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iddle School Art Textbook Content Analysis : Focused on the area of Korean Painting
Abstract
학교 교육에서의 미술은 바른 인성과 문화적인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기를 수 있는 핵심 교과이다. 또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인류의 정신적·물질적 유산인 문화를 이해하고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화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길러줄 수 있다. 현재의 미술 교육 과정은 청소년들이 문화적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에서 외래의 문화를 먼저 접함으로 인해 소속감과 안정감을 얻기 힘들어지며 자아정체성 확립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서구 미술의 개념과 인식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고 문화 주체성을 찾기 위해 한국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에 있다.
미술 교과서① 14종을 분석하기에 앞서 한국화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본 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중등 미술 교과서의 내용분석을 위 출판사별 전공 현황, 구성, 한국화 영역 비율 분석, 한국화 단원 분석을 진행하였다.
출판사별 전공 현황은 중등 미술 교과서① 14종의 한국화 전공 저자 수를 분석하였다. 중등 미술 교과서 구성은 교과서의 구성 방식과 특징을 분석하고 보완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화 영역 비율 분석은 각 교과서의 전체 페이지 중 한국화 도판이 포함된 페이지의 비율을 분석하고 한국화와 서양화 도판 수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한국화 단원 분석은 각 교과서에서의 한국화 단원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미술 교과서① 14종의 한국화 전공 저자 현황은 제일 낮은 교과서가 0%로 한국화 전공 저자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였으며, 제일 높은 교과서는 다락원으로 저자의 20%를 차지하였다.
한국화 영역 비율을 분석한 결과로는 한국화 영역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전체 페이지의 19.5%를 차지한 지학사이며 가장 낮은 교과서는 9.2%를 차지한 해냄에듀이다. 분석한 모든 교과서의 한국화 영역 비율이 20% 미만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한국화 단원 분석에서는 한국화 단원이 이론에 편중하고 체험 활동이 흥미를 끌어내기 어려운 단순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술 교과서 저자들을 구성함에 있어 한국화 전공자의 비율을 높여 한국화 교육의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미술 교과서 내의 한국화 도판 수와 다양성을 늘리고 장르별 도판의 노출 횟수를 균등하게 하여야 한다. 이에 따른 장르별 체험 활동 또한 균등하게 구성해야 한다.
셋째, 미술 교과서 내용에서 한국화가 개념 설명과 우리나라 미술의 시대적 변천 과정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설명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화가 이론에서 활동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미술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화 활동을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재료와 새로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술 교과서의 한계를 인식하고 서구적 사상과 인식에서 벗어나 정보를 객관적으로 수집하고 미술 교육에서 전통문화 및 회화를 학습하여 문화적 정체성과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과서의 전통 회화 교육에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Art in school education is a key subject that can cultivate creative talents with correct personality and cultural skills. In addition, through art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develop refinement as a cultural citizen by understanding culture, which is the spiritual and material heritage of mankind,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The current art curriculum makes it difficult for teenagers to gain a sense of belonging and stability by first encountering foreign cultures without establishing cultural self-identity, and causes difficulty in establishing self-identity.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need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order to objectively accept information and find cultural subjectivity, away from the concept and perception of Western art.
Before analyzing the 14 types of art textbook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painting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art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For the content analysis of secondary art textbooks, the current status of majors by publisher, composition, ratio analysis of Korean painting areas, and analysis of Korean Painting units were conducted. As for the status of majors by publisher, the number of authors of Korean painting majors in secondary art textbooks 14 was analyzed.
The composition of secondary art textbooks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and examined the complementary points. The ratio of Korean painting areas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ratio of pages including Korean painting drawings among all pages of each textbook, and comparing the number of Korea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drawings. For the analysis of Korean painting units, the learning contents of Korean painting units in each textbook were analyzed and characteristics were written.
As a result, the current status of authors of 14 Korean painting majors in art textbooks 14 was 0% of the lowest textbooks, and the highest textbooks were Darakwon, accounting for 20% of the auth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the Korean painting area, the textbook with the highest Korean painting area was Jihaksa, which accounted for 19.5% of the total pages, and the lowest textbook was Haenaemedu, which accounted for 9.2%.
The result was that the proportion of the Korean painting area of all analyzed textbooks was less than 20%.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Korean Painting Un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orean Painting Unit focuses on theory and the experience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a simple way that is difficult to attract interest.
In this paper, several measures to improve these problems are presented.
First, in constructing the authors of art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expertise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Korean painting majo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and diversity of Korean paintings in art textbooks, and to equalize the number of exposures of drawings by genre. Accordingly, experience activities for each genre should also be evenly organized.
Third, in the content of the art textbook, it should be explained including both the conceptual explanation of Korean painting and the content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art.
Fourth,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learning contents of art textbooks so that Korean painting can continue from theory to activity.
Fifth, Korean painting activities should be organized so that various materials and new methods can be used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raditional painting education in textbooks will be developed to help establish cultural identity and self-identity by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art textbooks, objectivel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away Western ideas and perceptions, and learning traditional culture and painting education.
Author(s)
박소은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161
Alternative Author(s)
Park So-E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Advisor
이창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1. 한국화의 개념과 역사 3
2. 한국화 교육의 필요성 14
Ⅲ. 교육과정 17
1. 2015 개정 교육과정 17
2. 미술과 교육과정 19
Ⅳ. 중등 미술 교과서 내용분석 23
1. 중등 미술 교과서에서의 한국화 23
2. 중등 미술 교과서의 문제점 71
Ⅴ. 결론 73
참고문헌 75
Abstract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소은. (2023).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