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on Multicultural Receptiv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of school teachers and social workers in Jeju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To this end, from May 22, 2023 to May 31, 2023,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303 teachers and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mong the total of 36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03 questionnaires were used, excluding 9 unfaithful responses and 48 uncollected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8.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school teacher and graduate students or hig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eral trend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and these results mean that the level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was relatively high for school teachers and the group with graduate students or higher. . In addition, among the eight sub-factors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overseas travel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re overseas travel experiences, the higher the level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The general trend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men in their 30s, school teachers, and college graduates (including attending school), which means that 30s and women, school teachers, and college graduates (including attending school) had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means high. Among the sub-variabl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universa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it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in measuring the degre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variable that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Looking at the effect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ge, gender, friend experience, and travel exper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I was able to ascertain what was going 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 priority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multicultural contact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school teachers and social welfare workers in Jeju. The level of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can be improved by implementing appropriat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ights related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학교 교사와 사회복지 종사자의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23년 5월 22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 내 초·중·고등학교와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와 사회복지 종사자 30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배부된 설문지 총 36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 된 9부와 미회수된 48부를 제외하고 303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8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 접촉경험의 일반적 경향에서는 학교 교사와 대학원 재학 이상의 집단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학교 교사와 대학원 재학 이상의 집단이 다문화 접촉경험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문화 접촉경험의 하위요인 8가지 중 해외여행 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해외여행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 화 접촉경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문화 수용성의 일반적 경향은 30대와 여성, 학교 교사, 대졸(재학 포함)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30대와 여성, 학교 교사, 대졸(재 학 포함)이 다문화 수용성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의미한다.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변인 중 보편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수용성 정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수이며,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연령대와 성별, 친구 경험, 여행 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나이 가 어리고 여성일수록, 외국인 친구와 여행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학교 교사와 사회복지 종사자의 다문화 수용성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다문화 접촉경험의 기회를 늘리는 것이 우선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수용성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상과 수준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 및 인권 관련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다문화 수용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uthor(s)
유재선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279
Alternative Author(s)
Yu Jae-s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다문화 접촉경험 4
1) 다문화 및 다문화 접촉경험의 개념 4
2) 다문화 접촉경험 구성요소 7
2. 다문화 수용성 9
1) 다문화 수용성의 개념 9
2) 다문화 수용성의 구성요소 10
3. 선행연구 고찰 14
Ⅲ.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18
2. 연구 모형 19
3. 측정 도구 및 신뢰도 20
1) 다문화 접촉경험 20
2) 다문화 수용성 22
4. 자료 분석 방법 23
Ⅳ. 연구 결과 24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4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분석 26
3. 배경 변인에 따른 다문화 접촉경험의 집단 간 차이 분석 28
4. 다문화 수용성의 집단 간 차이 분석 30
1) 연령대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 수용성 30
2) 성별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 수용성 32
3) 직업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 수용성 33
4) 최종 학력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 수용성 34
5) 결혼 여부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 수용성 35
6) 종교 유무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다문화 수용성 36
5.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분석 37
6.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40
1)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40
2)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42
3)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보편성에 미치는 영향 44
4)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46
Ⅴ. 결론 및 제언 48
1. 연구 결과 요약 48
2. 제언 50
3. 연구의 한계점 5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유재선. (2023). 다문화 접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