의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Modern Korean Painting : Focus on your work
Abstract
한국화의 현대화는 내용이나 형식의 표현에 있어 ‘한국성 표현’ 이라는 과제를 지니면서 진행되는데 이는 서양 미술과 차별화 될 수 있는 문제였다.
현대에 이르러 한국화는 다양한 양식으로 나타날 때에도 ‘정체성’과 ‘현대성’이라 는 과제는 계속 따라 다녔으며 이에 한국화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매체와 표현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조형실험은 한국화의 새로운 방향 설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오늘의 한국화가 있기까지 현대 한국화의 다양한 표현기법 연구를 위하여 해방 이후 일본 미술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한국화가 서구사조의 유입으로 전통의 탈피와 새로운 조형의 확립이라는 취지하에 왕성한 실험 작업 경향이 전개 되었던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의 시대상황과 표현기법을 이용한 조형실험들을 통하여 근⋅현대 한국화 형성과정과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해방 이후 서양의 조형흐름을 받아들이면서 전통 극복을 위한 실험적 양상들이 기존의 지, 필, 묵에 의한 전통적 표현과는 다른 추상적인 표현이었는데 특히 한국화의 추상미술 경향에 나타난 표현기법의 특징을 수묵 중심의 추상과 채색 중심의 추상 표현, 콜라주 및 오브제에 의한 입체적 표현으로 나누어 보았다.
수묵 중심의 추상표현은 ‘묵림회’를 통해 활발한 조형실험을 전개한 작가 중에 서세옥, 송영방, 민경갑의 감필과 묵흔, 스며듦과 번짐, 발묵과 발색의 특성을 이용한 추상적 경향으로 전통정신을 계승하면서 전통화법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그리고 채색화 전통의 왜곡된 인식으로 한국화단의 침체적인 상황에서도 활발한 실험의욕을 보여주었던 김기창, 박래현, 안동숙, 박생광의 채색을 통한 추상성의 탐구는 그 성패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전통적인 회화가 갖는 재현적인 틀을 깨는 작업이고, 동시에 표현의 자유를 얻으려 시도한 작업이었다.
콜라주 및 오브제에 의한 입체적 표현의 이응노, 권영우, 안상철, 심경자는 오브제를 통해 질감의 효과, 소재의 다양한 응용, 이미지 표현에 의한 다양한 조형실험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한국화의 재료와 소재에서 벗어나 회화적 표현의 한계에까지 이르렀던 이들의 실험 정신이 정체된 한국화단의 폭넓은 미의식의 확산과 방법론의 확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실험정신은 본 연구자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는데, 전통이라 볼 수 있는 붓의 이용에서 벗어나 탁본을 이용하여 사물이 품고 있는 일정한 결을 시각화하여 발현되는 조형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수묵의 느낌을 강하게 느낄 수 있지만 형식은 콜라주 기법으로 형식을 뚫고 나오는 듯한 먹의 강한 효과가 느껴지며, 한지가 갖는 물성에 대한 실험으로 재료의 물질적 성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단순한 재료적 성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조형적 수단을 매개로 하여 사물을 존재론적으로 성찰하고 있으며, 전통회화가 지닌 형식의 답습에서 탈피하되 그 정신성은 잃지 않으려 하였다. 이는 돌담을 통한 개별적인 해석과 한지라는 물성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 조형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투영되어진 본 연구자의 감성이 어울려져 나타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현대한국화의 다양한 표현기법의 가치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Modernization of Korean painting proceeds with the task of 'representation of Korean character' in the expression of content or form, which is a problem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Western art.
In modern times, even when Korean painting appeared in various styles, the tasks of 'identity' and 'modernity' continued to follow.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arious formative experiments using media and expression techniques that appear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painting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etting a new direction for Korean paint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in order to escape the influence of Japanese art due to the influx of Wester trends, Korean painting studie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f modern Korean painting, and a vigorous experimental trend was developed under the purpose of breaking away from tradition and establishing a new formative style.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through formative experiments using expression techniqu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 Korean painting.
After the liberation, while accepting the formative flow of the West, the experimental aspects for overcoming the tradition were abstract expression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xpressions by paper, brush, and ink.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echniques shown in the trend of abstract art in Korean painting were divided into abstract expressions centered on ink-and-wash, abstract expressions centered on coloring, and three-dimensional expressions through collages and objects.
The abstract expression centered on ink-and-wash painting was actively experimented with through 'Muklim-hoe', an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were overcame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al spirit with an abstract tendenc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ink and ink traces, permeation and smearing, and ink and color development by Seo Se-ok, Song Young-bang, and Min Kyung-gap.
And the exploration of abstraction through coloring by Kim Ki-chang, Park Rae-hyun, Ahn Dong-suk, and Park Saeng-kwang, who showed active enthusiasm for experimentation even in the stagnant situation of the Korean painting world, is an work that breaks the representational framework of traditional painting, regardless of its success or failure, and at the same time was an attempt to gain freedom of expression.
Lee Ungno, Kwon Yong-woo, Ahn Sang-cheol, and Shim Kyung-ja of stereoscopic expression through collages and objects showed various aspects of formative experiments by the effects of texture, various applications of materials, and image expression through objects. In this way, the spirit of experimentation of those who break away from the material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had reached the limits of pictorial expression has brought a wide rang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methodology to the stagnant Korean art scene.
This spirit of experimental can also be seen in the work of this researcher, and a painting visualizing the certain texture of objects was created using rubbing, breaking away from the use of a brush, which can be seen as tradition. And although you can feel the feeling of ink, but the form is a collage techniqu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xperim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paper Hanji. It does not mean simple material properties, but reflects on things ontologically through formative means, and tries not to lose its spirituality while breaking away from following the form of traditional painting.
This is a combination of individual interpretations through stone walls, understanding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Hanji, and the researcher's sensibility naturally reflected in the formative proces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develop values in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f modern Korean painting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present a new direction.
Author(s)
홍기자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066
Alternative Author(s)
Hong, Ki-j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이창희
Table Of Contents
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근⋅현대 한국화의 형성 3
1. 한국화의 근대화 과정 3
2. 현대한국화의 성립 7

Ⅲ. 현대한국화의 표현기법 9
1. 수묵 중심의 추상표현 9
2. 채색 중심의 추상표현 14
3. 오브제 및 콜라주 입체적 표현 22

Ⅳ. 본인 작품 분석 33
1. 작품 표현 연구 34
2. 작품 설명 41

Ⅴ. 결론 53

참고문헌 55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홍기자. (2023). 현대한국화의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