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일-생활 균형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life Balance
Abstract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 of cultivating organizational goal-oriented human resources that emphasizes the long work hours and the loyalty and commitment for organizations, work-life balance is in the basis of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perceived as psychological destructive phenomena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its employees, rather than the organization. Its role is remarkable to a generation that focuses on work and displays high self-awareness. Moreover, work-life balance is accepted as either a primary component or a psychological process that underlines individual identity in modern organizations beyond the role of individuals for organizations through the balance of individual self-awareness as well as a change from environment and general values. Namely, work-life balance has moved from an organizational goal-oriented approach to an individual goal-oriented on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has led to various studies in the organizational behavior area, and the present study has a trial to test about work-life balance with comprehensive approach. Firstly, the role of support from family and organization as the antecedents on work-life balance was tested. This trial is an empirical process to get meaningful results overlooked from researchers, in addition, it is also a focus on the subject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ategorization such as the support from spouser and family members, and from organization, supervisors and colleagues. Secondly,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test the ambivalence roles of work-life balance for its effectiveness and it is beyond the positive role of work-life balance on productive behavior in the literatures and enables to explain why work-life balance needs to be addressed as a main issue in modern organizations in terms of productivity. Thirdly, the current study is tried to expand the ambivalent roles of work-life balance as mediators with two types of outcome variables and this approach enables to give an opportunity for the verification of mediational process of work-life balance in addition, enables to extend the its mediational roles from job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rthly, this study is capable of the explanation of its conditional roles on and by work-life balance. It is meaningful approach to explore situational variables in the two paths and to enables to provide the significant results on situational variables which restrictively account for the conditional variables on work-life balance.
The research model consists of 4 sorts of variables. Family support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were predictors, work-life balance was mediators, initiative behavior and deviant behavior were outcome variable, and resilience, job efficacy,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work-family boundary, were moderators. The focus of this research modeling was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s and work-life balance, and work-life balance and ambivalent outcome variables, to account for 4 types of psychological process predictor-work-life balance-outcome variable and to verify conditional effects by resilience and work-family boundary in the links between predictors and work-life balance, in addition, job efficacy and goal- focuse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two types of outcome variabl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o supplement problems in the previous studies of work-life balance. Existed studies on work-life balance that collect data on office workers mainly focused on this procedure from both married and unmarried employees. However, this approach of previou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considering differences of perceiving balance (leisure, growth, family) perceived by each construct in work-life balance due to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restrict data collection to increas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and it included to collect data only from married employee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s in this research. In this procedure, the number of the survey target was set to totally 400 considering the observed variables of the main variables. The procedure was conducted with married people among those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andom sampling method was applied for data collection. The survey carried out toward 400 people in total, and this process was lasted from Oct, 1, 2021 – Nov, 30, 2021 around 60 days with an off-line method which was used to visit the survey target and distribute and collect data. In the procedure of data collection, the other challenge was to collect data twice from the same responder as to reduce common method bias regarded as a critical issue in analysis. 286 sets of data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mposed with validity for scales and the test of hypothesis. In demonstration of scale’s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methods was conducted. In test of hypothesis, the procedure was with the correlation for relationship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was carried in advance, with the main effect to demonstrate causality between the variables, with the mediating effect to confirm intervening variable and with the moderating effects.
In results, family support and family-friendly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work-life balance, and work-life balance displayed ambivalent effects on initiative and deviant behavior respectively. In the mediation, there were differential results in the paths. The path, family support – work-life balance – initiative behavior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 work-life balance – initiative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upported but not supported in the paths related to deviant behavior. In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was significant situational variables in the path of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in addition, the other was goal-focused self-regulation in the path work-life balance on initiative behavio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not supported in the remaining path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ntecedent boundary of work-life balance was expanded to the family and organizational domains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Secondly, the ambivalent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its effectiveness were proved and it enables to add the expansion of its effectiveness beyond positive roles in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function in behaviors in which spontaneity and relational aspects that occur in organizations are highlighted. Thirdly, it provides grounds for the role of work-life balance as a mediator. Literatures has accounted for the mediating role of work-life balance wherea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it toward the spontaneity and relationship-based behavior. It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work-life balance. Fourthly, the role of primary situational factor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was confirmed. As an outcome variable, it i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is strengthened by resilience, and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initiative behavior of work-life balance is reinforced by goal- focused self-regulation.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ategory of situational factor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Finally, empirical findings on an integrated approach to work-life balance are provided. This founding can serve as a major basis for future researches on work-life balanc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a systematic approach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maintain and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of organizational employees, and emphasize that support for work-life balance should be spread to the view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it requires the attention of family members to maintain and expand work-life balance. The role of organizations that can recognize work-life balance is required to promote and reduce intentional behaviors produced by employees in organizations.

Key words: Work-life Balance, Family Suppor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Initiative Behavior, Deviant Behavior.|일-생활 균형은 장시간 근무와 충성과 몰입을 강조하는 조직목표 지향적 인적자원 양성이라는 전통적 측면에서의 접근과 달리 조직과 구성원 사이에서 부정적인 심리적 인식으로 평가될 수 있는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지각, 조직보다 일 중시, 자아에 대한 높은 자각을 보이는 세대에서 그 역할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일-생활 균형은 환경과 세대 간 가치관 변화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의식에 대한 균형을 통해 조직을 위한 개인으로의 역할을 넘어 조직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주요 요인 또는 심리적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즉, 일-생활 균형이 조직 목표를 지향하는 접근에서 개인 목표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일-생활 균형에 관한 중요성 인식은 해당 분야의 다양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생활 균형을 중심으로 포괄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일-생활 균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조직과 가족 지원의 역할을 검증으로 기존연구에서 간과되고 있던 대인 간 관계 형성과 관련된 주체들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과 상사/동료의 조직차원과 배우자와 가족구성원의 가족차원으로 범주화 하여 이들 변인들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긍정적 역할을 규명이다. 둘째, 일-생활 균형의 효과성에 있어 양면적 역할을 입증하는 것으로 생산적 행동에 미치는 일-생활 균형의 긍정적 역할을 넘어 왜 일-생활 균형이 생산성의 측면에서 조직에서 주요 이슈로 언급될 필요성이 있는가에 대한 대답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예측변인과 양면적 결과변인 사이에 작용하는 일-생활 균형의 매개역할 판명으로 선행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는 일-생활 균형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인데 기존연구에서 직무특성과 개인특성의 효과성의 경로에서 일-생활 균형의 매개역할을 검증에서 양면적 결과변수로 그 심리적 영향력 검증 경로로 확대하고자 한다. 넷째,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조건부 변인들의 역할을 두 가지 경로 확인으로 기존연구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결과를 찾기 어려운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상황요인에 검증이며 상황요인을 일-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과 일-생활 균형이 개인차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경로에서 상황요인이다.
연구모형은 예측변수로 가족지원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으로 구성되고 매개변수는 일-생활 균형, 결과변수는 선제적 행동과 일탈행동으로 구성되었고 상황요인으로 조절변수는 회복탄력성, 일-가정 경계, 직무효능감, 목표중심 자기조절로 설계되었다. 연구모형을 통해 설명되는 접근 과정은 예측변수와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과관계, 일-생활 균형과 결과변수간의 양면적 관계, 예측변수→일-생활 균형→결과변수의 4가지 경로의 매개효과, 예측변수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조건부 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일-가정 경계의 조절효과, 일-생활 균형의 준거변수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 직무효능감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조절효과까지 포괄하는 5가지로 구분되었다.
자료수집 과정은 기존연구의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었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일-생활 균형에 관한 연구들은 연구대상의 범주를 주로 기혼자와 미혼자를 모두 조사대상에 포함하여 전반적인 일-생활 균형의 역할을 검증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의 이러한 접근은 결혼 여부의 차이로 인한 일-생활 균형에 있어 대상별로 인식하는 균형의 대상(여가, 성장, 가족)에 차이를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생활 균형은 조사대상의 결정에 있어 그 범주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공헌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의 특징을 고려하여 직장인 가운데 기혼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사대상의 규모는 주요 변수들의 관찰변수를 고려하여 총 400명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과정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고 있는 공기업과 사기업 재직자 가운데 기혼자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방법은 무작위표본추출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총 400명 이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자료수집 과정은 2021. 10. 1–11. 30일까지 60일 정도 소요되었다. 자료수집은 조사 대상을 직접 방문해서 자료를 배부 및 회수하는 off-line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를 사전적으로 보완하였다. 분석에는 총 286명으로부터 획득된 두 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은 포괄적으로 척도의 타당성 검증과 가설검증으로 구성되었다. 측정에 활용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으로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을 중심으로 분석이 진행되었다. 가설 검증 과정은 연구의 주요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는 사전적으로 변수들의 관계 방향성과 유의성을 확인하는 상관관계, 변수들 간의 인과과계를 검증하는 주 효과, 연결변인의 역할을 확인하는 매개효과, 조절효과로 구성된다. 또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검증 과정에 관한 주요 이슈를 보완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결과 가족지원과 가족친화적 지원은 일-생활 균형에 긍정적인 역할이 확인되었고, 일-생활균형은 선제적 행동에 대한 촉진역할과 일탈행동에 대한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매개효과 검증에 있어서는 결과변수에 따른 매개효과 경로에 대한 결과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가족지원과 가족친화적지원이 선제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일-생활 균형은 양자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두 원인변인의 일탈행동에 대한 영향력 경로에서는 매개효과의 가설이 지지되지 못하였다. 또한 개인특성의 상황요인에 대한 역할 검증의 경우 가족지원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력 경로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일-생활 균형의 선제적 행동에 대한 경로에서 목표중심자기조절의 강화효과가 판명되었다. 그러나 두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경로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는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일-생활 균형을 촉진하는 원인변인을 가족과 조직 차원으로 확대하여 그 역할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며 이는 기존연구에서 일-생활 균형에 대한 인식의 범주를 대인관계 측면으로 확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일-생활 균형에 있어 대인관계 대상을 가족과 조직 및 그 구성으로 확대하는 특징이 있다. 둘째, 일-생활 균형의 효과성에 있어 양멱적인 역할을 확인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은 기존연구에서 조직이 지향하는 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이에 더하여 본 연구결과는 일-생화 균형이 조직에서 발생하는 자발성과 관계적 측면이 부각되는 행위에 있어 순기능을 촉진하고 역기능을 저감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생활 균형 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 확대에 공헌하고 있다. 셋째, 매개변수로서 일-생활 균형 역할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일-생활 균형은 매개변수로 역할이 확인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당 변수가 양산하는 자발성과 관계기반 행동에 있어 영향력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순기능 강화의 경로와 역기능 저감의 경로에서 일-생활 균형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차이가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주요 상황요인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결과변수로서 일-생활 균형에 대한 가족지원의 영향력은 회복탄력성에 의해 강화되고 일-생활 균형의 선제적 행동에 대한 영향력은 목표중심자기조절에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생활 균형에 관한 상황요인 범주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생활 균형에 대한 통합적 접근에 관한 실증적 결과물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일-생활 균형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주요한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조직구성원의 일과 생활 균형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조직차원의 시스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일과 생활 균형을 위한 조직구성원의 지원이 조직문화 차원으로 확산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일-생활 균형 유지 및 확대를 위한 가족구성원의 관심을 요구하고. 조직에서 구성원이 양산하는 의도적 행동 촉진과 저감을 위해 일과 생활 균형을 인식할 수 있는 조직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주제어 : 일-생활 균형, 가족지원, 가족친화적 조직지원, 선제적 행동, 일탈행동.
Author(s)
강수영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176
Alternative Author(s)
Kang soo Y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강영순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목적 5
제 2 절 연구 방법 및 범위 6
1. 연구 방법 6
2. 연구 범위 8

Ⅱ. 이론적 배경 10
제 1 절 일-생활 균형에 대한 고찰 10
1. 일-생활 균형의 개념과 확산 10
1.1 일-생활 균형 개념과 접근 10
1.2 일-생활 균형의 균형과 구성개념 12
1.3 일-생활 균형의 형성과 역할 14
1.4 일-생활 균형의 중재변수 역할 19
2. 일-생활 균형의 영향요인 21
2.1 조직에서의 지원 21
2.2 가족지원 23
2.3 가족친화적 조직지원 25
2.4 가족과 가족친화적 조직지원의 일-생활 균형의 관계 28
3. 일-생활 균형의 결과물 31
3.1 일-생활 균형에서의 유효성 31
3.2 선제적행동 32
3.3 일탈행동 34
3.4 일-생활 균형과 선제적행동 및 일탈행동의 관계 36
4. 일-생활 균형의 상황 요인 37
4.1 회복탄력성 37
4.2 일-가정 경계 40
4.3 직무효능감 41
4.4 목표중심 자기조절 43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45
제 1 절 연구 모형 46
제 2 절 연구 가설 48

Ⅳ. 연구 설계 61
제 1 절 연구 대상과 자료수집 61
제 2 절 설문지 구성 63
제 3 절 측정 도구와 신뢰도 66
제 4 절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적 특성 71
제 5 절 분석 절차에 대한 논의 72

Ⅴ. 실증분석 75
제 1 절 타당성 검증 75
제 2 절 상관관계 분석 84
제 3 절 가설 검증 86
1.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에 대한 일-생활 균형의 영향력 검증 88
2. 일-생활 균형의 매개효과 89
3. 예측변수의 일-생활 균형에 대한 영향력에서 상황요인 검증 93
4. 일-생활 균형의 결과변수에 대한 영향력에서 상황요인 검증 97

Ⅵ. 결론 102
제 1 절 연구결과 논의 및 이론적 시사점 102
제 2 절 실무적 시사점 106
제 3 절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연구 한계 108
참고문헌 112
1. 국내 문헌 112
2. 국외 문헌 120

설문지 142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수영. (2023). 일-생활 균형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