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고등학생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네트워크 메타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Group Programs to Improve Adolescent Resilience : A Network Meta-Analysi
Abstract
회복탄력성은 역경을 경험하고도 회복하여 이전 적응 수준으로 돌아오거나 이전 수준 이상의 성취를 보이는 능력이다. 회복탄력성은 특질과 중재 과정 그리고 결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청소년의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최근 청소년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의 중재 과정을 탐색하는 연구와 회복탄력성 개입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이 축적되었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반한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첫째, 포함된 회복탄력성 개입 연구의 질 평가와 회복탄력성 개입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 둘째, 회복탄력성 개입의 효과크기를 파악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 셋째, 회복탄력성 개입유형 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종합적 분석을 위한 방법론적 접근은 체계적 리뷰와 메타분석, 그리고 네트워크 메타분석이다.
대상 문헌은 2010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 논문이다. 선정기준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개입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고, 결과 변인은 회복탄력성이다. 연구설계는 두 집단 이상 비교연구로, 진실험설계와 준실험설계연구를 포함하였다. 문헌검색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학술데이터베이스서비스(DBpia), 한국학술정보원(KISS), 국회전자도서관, 중앙국립도서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행하였다. 문헌검색 단계에서 학술지 논문 2,509편이 확인되었고, 포함‧제외 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된 연구는 국내 학술지 논문 35편이었다. 포함된 연구의 참여자는 전체 1,381명(실험집단 695명, 통제집단 686명)이었다. 독립변인은 회복탄력성 개입 프로그램이고, 종속변인은 회복탄력성 효과이다. 종속변인인 회복탄력성 효과크기 사례 수는 연구 대상 논문 35편(N=35)에서 각 1개를 추출하여 35개(N=k=35)였다. 선정된 연구의 종합적 분석 과정은, 먼저 체계적 리뷰로 포함된 개별연구의 질 평가와 개별연구의 프로그램 구성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체계적 리뷰는 35개의 사례(k=35)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계량적 분석인 메타분석과 네트워크 메타분석은 이상치를 보인 연구 2편을 제외한 33편(N=k=33)으로 실시하였다. 계량적 분석은 메타분석으로 프로그램 특성별 효과크기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통해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 개입유형 간 효과의 비교순위를 확인하였다. 계량적 분석에 사용된 효과크기는 무처치통제집단과 비교한 표준화된 평균차이(SM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값이며, Hedges의 g값을 사용하였다. 효과크기의 유의성은 95% 신뢰구간으로 검증하였다. 평균 효과크기를 계산하는 방식은 무선효과모형을 채택하였고,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실행하는 통계적 접근은 빈도주의(frequentist)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작위통제시험연구(RCT)는 RoB 2를, 비무작위연구(NRS)는 RoBINS-Ⅰ을 사용하여, 포함된 연구의 질 평가를 시행하였다. 포함된 개별연구의 질 평가 결과에서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한 점과 프로그램 진행자와 평가자가 동일인이라는 점이 높은 비뚤림(bias) 위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내용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9개 구성요인 중 연구에 가장 많이 포함된 내용은 관계 구축과 자기조절이었다. 프로그램 내용이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충분히 포함하면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평가 타당도가 높은 척도로 측정할 때 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메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전체집단(k=33)에서 유의하게 큰 효과크기(g=0.968)를 보였다. 포함된 연구의 이질성은 상당한 크기의 이질성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하위집단 분석과 메타회귀분석으로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참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설계 특성, 참여자 특성, 운영 특성으로 조절효과 분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인은 참여자 수였다.
넷째, 하위집단 분석 결과에서 치료집단(k=19)과 예방집단(k=14)으로 나누어 분석한 평균 효과크기는 두 하위집단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역경청소년(k=24)과 일반청소년(k=9)을 대상으로 한 개입도 두 하위집단 모두 큰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치료집단과 예방집단 그리고 역경청소년과 일반청소년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상기한 하위집단이 통계적으로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이 아니라는 의미이며,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회복탄력성 개입이 효과적이라고 일반화할 수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따라서, 치료집단과 예방집단 그리고 역경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을 구별한 개입이 쉽지 않다는 교육 현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이 연구 결과는 학교 기반 개입에서 중고등학생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적 접근이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메타회귀분석으로 집단 참여자 수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 수가 적을수록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고등학생 회복탄력성 개입은 집단 내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소집단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준다.
여섯째, 상담이론을 사용한 11편 연구의 네트워크 메타분석 결과, 전체집단(k=11)에서 비교우위 개입으로 선택될 확률이 높은 이론은 통합적 상담, 인간중심상담, 아들러개인심리학 순이었다. 치료집단(k=7)에서는 통합적 상담, 인지행동치료, 인간중심상담 순이었고, 예방집단(k=4)에서는 해결중심상담, 아들러개인심리학, 인지행동치료 개입 순이었다.
일곱째, 예술치료로 개입한 17편의 연구에 대한 네트워크 메타분석 결과, 전체집단(k=17)에서 비교우위 개입으로 선택될 확률이 높은 것은 포크댄스, 미술치료, 음악치료 순이었다. 치료집단(k=5)에서는 미술치료, 음악치료 순이었고, 예방집단(k=4)에서는 포크댄스, 미술치료 순이었다.
종합하면, 메타분석 결과에서 회복탄력성 개입 효과는 전체집단 그리고 하위집단(치료목적, 예방목적 그리고 역경청소년, 일반청소년) 모두 큰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학교 기반 개입에서 중고등학생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적 접근이 효율적이라는 함의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현장에 실천적 개입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이 연구에서 포함된 전체 개별 연구에 대한 질 평가는 최신 도구인 RoB 2와 RoBINS-Ⅰ으로 시행하였다. 이는 이 연구의 방법론적 의의이다. 최종적으로,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통한 결과는 전체 상담이론 접근에서는 통합적 상담이론이, 전체 예술치료 접근에서는 포크댄스 개입이 개입유형 간 비교우위를 보였다. 다만, 분석에 포함된 연구가 모두 무처치통제집단과 비교한 두 집단 비교연구라는 제한점을 고려하여, 연구 결과가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회복탄력성 개입에 대한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시도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가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 개입을 위한 근거기반 자료로 사용되어, 중고등학생이 회복탄력성 향상을 통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회복탄력성, 메타분석, 네트워크 메타분석, RoB 2, RoBINS-Ⅰ,집단프로그램, 중고등학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 programs on improving resili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ystematic reviews, meta-analysis, and network meta-analysis.
The scope of the literature review comprised of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0 and October 2022, which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on resili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rticles were selected if they were comparative studies with two or more groups and if resilience was measured as an outcome variable.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across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atabase Periodical Information Academic (DBpia),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National Library of Korea database. In the article identification phase, 2,509 articles were found, of which 35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n journa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across all studies in the selected articles was 1,381 (695 and 686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 effect size was based on the effect of the dependent variable, namely resilience, and the number of cases for the effect size was 35 (N=k=35), one each from the 35 articles (N=35). Assessment of risk of bias for the studies, analysis of study characteristics, and program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ases. After excluding two cases due to outliers, meta-analysis and network meta-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maining 33 cases (N=k=33).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elected articles was performed by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to identify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under study. Next, the effect size and moderation effect were analyzed by program characteristics using a quantitative meta-analysis. Finally, a network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s by intervention type.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a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was us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and Hedges’ g was used to calculate SMDs. A random effects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mean effect size, and the frequentist approach was used in statistical analyses for the network meta-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sessment of risk of bias for studies, the use of self-report scales and program evaluation by program leaders were identified as high-risk factors.
Second, the program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building relationships and self-regulation we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programs under study. The effect of a program was greater when program contents sufficiently covered the construct factors of resilience and when effect size was measured using scales consistent with the construct factors of the program.
Third, the meta-analysis of all the cases showed that the mean effect size of the programs on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large (g=0.968). A moderation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ain the moderate-to-high heterogeneity in the cases.
Fourth, in the subgroup analysis of the treatment (k=19) and prevention (k=14) groups, the mean effect size was large in both groups. Additionally, the effect size was large for both adolescents experiencing adversities (k=24) and adolescents in general (k=9). The results of the moderation effect analysi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group analysis of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groups, in the groups of adolescents experiencing adversities and amongst adolescents in general. As the subgroup is not a factor that statistically explains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it can be generalized that resilience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the entire group. Therefore, school-based interventions that use a preventive approach and target al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y be efficient.
Fifth, meta-regression analysis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per group showed that the effect size increased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per group decreased. Thus, it may be more effective to form a small group in resilience intervention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increase the level of within-group interaction.
Sixth, a network meta-analysis of 11 cases in which counseling theories were applied demonstrated that the theory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being selected based on comparative advantage was integrative counseling, followed by person-centered counseling and Adler’s individual psychotherapy.
Seventh, a network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17 cases in which the intervention was based on media therapy. The intervention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being selected based on its comparative advantage was folk-dance therapy, followed by art and music therapy.
In summary, resilience intervention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large effect for both purposes of treatment and prevention, in adolescents experiencing adversities and adolescents in general. This finding expands the scope of practical interven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network meta-analysis, integrative counseling theory in the counseling theory approach and folk-dance intervention in the media therapy approach showed a comparative advantage to other interventions, whereby these approaches reflec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se therapies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should be done with caution, as the results are based on comparisons with a control group in an open-loop network.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and extend the find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Key words: resilience, network meta-analysis, group progra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이재연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130
Alternative Author(s)
Lee, Jae Y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4
1. 중고등학령기 청소년 14
2. 회복탄력성 17
가.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연구 동향 17
나.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 21
다. 회복탄력성 척도 26
3. 집단프로그램 31
가. 예술치료 접근 집단프로그램 33
나. 상담이론 접근 집단프로그램 35
다. 교육집단 프로그램 36
4. 청소년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 37
5. 네트워크 메타분석 40
가. 체계적 리뷰 40
나. 메타분석 42
다. 네트워크 메타분석 45
Ⅲ. 연구방법 51
1. 연구 절차 51
2. 자료 검색 및 선정 과정 53
가. 자료 검색 및 선정기준 53
나. 자료수집 54
다. 연구팀 구성 및 연구자 간 합의 56
3. 코딩 및 개별연구의 질 평가 57
가. 자료의 코딩 57
나. 자료의 질 평가 58
4. 자료 분석 62
가. 메타분석 63
나. 네트워크 메타분석 68
5. 자료 처리 방법 70
Ⅳ. 연구결과 72
1. 포함된 연구의 특성 72
가. 출판 연도별 논문 발행 추이 72
나. 출판편향 분석 결과 79
다. 효과크기의 이질성 검증 82
라. 연구 출처 83
마. 연구설계 86
바. 집단프로그램의 특성 88
2. 메타분석 결과 94
가. 전체 효과크기 95
나. 하위집단의 효과크기 97
다. 조절효과 분석: 하위집단분석 및 메타회귀분석 100
3. 네트워크 메타분석 결과 107
가. 개입유형별 평균 효과크기 108
나. 상담이론 개입 네트워크 메타분석 109
다. 예술치료 개입 네트워크 메타분석 119
Ⅴ. 논의 및 결론 130
1. 논의 131
가. 체계적 리뷰 결과에 대한 논의 131
나. 메타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134
다. 네트워크 메타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141
라. 연구의 의의 145
2. 결론 및 제언 146
가. 결론 146
나. 제언 147
참고문헌 150
Abstract 168
부록 172
부록 1. 포함된 연구의 목록 173
부록 2. 최종단계에서 제외된 연구와 제외 사유 175
부록 3. 코딩시트 176
부록 4. 코딩 기본정보 179
부록 5. 무작위 실험설계(RCT) 개별연구의 질평가 RoB 2 184
부록 6. 비무작위 실험설계NRS) 개별연구의 질평가 RoBINS-I 200
부록 7. APA 2018 메타분석 보고기준(MARS) 20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재연. (2023). 중고등학생 회복탄력성 증진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네트워크 메타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