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actors affecting the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rents'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ontrol and child abuse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 family experience and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By using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parent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who visited one university hospital in Jeju Island for health check-up and vaccinations for about 7 months from January 31,2022. The variables used were six variables(original family experience, self control,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child abuse awareness and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and a 5-point Likert scale excluding child abuse awareness was used, and a 4-poing Likert scale was used for child abuse aware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4.1). Cronbach's alph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childre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F=5.16, p=.007) was associated with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2.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of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iginal family experience, self-control,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abuse awaren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3.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factors affecting parents'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stage 1 (F=5.16, p=.007) and stage 2 (F=12.11, p<.001),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the number of children surveyed was significant in the first stage. In the second stage, variables of self control (b=.13, p=.018), parenting stress (b=-.16, p=.002), and marital satisfaction (b=.09, p=.037)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4. The regression model of parents' original family experience and self control (F=9.93, p<.001), and the regression model of parents' original family experience and child abuse awareness (F=6.28,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 It was verified that self control and child abuse awareness were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 family experience and positive discipline behavior.
Therefore, i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positive discipline behaviors of parents that can help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hildren, strategi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parents' self control and child abuse awareness.|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원가족경험과 긍정적인 훈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아동학대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추후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울 수 있는 올바른 훈육방법을 교육하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제주도 내 일개 대학병원에 영유아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을 위해 방문한 유아기 자녀의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월 31일부터 약 7개월 동안 자가 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부모의 원가족경험 척도는 어린 시절 부모 및 형제와의 함께 살았던 경험을 떠올리면서 원가족 경험에 대한 제석봉(1989)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통제력 척도는 Tagney(2004)가 개발한 자기통제 척도인 SCS(The Self-Control Scale)를 홍현기 외(2012)가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척도(The Brief Self-Control Scale: BCSC)로 측정하였다. 양육스트레스 척도는 Abidin(1976)이 개발한 PSI-SF(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를 한국어로 번역한 이경숙 외(2008)의 도구에서 부모의 상황에 따라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인 부모의 고통 하위요인만을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결혼생활 만족도 척도는 정현숙(1997)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아동학대 인식 척도는 한국리서치기관에서 체벌과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표준화하여 사용하였던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program, PROCESS macro for SPSS(ver.4.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ronbach’s alpha, 기술 통계분석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구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한 매개효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중 자녀의 수(F=5.16, p=.007)가 긍정적인 훈육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은 원가족경험(r=.25, p<.001), 자기통제력(r=.30, p<.001), 결혼생활 만족도(r=.30, p<.001), 아동학대 인식(r=.26,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양육스트레스(r=-.460,p<.001)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회귀 모형은 1단계(F=5.16, p=.007)와 2단계(F=12.11, p<.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회귀 모형의 설명력은 1단계에서 22%로 나타났고(R2= .22, adjR2=.04), 2단계에서는 53%로 나타났다(R2=.53, adj R2=.25).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결과 1단계에서는 조사대상자 자녀의 수가 1명인 경우 (b=.23, p=.013)와 2명인 경우(b=.27, p=.002)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2단계 모형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자기통제력(b=.13, p=.018), 양육스트레스(b=-.16, p=.002),결혼생활 만족도(b=.09, p=.037)의 변수가 긍정적인 훈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계수에 따르면 양육스트레스, 자기통제력, 결혼생활 만족도 순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원가족경험과 긍정적인 훈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아동학대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원가족경험과 자기통제력의 회귀 모형(F=9.93, p<.001)과 부모의 원가족경험과 아동학대 인식의 회귀 모형(F=6.2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 및 아동학대 인식과 긍정적인 훈육행동의 회귀 모형(F=12.46,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트스트랩을 통해 부모의 원가족경험과 긍정적인 훈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아동학대 인식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원가족경험, 자기통제력, 양육스트레스, 결혼생활 만족도, 아동학대 인식이 있었으며,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원가족경험과 긍정적인 훈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아동학대 인식이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기 자녀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울 수 있는 부모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을 위한 중재 개발에 있어서는 부모의 자기통제력과 아동학대 인식을 강화시키는 전략이 요구된다.
Author(s)
한경지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075
Alternative Author(s)
Han, Kyeong J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오수미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개념적 기틀 5
4.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 고찰 9
1. 훈육 9
1) 유아기 훈육의 중요성 9
2) 훈육행동 10
3)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1)Belsky의 양육행동 결정모델 11
(2)부모의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3)피양육경험과 훈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매개효과 16
(4)원가족경험과 훈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아동학대 인식의매개효과 19
Ⅲ. 연구방법 21
1. 연구 설계 21
2. 연구 대상 21
3. 연구 도구 22
1) 부모의 원가족경험 척도 22
2) 자기통제력 척도 22
3) 양육스트레스 척도 23
4) 결혼생활 만족도 척도 23
5) 아동학대 인식 척도 23
6) 훈육행동 척도 24
4. 자료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25
5. 자료분석 방법 26
Ⅳ. 연구결과 28
Ⅴ. 논 의 43
Ⅵ.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4
Abstract 62
부록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경지. (202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적인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