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 현대회화의 질감 표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exture Expression of Modern Korean Painting : Focusing on my own works
Abstract
The expression and artistic influence of painting stems from the core of the expression of ideological ideas and painting techniques. These two aspects are the premise of the creation of art works, and ar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human aesthetics and objective worldview.
In modern painting, competition for creativity develops by adding novelty to novelty to form various expression systems, and materials are no longer a tool, but a symbol. In modern painting, form, material, and color are the medium and tool for achieving the structural form of the work and the symbolism inherent in the work, and form a wider expressive possibility.
Since the late 1950s, Korean modern painting has also revealed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appear as ideological features along with international waves and trends, and materials and actions have taken up a common aspect of art in philosophical thinking and critical perspectives. Since then, Korean art has been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as a stepping stone to this art world, and many artists have revealed their unique world of work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to find out the various texture expression types in Korean modern art and representative Korean artists using them, expand symbolic concepts, and lay the foundation for new expression techniques.
First, the overall trend of Korean modern art was investigated, and texture expressions in early Korean contemporary art were analyzed and studied, focusing on angformel and monochrome paintings that began to appear in the late 1950s.
Secon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ainting materials and their expressions were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for this researcher to move forward was accumulated through the case analysis used, and the theoretical basis was prepared accordingly.
Thir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by period, the authors Park Soo-geun, Kim Hwan-ki, Park Seo-bo, Ha Jong-hyun, Jung Sang-eun, and Jung Chang-seop, who used various materials to express texture,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 more extensive technique was used to explore creative and new ways of expressing painting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 of this researcher, the texture expression accompanied by color was expressed as a symbol of inner emotion, and thus various philosophical views on the expression of symbolism according to texture were theorized.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combining the technique and the intention of the work, the experimental aspect and form of the work were objectively identified and expanded to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that can lead to seeing, feeling, touchability, or sensibility.
Sixth, we analyzed the unique texture expression and symbolism of materials such as waves, moons, oreum, and islands that often appear in researchers' works, looked for texture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Korean modern art, and considered the symbolization of materials.
In this study, texture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strengthening the content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 and it presents a direction that can be expressed creatively through the nature of painting, depth of work, and touch of texture through Matier.| 회화의 표현과 예술적 감화력은 사상적 관념과 회화 기법의 표현이라는 핵심에서 비롯된다. 이 두 가지 측면은 미술 작품 창조의 전제로써, 인간의 심미와 객관적 세계관에 대해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
현대회화에서 창의성에 대한 경쟁은 새로움에 새로움을 덧붙여가며 발전해 다양한 표현체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재료는 더 이상 도구가 아닌 하나의 상징 기호로 자리 잡고 있다. 현대회화에 있어 형식과 재료, 그리고 색채는 작품의 구조적 형식과 작품에 내재되어진 상징성을 달성하기 위한 매개체이자 도구이며, 보다 넓은 표현적 가능성을 형성한다.
한국 현대회화에서도 1950년대 후반 이후, 국제적 물결과 그 흐름을 함께하며 사조적 특징으로 나타나는 재료와 기법적인 표현이 드러나고 있으며, 물질과 행위가 철학적 사유와 비판적 시각 속에 보편적 특징으로 미술의 한 단면을 차지하였다. 이후 한국미술은 이러한 미술계의 흐름을 발판으로 삼아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많은 작가들이 개성적 작품세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다양한 질감 표현유형과 이를 활용한 대표적인 한국 작가들에 대해 알아보고 상징적 개념의 확장과 새로운 표현기법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첫째, 전반적인 한국 현대미술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1950년대 후반 나타나기 시작한 앵포르멜과 모노크롬 회화를 중심으로 초기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질감표현에 관해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회화의 재료가 가지는 물질적 특성과 그에 따른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활용된 사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자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적립하고 그에 따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셋째, 앞선 시기별 연구를 바탕으로 질감표현을 위해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작가인 박수근, 김환기, 박서보, 하종현, 정상화, 정창섭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더 폭넓게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새로운 회화 표현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넷째, 본 연구자의 작품분석결과 색채를 동반한 질감표현은 내면의 감정을 상징화한 것으로 표현되었으며, 따라서 질감에 따른 상징성 표현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견해를 이론화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기법과 작품 의도가 결합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작품의 실험적 측면과 형식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단순히 화면에 그리는 표현을 넘어서, 보고(seeing), 느끼고(feeling), 만질 수 있는(touchable), 즉, 감각(sensibility)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확장하였다.
여섯째, 연구자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파도, 달, 오름, 섬과 같은 소재의 독특한 질감표현과 상징성을 분석하고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질감표현 특징을 찾아보며 재료의 상징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에 있어 질감은 내용을 강화하고 성격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마티에르를 통한 화화의 성질, 작품의 깊이, 질료가 주는 터치감을 통하여 독창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Author(s)
양민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115
Alternative Author(s)
Yang Min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손일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과 질감표현 3
1.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3
2.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질감표현 기법 12
Ⅲ. 대표작가 18
1. 박수근 18
2. 김환기 22
3. 박서보 26
4. 하종현 30
5. 정상화 35
6. 정창섭 39
Ⅳ.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 44
1. 연월(戀月) 44
2. 홍월(紅月) 48
3. 작품의 형식 51
Ⅴ. 결론 55
참고문헌 57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민희. (2023). 한국 현대회화의 질감 표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