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스트레대처방식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능력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on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by Gender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세 변인 간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소재 중학생 1, 2, 3학년 총 500명이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2023년 1월 17일부터 2월 23일까지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누락 되었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473명의 자료를 분석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 문항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스트레스대처방식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 스마트폰 중독척도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연구자가 SPSS Sta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이상치, 정규성 검토를 위해 각 변인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각 변인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값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성별과 학년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과 변인 간의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검증하고, 세 변인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서조절능력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1982)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중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세번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 조절 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부모 교육, 스마트폰 중독 예방, 심리적 치료 프로그램 등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강화,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관리 능력 개선, 그리고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들이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enagers on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was verified by gender. A total of 500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study.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distributed 500 questionnaires from January 17 to February 23, 2023, and analyzed and used data from the final 473 people, excluding missing or insincere question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 survey question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methods, emotional regul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researcher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data.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to review the outliers and normality of the data. Cronbach's α value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by gender and grade.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with smartphone addictio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with smartphone addiction was verifi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if emotional regu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In addition, Sobel Test (1982)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teenagers is acting as an important variable by reducing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with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parental education,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and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s. In particular, programs focusing on strengthening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mproving teenagers' stress management skills, and improving their emotional control skill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Author(s)
김지연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276
Alternative Author(s)
Kim JI-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 연준모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연구모형 6
Ⅱ. 이론적 배경 7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7
2.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10
3. 정서조절능력과 스마트폰 중독 12
4. 선행연구 고찰 13
Ⅲ. 연구방법 18
1. 연구대상 18
2. 자료수집 19
3. 측정도구 20
4. 자료분석 23
Ⅳ. 연구결과 25
1.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변수 간의 상관관계 25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정서조절능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33
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38
4.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42

Ⅴ. 논의 및 결론 49
참고문헌 54
ABSTRACT 61
부록(설문지)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지연. (202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스트레대처방식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능력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