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자발적 조직의 공식, 비공식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Official and Informal Support of Voluntary Organizations on Members’ Organizational Loyalty
Abstract
문화 예술분야에서 전문가들의 창작과 일반인들의 감상이라는 고정관념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감상자였던 개인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 욕구가 증가하면서, 자발적결사체 조직인 동호회를 결성하여 지역과 일상에서 다양한 가치와 효용을 생산하고 있다. 자발적결사체 조직은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운 만큼 쉽게 결성되기도 하지만 보상과 책임이 불분명하여 쉽게 와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자발적결사체 조직 형태로 확장해가고 있는 생활문화예술동호회를 연구 대상으로, 동호회 조직의 공식, 비공식지원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검증을 통해 동호회의 지속적 발전 요인을 규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매개변수는 심리학적 접근으로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을 매개 요인으로 검증했다.
연구의 설계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가설과 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가설은 조직의 공식, 비공식지원이 조직구성원의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를 실증 검증하고,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을 매개변수로 검증하려 했다. 설문지 구성은 가설과 연구 모형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31개를 도출하여 작성하였으며, 1차 10명의 생활문화예술동호회 운영진의 인터뷰를 통해 설문 문항을 확인 검토하였다. 본 조사의 자료수집은 생활문화예술동호 회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제주도 내외 지역에서 활동 중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 유효표본 243명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은 측정변수들의 판별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한 후 변수들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과 구조의 통계적 유의도와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문화예술동호회의 조직지원 즉 공식, 비공식지원은 동호회원들이 인식한 정서적, 학습적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비공식적 지원은 학습적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어, 생활문화예술동호회 참여에서 조직의 지원은 배움의 욕구보다는 정서적 영향에 더 큰 비중이 있다고 본다.
둘째, 생활문화예술동호회 조직지원이 정서적 몰입 및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 매개로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검증되었다. 이는 조직의 공식, 비공식지원이 적극적 일수록 동호회원이 느끼는 조직몰입의 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조직의 운영방식이 체계적일수록 조직에 더욱 애착을 갖게 되고, 비공식지원 신뢰감 이나 배려, 예술적, 학습적 지원 체계가 갖추어져야 조직구성원이 조직에 능동적으로 몰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직 운영진의 지원시스템이 요구된다.
셋째, 생활문화예술동호회 회원이 느끼는 정서적 유용성 및 학습적 유용성은 조직몰입에 완전 매개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문화예술동호회 구성원들은 자신의 창의성과 학습적 욕구가 강하고 정서적으로도 구성원 간의 수평적 조직의 분위기, 배려와 신뢰감이 높을수록 조직에 몰입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넷째,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을 매개변수로 검증 결과, 공식지원이 정서적 유용성을 매개로 지속적, 정서적 몰입에는 매개하지만 다른 가설들은 모두 기각 되었다. 이는 조직의 지원 중 조직의 체계적 지원, 즉 조직의 수평적 관계 맺음이나 신뢰감, 배려 등으로 조직몰입에 유의미하게 작동하며, 학습적 유용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이르지는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자발적결사체, 생활문화예술동호회 조직의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생활문화예술동호회 운영진은 조직의 체계적 지원시스템을 갖추고 구성원들이 정서적, 능동적으로 조직에 몰입하도록 조직의 지속적 발 전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ereotype of the creation of experts and the appreciation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is no longer valid. As the desire of individuals who were viewers to enjoy culture and arts increases, a voluntary association organization, a community, is formed to produce various values and utility in the local area and daily life. Voluntary associations are easily formed as they are free to join and leave, but they are also easily broken down due to unclear compensation and respon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inuous development factors of the community through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official and informal support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The parameters verified the positive functional usefulness of informal organizations as a mediating factor with a psychological approach.
The design of the study derived the hypothesis and model of the study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intended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ormal support on emotional commitment and sustained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o prove the effect of informal support on emotional and sustained commitment.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deriving 31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re checked and review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management of the first 10 members of the Living Culture and Community.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eople active in and around Jeju Island, with a population of participants in the Life Culture & Arts Communities and empirically analyzed with 243 final valid samples.
The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ter verify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suitability of the causal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organizational support of the Life Culture & Arts Community, that is, official and informal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motional and learning usefulness perceived by the community members. Informal support has been proven to have no effect on learning usefulness, and it is believ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greater weight on emotional effect than learning desire in participation in the Life Culture & Arts Community.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the Life Culture & Arts Community on emotional immersion and continuous imm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complete medi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active the organization's official and informal suppor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elt by community members. The more systematic the organization's operation method is, the more attached it becomes to the organization, and only when informal support, trust or consideration, artistic and learning support systems are in place can organizational members be actively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To this end, a support system from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team is requir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and learning usefulness felt by members of the Living Culture and Arts Community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by completely media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Members of the Living Culture and Arts Community have proven to be mor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as their creativity and needs are strong, and emotionally, the higher the non hierarchical organizational atmosphere, consideration, and trust among members.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ositive functional usefulness of informal organizations as parameters, official support mediates continuous and emotional commitment through emotional usefulness, but all other hypotheses were rejected. Among the organizational support, it has been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s significantly through organizational support,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non hierarchical relationships, trust, and consider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does not lea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learning usefulnes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 of the voluntary associations and the Living Culture and Arts Commun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nagement team of the Living Culture and Arts Community should have a systematic support system for the organization and striv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uthor(s)
송희경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290
Alternative Author(s)
Song, Hee Ky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Advisor
조부연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구성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7
1. 조직과 인간관계론 7
2. 비공식조직과 자발적결사체 9
1) 비공식조직의 개념과 특성 9
(1) 비공식조직의 개념 9
(2) 비공식조직의 순기능과 역기능 11
(3)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 12
(4)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 선행연구 13
2) 자발적결사체 15
(1) 자발적결사체의 개념 15
(2) 자발적 결사체의 유형 17
3. 생활문화예술동호회의 개념과 특성 24
1) 동호회의 개념 24
2) 생활예술문화동호회의 개념 26
3) 국내 생활문화정책의 흐름 30
4) 생활문화예술동호회의 특성 33
4. 조직지원인식 36
1) 조직지원인식의 개념 36
2) 조직지원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37
3) 공식적지원과 비공식적 지원 39
(1) 공식적 지원 39
(2) 비공식적 지원 40
5. 조직몰입 41
1) 조직몰입의 개념 41
2) 조직몰입의 구성 요인 42
(1) 정서적 몰입(affective commitment) 43
(2) 지속적 몰입(continuance commitment) 44
(3) 규범적 몰입(normative commitment) 44
3) 조직몰입의 선행연구 45
Ⅲ.연구설계 및 방법 48
1. 연구가설 48
1) 조직지원인식과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 48
2) 조직지원인식과 조직몰입 49
3)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과 조직몰입 50
4)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의 매개효과 50
2. 연구 모형 51
3. 변수들의 정의와 설문 설계 52
1) 공식적 지원, 비공식적 지원의 설문 설계 52
(1) 공식적 지원활동 52
(2) 비공식적 지원활동 53
2) 비공식조직의 순기능적 유용성의 설문 설계 53
(1) 정서적 유용성 53
(2) 학습적 유용성 54
3) 조직몰입의 설문 설계 54
(1) 정서적 몰입 55
(2) 지속적 몰입 55
4. 자료수집 및 조사 설계 56
5. 분석 방법 61
Ⅳ. 연구 결과 62
1. 측정 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 62
1)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64
2) 판별 타당성 검증 67
2. 연구모형 검증 68
1)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68
2) 경로 분석 및 연구모형 검증 69
3) 가설검증 결과 70
4) 매개효과의 검증 73
Ⅴ. 결론 75
1. 연구의 요약 75
2. 연구의 시사점 77
1) 이론적 시사점 77
2) 실무적 시사점 78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9
참고문헌 81
Abstract 90
부록 9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송희경. (2023). 자발적 조직의 공식, 비공식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Culture and Arts Manage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