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rst Case of Cecal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in a Dog
- Alternative Title
- 개의 맹장유래 악성 말초신경집 종양의 첫 증례
- Abstract
- 12살 잡종견이 2달간의 복부 팽만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고 방사선검사, 복부 초음파 및 CT 촬영을 통해 맹장 종괴를 확인하였다. 맹장 종괴를 수술적으로 제 거하고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맹장 종괴를 구성하는 방추형의 종양세 포들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S-100, neuron specific enolase는 양성, α -smooth muscle actin, CD117 (c-kit)은 음성을 나타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특 징을 토대로 맹장 종괴는 악성 말초신경집 종양으로 진단하였다. 개에서 대부분 의 악성 말초신경집 종양은 상완신경총, 척수 신경 뿌리, 사지의 피부에서 발생 하지만 개에서 위장관 유래 악성 말초신경집 종양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 논문은 개의 맹장에서 유래한 악성 말초신경집 종양의 첫 번째 증례 보고이 다. 따라서 개의 위장관 내 종괴가 발생하였을 경우 악성 말초신경집 종양도 감 별 진단 대상 종양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A 12-year-old mixed-breed dog presented with a 2-month history of abdominal distension. Radiographic examination,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mass in the cecum (15.0 × 11.9 × 4.5 cm). The cecal mass was surgically removed and examined histopathologically. Immunohistochemically, the neoplastic cells expressed S-100 and neuron specific enolase but not α-smooth muscle actin and CD117 (c-kit). These hist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indicated that the mass was consistent with a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MPNST). In dogs, most MPNSTs arise from the brachial plexus, spinal nerve root, and skin of the extremities. However, gastrointestinal MPNSTs in dogs have not been described previously. To the best of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to describe cecal MPNST in a dog. MPNST might be included in differential diagnostic lists of gastrointestinal mass.
- Author(s)
- Ahn Hye Rin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2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074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Embargo2023-02-17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