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김경훈의 4·3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Kim Kyung-hoon’s 4·3 Poems
Abstract
본 연구는 김경훈의 전기적 사실을 통해 시세계 전반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그의 시관을 살펴보고, ‘4·3’의 재현 양상과 시적 대응을 중심으로 역사적 윤리의식과 시적 형상화 방법의 상호성을 살펴봄으로써 ‘제주 4·3 시문학’ 인식의 지평을 마련하고 그의 시사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4·3’이 지나간 현재, ‘4·3’은 어떻게 표상될 수 있는지, 그 속에서 김경훈이 주목한 시의 역할과 가능성은 무엇인지, 그의 연대의 활동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현재화 되는지 살펴봄으로써 ‘4·3 시문학’에 대한 이해와 위상을 재고해 보고자 하였다.
김경훈은 1981년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입학과 함께 문학동아리 에 가입, 이후 전 현직 회원들이 결성한 의 활동은 현실참여를 향한 ‘문학운동’으로서의 지향성을 확고히 하였다. 또한 제주문화운동협의회 놀이패 의 창단회원으로 활동하며 시창작과 연기, 극작가로의 예술적 기량을 확장하였다. 그는 1996년 제주도의회 4·3특위 조사요원의 활동을 시작으로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제주4·3사업소 전문위원으로, 2012년 제주4·3추가진상조사단 전문위원으로 일하며 ‘4·3’이라는 숙명적 화두에서 파생된 문학 행로를 흔들림 없이 이어갔다. 김경훈은 제주는 물론 전국의 가두집회나 추모제에서 시낭송을 하며 실천적 문학인의 삶을 실천하였다. 김경훈에게 ‘4·3’은 외부의 폭력으로 아름다운 전통과 자연, 사회와 인간이 파괴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의 문학은 곧 사회와 인간, 자연의 공동체를 회복하는 작업이었다.
김경훈이 4·3특위 조사위원과 제주4·3사업소 전문위원으로 일하며 채록한 증언과 현장조사를 시로 형상화 한 시편들은 극적 재현 방식과 그로테스크한 미학에 차별성을 지닌다. 이는 사건의 비극을 사실로 드러냄에 시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고 증언을 구상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방편이자 죽음으로 포괄될 수 없는 비극과 모순을 드러내기 위한 방식이며 증언의 감각과 호흡까지 재현하고 증언 불가능성, 그것마저도 증언하려는 고뇌와 노력에 의한 시적 증언인 것이다.
또한 김경훈의 그로테스크한 미학은 경험의 소외와 말할 수 없는 것의 한계, 그 무력감 앞에서 책임을 짊어지기 위해 만들어낸 죄이고 그를 통해 새로운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것은 증오의 에너지로 얼룩진 잔인한 폭력성에 대한 성찰이며 인간에 대한 마지막 믿음마저 소멸한, 상상할 수 없는 비극의 이면을 드러내는 미학적 응전인 것이다. 그러하기에 그의 방식은 증언 채록 과정에서 마주한 증언의 공백과 집단에 묻힌 기억의 고통, 그 모두를 외면하지 않기 위해 철저히 그곳에 머물기를 선택한 것에 기인하고 그것이 그가 판단한 문학의 윤리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김경훈은 살아남은 사람들과 삶의 이야기를 담아낸 시편들을 통해 시적 대응을 이어간다. 그는 그들의 이름을 명명하는데 이는, 개인의 사연 자체보다 그 사연을 생성한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그들을 공동체 내부로 복원하여 4·3을 표상하는 다양한 고유명으로서 안착시키고자 하는 의도에 기인한다. 그렇게 억압되고 배제되었던 이름들의 복원은 자존과 항쟁, 평화와 인권 등의 다의성을 지닌 고유명으로서 ‘4·3’과 연결되고 이는 곧 희생자들의 명예회복과 4·3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시적 대응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모’와 ‘집회’, ‘연대’의 실천적 활동에 기반한 시편들은 ‘4·3’의 현재적 사유와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김경훈의 추모시는 사적 추모를 넘어 공적 담론의 실천적 행위이며 이는 사회적 공감과 공동체적 윤리를 이끄는 애도의 방식에 근거했다. 이는 엄숙한 전통적 애도에서 공동체의 윤리와 연대를 견고히 하는 방식으로 확장해 가는 것을 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대의 활동이 생생하게 발휘되는 ‘집회’와 ‘시위’의 현장에서 ‘운동’의 성향을 명확히 드러내는 ‘거리 정치’로서 그의 시는, 함께 사는 사회의 이상적인 결속과 구현되어야 할 정의, 평등, 평화를 향해 싸우는 것과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게 집회와 시위의 현장은 최소한의 자유와 권리를 행사하고 우리를 환기하는 공간이며 그의 시는 현존하는 문제들과 해결되지 않는 적폐들, 구속에서 신음하는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한다.
이처럼 민중의 삶과 밀착하여 당면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투하는 그의 시적 행위는 지역 문학이 취해야할 태도와 문학의 역할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함에 마땅한 의의를 지닌다. 그러하기에 그에게 ‘4·3’은 평화와 인권이 위협받는 모든 곳, 모든 사건에 투영되어 현재화된다. 무엇보다 4·3의 증언을 통한 기억의 복원을 넘어 4·3의 면면을 총체적으로 드러내어 능동적인 사유를 유도하고 지속적으로 4·3의 명제를 현재에 투영, 소환하여 재인식을 촉발함에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추모’, ‘집회’, ‘연대’의 실천적 활동을 통해 반복되는 인권 유린에 저항하고 역사적 주체로서 참된 미래를 도모하기 위해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의식과 변혁을 꿈꾸는 그의 시적 대응은 현재에도 충분히 시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Kim Kyung-hoon’s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poetry and the poet’s view of poetry through his biographical facts and explore the reciprocity of historical ethics and poetic imager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and poetic discourse surrounding the 4·3 Incident.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s to reconsider the representation of the 4·3 Incident in the status quo after the 4·3 Incident through Kim Kyung-hoon’s poetry, and the roles and possibilities attributed to poetry by the poet, as well as how his actions of solidarity are present in the body of work.
Kim Kyung-hoon joined the literary club "New Generation" with his admission to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in 1981, and afterwards, the activities of "Pulpsoori Literature Dongin" formed by former members solidified its direction as a "literary movement" with aims to participate in the real world. Furthermore, the poet worked as a founding member of the Jeju Cultural Movement Council's troupe Hallasan and expanded his artistic skills as a writer, actor, and playwright. Beginning with his activities as an investigator of the Jeju Special Committee of the Jeju Provincial Council on the 4·3 Incident in 1996, he worked as an expert counsel for the Jeju 4·3 Incident Organisation from 2001 to 2008, as a counsel on the Jeju 4·3. Incident Investigation Committee in 2012, and continued his literary path derived from the fatal topic of the 4·3 Incident.
The notable difference that differentiates Kim Kyung-hoon's poetry from others is in his dramatic reproduction method and grotesque aesthetics, embodied by recorded testimony and on-site investigations through his work as an investigator of the 4·3 Incident Special Committee and an expert member of the Jeju 4·3 Incident. This is a way for the poe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oetic expression and vividly reproduce testimonies down to their breathing, reveal tragedies and contradictions that cannot be covered simply by death, and testify to fill the impossible margins left by the lack of testimony.
It is a reflection on the brutal violence stained with the energy of hatred, and a poetic response that reveals the backdrop of an unimaginable tragedy that has extinguished even the last remaining faith in humans. Kim Kyung-hoon continues his poetic discourse through poems that contain the stories of the survivors’ lives. He names them because he intends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that created this tragic story rather than the individual stories themselves and restore the survivors inside the community, letting them settle as various nouns representing the incident. The restoration of names that were suppressed and excluded is linked to the 4·3 Incident as pluralistic names such as self-esteem, protest, peace and human rights, and can be seen as a poetic response to the recovery of the victims' honor and the truth of the incident.
In addition, poems based on the practical activities of "memorial," "rally," and "solidarity" suggest the present reason an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4·3 Incident. Kim Kyung-hoon's memorial poem is a practical act of public discourse beyond private remembrance, based on a way of mourning that leads to social empathy and an uproar in community ethics. This means expanding from solemn traditional mourning to solidifying the ethics and solidarity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is a part of street politics that clearly reveal the tendency of social movements on the site of rallies and demonstrations, where solidarity activities are vividly exercised. His poetry is equated to fighting for justice, equality, and peace to be realized. For him, the scene of rallies and demonstrations is a space that exercises the bare minimum of our freedom and rights and evokes us. His poetry represents existing problems, unresolved red tape, and the voice of the people struggling in restraint.
In this way, his poetic act of attempting to solve the societal problem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ves of the people is of appropriate significance in providing clues to the role of literature and the attitude that local literature should take. Therefore, for him, the 4·3 Incident is projected into every event where peace and human rights are threatened and become ever-present within our society. Above all, it is meaningful that beyond the restoration of memory through the various testimonies of April 3, the poetry induces active thinking by revealing the bare face of the incident, and continuously projects and summons the proposition of the 4·3 Incident to the present to trigger awareness. In addition, his poetic discourse surrounding criticism of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nd their transformations in order to resist repeated human rights abuses, and his attempt to promote a future with historical agency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of "memorial," "rally," and "solidarity" still has sufficient implications in today’s society.
Author(s)
김연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278
Alternative Author(s)
Kim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장인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과 연구사 검토 1
2. 연구 방법과 범위 8
Ⅱ. 전기적 고찰 12
Ⅲ. '43'의 기억과 재현의 윤리 26
1. '죽음'의 시적 증언 29
2. '죽임'의 미학적 응전 38
3. '삶'의 회복과 미완결의 환기 50
Ⅳ. '43'의 확장과 시의 정치성 58
1. '기억투쟁'으로서 추모와 애도 61
2. '평화운동'으로서 낭독의 정치 69
3. '43 정신'의 재발견과 시적 실천 77
Ⅴ. 시사적 의의 85
Ⅵ. 결론 91
참고문헌 95
ABSTRACT 100
김경훈 연보 10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연. (2023). 김경훈의 4·3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