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o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bstract
이 연구는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주요 연구 문제는 첫째,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둘째,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표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셋째, K-CBCL 6-18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 검사의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는 어떠한지 넷째,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와 보호자의 만족도는 어떠한가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제주도 거주하며 초등학교에 다니는 1학년, 2학년, 3학년 아동들 중 11명을 모집하였으며,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방역을 위해 임상집단을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임상집단1은 1학년과 2학년을 배정하였으며, 임상집단2에는 3학년을 배정하였다. 두 집단은 일주일에 1회씩 90분 동안 총 8회기의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두 집단에게는 동일한 프로그램과 동일한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평가도구는 김종두(2010)가 개발한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 검사와 King과 Emmons가 개발하고 하정이 번안한 EEQ 정서표현성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부모보고식 K-CBCL 6-18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비모수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정성적 분석을 위해 연구자인 치료 진행자가 기록한 회기별 기록지와 연구 대상자들과 보호자가 직접 작성한 만족도 평가지를 참고하였고, 부모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임상 집단은 사회성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와 사교성에 긍정적인 증가가 나타났으며, 협력성에서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정서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임상 집단은 정서표현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중 부정적 정서표현에서 사후검사 점수가 감소되었으며 아동들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K-CBCL 6-18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 검사 결과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K-CBCL 6-18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 미성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DSM 정서문제와 사회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연구 대상자와 보호자로부터 높은 만족도를 얻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태도 및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성적 분석에서 아동들은 집단음악놀이치료를 통해 함께하는 협력 과정을 경험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는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인 정서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hat changes does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bring about in children’s social skills? Secondly, what changes does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bring about in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Thirdly, what changes are brought about in the results of pre-assessments and post-assessments of the K-CBCL/6-18(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6 and 18, completed by participants’ parents)? Fourthly, to what extent are participants in the structu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and their parents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subject group of the study consisted of 11 children, who were living in Jeju and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Due to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clinical groups to adhere to social distancing an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Clinical group 1 wa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graders, while clinical group 2 comprised third graders. Both groups engage in a total of 8 sessions of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with each session lasting 90 minutes and occurring once a week.
The researcher provided the same program to both groups and conducted the same pre-assessments and post-assessments using three measurement tools: the SSRS (Social Skill Rating System) developed by Jongdu Kim, the EEQ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ng & Emmons and translated by Jeong Ha, and the K-CBCL/6-18 (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6 and 18, completed by participants’ parents). The researcher analyzed those pre-assessments and post-assessments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 non-parametric method, to validate effects of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dditionally,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records the researcher documented at each session while offering the therapy program, assessing satisfaction level rated by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kills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th clinical group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bility, which are subareas of social skills. The cooperation also enhanced, but the enhanc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both clinical group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areas of emotional expression. Among them, decreased post-assessment score i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dicated that the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hirdly,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K-CBCL/6-18 (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6 and 18, completed by participants’ parents).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immaturity, which is one of subclasses of K-CBCL/6-18,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SM-oriented emotional problems and sociality.
Fourthly, the structured group music play therapy received high satisfaction ratings from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and it also led to positive changes i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onclusion, the structured group music therapy program prov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qualitativ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children experienced a cooperative process and engaged in interactions during the group music play program, which brought about improvements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uthor(s)
정유경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281
Alternative Author(s)
Jeong, Yu Gy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김종우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용어의 정의 3
II. 이론적 배경 5
1. 집단음악놀이치료 5
2. 사회정서발달 9
3. 선행연구의 고찰 10
III. 연구방법 15
1. 연구설계 15
2. 연구대상 16
3. 연구도구 19
4. 연구절차 23
5.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 계획안 24
IV. 연구결과 및 분석 27
1. 사회성 기술 평정 검사 결과 분석 27
2. 정서표현성 검사 결과 분석 30
3. K-CBCL 6-18 한국판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부모용) 결과 분석 32
4.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 분석 33
5. 프로그램 회기별 기록에 대한 분석 37
V. 결론 및 제언 43
1. 결론 43
2. 제언 44
참고문헌 47
ABSTRACT 51
부록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정유경. (2023). 구조화된 집단음악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