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구조화된 사회성 증진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Structured Social Performance Promotion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Social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of Borderline Intelligence Elementary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사회성증진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이 경계선 지적기능을 가진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 서귀포시 A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사회성증진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참여아동을 대상으로 연구자는 프로그램 시작 전에 아동보고형 사회성 발달, 자기효능감, 보호자용 사회적 기술평정척도 사전 검사를 시행하여 12회기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같은 척도를 가지고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구조화된 사회성증진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의 내용을 아동자립지원단에서 지원한 사회성증진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자문을 받은 교수님이 출간한 경계선 지능아동의 정서사회성 책을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들의 특성 및 발달수준에 맞게 구성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사회성 발달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매 주 1회씩 12회기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사전․사후검사에서 평가된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
및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결과분석을 비모수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아동들이 프로그램 내에서 직접 작성한 다양한 활동지, 연구자의 회기별 진행기록, 참여 아동 및 양육자 면담을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구조화된 사회성증진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이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는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전체적 자기효능감 연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하지만 하위영역별로는 통계적 유의차는 없지만 평균은 다소 높게 나왔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단계별, 개인별 질적 연구를 하였고, 그 결과 단계별로 아동들의 언어 및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를보여 양적인 변화와 함께 질적 향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실험집단이 5명으로 표집 인원의 수가 적고 초등학교 고학년으로만 구성되어 다양한 연령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구조화된 사회성증진 집단놀이치료프로그램이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사회성 발달 증진 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tructured social promotion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the social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For this study, a structured social development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five 6th graders living in Facility A in Seogwipo City, Jeju Island. The researcher administered the Child-Reported Social Development, Self-Efficacy, and Parental Social Skills Rating Scale
pretest to the participating children before the program began, and conducted a posttest with the same scales after the 12-session program.
The researcher used the contents of a structured social promotion group play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social promotion program supported by the Child Independence Support Group and the book Emotional Sociality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published by a professor who was consulted as a supplementary resource. The progra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levels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and aimed to promote the social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of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 conducted a 12-session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ce a week and used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analyze the results of changes i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assessed at pre- and post-test.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hildren's self-completed activity sheets, the researcher's progress notes from each session,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ting children and careg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uctured social promotion group play therapy program had a significantly higher impact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uggesting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e overall self-efficacy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ny of the subscales, but the mean was slightly higher. During the course of the
program,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a step-by-step and individual basis, and the results showed changes in the children's language and positive behavior at each step, indicating a qualitative improvement along with a quantitative change.
This study was limited by a small sample size of five participants and the fact that the participants were only in the upper elementary school, which prevents the study from covering a wide range of ages.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 structured social promotion group play therapy program in promoting social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uthor(s)
진정림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275
Alternative Author(s)
Jin, Jeong R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김종우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경계선 지적기능아동의 개념과 정의 6
2. 경계선 지적기능아동의 특성 8
3. 구조화된 사회성증진 집단치료 프로그램 11
4. 경계선 지적기능아동의 선행연구 동향 12
1)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집단놀이치료 12
2) 경계선 지저기능아동 자원지원서비스 효과성 보고서 12
Ⅲ. 연구방법 14
1. 연구 설계 14
2. 연구 대상 15
3. 연구 도구 16
1) 아동용 사회성 발달검사 16
2) 자기효능감 검사 17
3) K-SSRS (사회기술평정척도) 보호자용 17
4. 연구 절차 18
5. 구조화된 사회성증진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 19
1) 프로그램의 근거 19
2) 프로그램의 목표 20
3)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 20
Ⅳ. 연구결과 및 분석 23
1. 아동보고형 사회성 발달 사전사후 비교 23
1)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전체 사회성발달 비교 23
2) 사회성 발달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검사의 비교 24
2. 보호자용 K-SSRS (사회기술평정척도) 사전사후 비교 26
1)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전체 사회기술평정척도 비교 26
2) 보호자용 사회기술평정척도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검사의 비교 27
3.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비교 29
1)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전체 자기효능감 비교 29
2)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검사의 비교 30
4. 구조화된 사회성 증진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단계별 내용변화 32
1) 초기단계: 자발성 유도 및 신뢰감 형성(12회기) 32
2) 중기단계: 감정 인식 및 표현단계(36회기) 35
3) 후기단계: 사회기술 익히기 단계(711회기) 37
4) 종결단계(12회기) 38
5. 개별 사례분석 39
Ⅴ. 결론 45
1. 논의 및 결론 45
2. 제한점 및 제언 48
참고문헌 50
Abstract 53
부 록 5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진정림. (2023). 구조화된 사회성 증진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