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의 걸궁 수용과 변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transition for Geolgung in Jeju Island
Abstract
이 연구는 20세기 초 제주도에 걸궁이 유입된 이래 지난 한 세기 동안의 수용 양상과 변천상을 살펴본 종합적인 논의이다. 한국의 마을공동체 신앙과 그에 따른 의례는 크게 무당굿과 농악대굿으로 나뉘어 별도의 전승 기반을 구축해왔다. 제주도는 전통적으로 무당굿이 우세한 지역에 속한다. 이 때문에 농악대굿의 형태가 ‘걸궁’이라고 하는 형식으로 20세기 초엽에 이르러서야 이름으로 제주도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제주도의 전통적인 노동 형태와 경제 구조가 다른 지방과 달라서 농악이 정착할 기반이 취약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농악은 주로 논농사에 기반을 둔 중부 이남 지방 일대의 두레 공동노동조직에서 싹텄다. 제주도에도 수눌음이라고 불리는 두레와 유사한 마을조직이 있었지만 다른 지방처럼 지주와 소작농 간에 이루어지는 계약노동과는 달리 자급자족에 기반한 교환 노동을 목적 삼은 조직이었다. 대규모의 노동력을 요구하는 두레 노동에서 두레농악이 탄생한 다른 지방의 내력과 사뭇 달랐던 것이다.
그러나 농업 노동과 분리되어 마을공동체의 공동 사안을 해결하기 위해 치르는 걸립농악의 일종인 걸궁만큼은 각별하게 보였을 가능성이 크다. 걸궁이 전근대 시기에는 마을 향사의 건립을 위한 기금 조성, 근대 이후에는 전기와 수도 등 기간시설의 공사비를 마련하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주도의 전통적인 당신앙 속의 거리굿과 걸궁이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서 문화적 거부감 또한 비교적 작았던 것도 수용을 촉발하기에 적절했다.
제주도의 걸궁 수용은 유교적 가치 규범에 기초한 남성 중심의 향촌 조직이 주도했다. 제주 사회에 유교적 가치 규범을 정착시키기 위한 남성 중심의 향촌 조직의 노력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유식 의례인 포제를 자리 잡게 한 바 있다. 포제는 유교식 의례인데, 전통적인 당제와 분별되고, 특정 지역의 돗제와도 준별되는 각별한 의례이다. 이들이 선택한 방법은 무식 의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유식 의례와의 습합이었다. 이들은 노력은 포제와 마을굿을 연계하며 유교와 무속이 절충된 의례를 탄생시키는 것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선택한 것이 바로 걸궁이다.
그러나 제주도에서 걸궁을 수용하기 시작한 시점은 한국사회가 일제에 의해 강제병합을 당하는 충격적인 사회변동을 맞이한 시기였음을 환기할 필요가 있다. 이로 말미암아 제주도의 걸궁은 일제에 의해 식민통치의 관제문화 중 하나로 변질되었다. 20세기 초를 전후해 자발적 수용한 시기의 걸궁이 ‘자생적 걸궁’의 단초였다면 이후로 이어진 일제강점기의 걸궁은 ‘강요된 걸궁’이라고 할 수 있다. 자발적 형태의 걸궁과 외압적인 걸궁이 공존한 것은 시대적 조건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걸궁의 처지는 해방 이후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4·3과 6·25 등을 거치며 크게 위축되었다가 활력을 되찾았지만 이내 개발주의에 편승한 민속정책에 휘말렸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미신타파운동을 벌이는 한편 민속을 관제화하기 위해 각종 민속축제와 경연대회를 만들어냈다. 그렇게 해서 마침내 제주도에서도 ‘걸궁경연대회’가 생겨났다. 이 때문에 모처럼 되살아났던 ‘자생적 걸궁’은 관제화된 민속으로 전락하며 ‘왜곡된 걸궁’ 또는 ‘재가공된 걸궁’의 길을 걷게 된 것이 오늘날에 이르렀다. 이처럼 사회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자생적 걸궁’, ‘강요된 걸궁’, ‘왜곡된 걸궁’, ‘재가공된 걸궁’으로 변화해 온 제주도의 걸궁의 연대기는 크게 ‘수용기, 정착기, 변형기’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제주도에 걸궁을 들여온 수용 주체들이 그것의 정착을 위해 주체적으로 기울였던 노력의 면면을 살펴보면 재래의 무속과 결합을 시도했다는 사실이 포착된다. ‘무당굿’과 ‘농악대굿’을 절충하며 다른 지방의 농악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 연행양식을 고안해낸 것이다. ‘제비ᄊᆞᆯ점, 성주풀이, 사냥놀이, 놀판굿’이 그것이다. 이와 더불어 양반, 포수, 심방 등의 주술성에 기반한 잡색들이 걸궁 연행의 중심을 점유하며 만들어낸 특유의 연행방식 또한 걸궁이 거둔 성과 중 하나다. 그런가 하면 제주도민들은 4·3과 6·25라는 학살과 전쟁으로 인한 레드컴플렉스라는 집단 트라우마 극복의 장치로도 걸궁을 활용했다. 군인과 경찰이라는 다중적 의미의 ‘잡색’을 고안해 사회적 의제까지 연희에 포괄하는 성취를 이루어낸 것이 대표적인 예다.
종합하면 제주도의 걸궁 수용과 변천 과정은 20세기 초에서 현재에 이르는 한국의 근현대사에 대해 ‘걸궁’을 주제 삼아 조명하는 민중의 역사 중 한 페이지라고 할 수 있다. 국가로 대표되는 권력이 행사하는 문화의 지배 방식과 이에 대응하는 민중의 대응방식이 각축을 벌이며 오늘날 제주 사회에서 ‘걸궁’이라고 부르는 민속의 산물이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discussion that examines the acceptance and transition process over the past century since Geolgung was introduced to Jeju Islan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beliefs of Korean village community and their rituals have been largely divided into mudang (shaman)-gut and nongak-dae(farmers’ percussion)-gut, and have been passed down separately. Traditionally, Jeju Island is a region dominated by shaman rituals. For this reason, nongak-dae-gut began to flow into Jeju Island under the name of ‘Geolgung’ only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is the reason that the weak foundation for nongak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ucture of traditional labor and economic structure in Jeju Island, compared to the other provinces. The nongak in Korea began to sprout out within a jointed labour organization, Dule, basic in rice farming from south central region. Though there was the similarity to the Dule, so called Sunuleum, in Jeju Island, the Sunuleum had the purpose of exchange labor basic in self-sufficient, which is different to the contract labor between landlords and tenant farmers. It indicates the difference of Jeju Island from the other province, in which Dule-nongak was born in Dule-labor requred massive labor.
However, it is great possible that Geolgung is a king of Geolip nongak;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o solve the public issues from village commuinities divided by agriculture labor. The reason is that Geolgung is conducted for collecting the funds to built a village event in the early modern times, and after the modern times, Geolgung is used for raising public funds to construct the infra structure, such as electricity and water. Furthermore, the acceptance of Geolgung was also sparked by the less cultural rejection against it, in due to a similarity with street exorcism which belongs to the Jeju traditional shrine faith.

In fact, the acceptance of Geolgung in Jeju Island was led by male-dominated rural village organizations based on Confucian values ​​and norms. The efforts of male-centered rural organizations to establish Confucian values ​​and norms in Jeju societ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Poje, or a ceremonial ritu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Poje is a special Confucian ceremonial ritual, and is also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Dang ritual and discrimianted with Dod-je in the certain province as well. Dod-je indicates the shamanistic ritual to sacrifice a pig. The way they chose was not to exclude the rites, but to combine them with the already established rites. Their efforts led to the creation of rituals that harmonized Confucianism and shamanism by linking Poje with village exorcism. In the process, Geolgung. was created that way.

However, the point at which Geolgung began to be accepted in Jeju Island was when Korean society faced substantial social changes when it was forcibly annexed by Japan. As a result, Geolgung in Jeju Island was transformed into one of the governmental rites of colonial rule by the Japanese. If the Geolgung in the period of voluntary accepta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spontaneous Geolgung', then the Geolgung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at followed could be called 'forced Geolgung'. It is assumed to the conditions of the times in coexistence between 'spontaneous Geolgung' and 'forced Geolgung'.

The status of Geolgung did not change much after liberation. After going through 4·3 and 6·25, etc., it greatly shrank and regained vitality, but soon became implicated in folklore policy that took advantage of developmentis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eld various folk festivals and contests in order to control folklore while holding a campaign to dispel shamanism. Finally, the ‘Geolgung Competition’ was also created in Jeju Island. Because of this, the 'natural Geolgung', which was revived after a long time, degenerated into controlled folklore and walked the path of 'distorted Geolgung' or 'reprocessed Geolgung' until today. In this way, the transition of Jeju's Geolgung, which has changed into 'spontaneous Geolgung', 'forced Geolgung', 'distorted Geolgung', and 'reprocessed Geolgung'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cceptance period, settlement period, and transformation period'.
Meanwhile, if you look at the efforts that the recipients who brought Geolgung to Jeju Island made on their own initiative to establish it, it is a fact that they attempted to combine with traditional shamanism. It is a combination of ‘Mudang-gut’ and ‘Nongakdae-gut’, and devised a performance style that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rom Nongak in other regions. For instance, they are ‘Swallow Fortune Telling, Seongju Folksong, Hunting Games, and Nolpan Percussion gut’. In addition, ‘Japsaek’ which refers to the dancing of people dressed up without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n a Nongak troupe. based on shamanism such as nobleman, catcher, and shaman occupy the center of Geolgung performance, and the unique performance method is also one of the achievements of Geolgung. On the other hand, Jeju residents also used Geolgung as a device to overcome collective trauma called the red complex caused by the massacres and wars of 4·3 and 6·25.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achievement of incorporating social agendas into entertainment by devising ‘Japsaek’ with multiple meanings of soldiers and police officers.
In summary, the acceptance of Geolgung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Jeju Island can be one of the pages of the people's history that sheds light o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with 'Geolgung' as the theme. This is the way how a folk product called 'Geolgung' in today's Jeju society was form after the cultural dominant method exercised by the state-power and the people's response method in response to it competed.
Author(s)
한진오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299
Alternative Author(s)
Han, Jin Oh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Advisor
허남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 자료의 선정 7
4. 용어 정리와 연구방법 13
Ⅱ. 걸궁의 기록양상 18
1. 벽사의례와 걸궁의 계통론적 유래와 양상 18
2. 각종 기록에 나타난 제주도 걸궁의 면모 42
3. 소결 77
Ⅲ. 제주도 걸궁의 실제 사례 79
1. 사회변동의 시대적 전개와 변모 79
2. 걸궁의 수용기 : 유입과 강요의 시기(1900년대 초반~1940년대 중반) 83
3. 걸궁의 정착기Ⅰ : 해방공간의 성행기(1940년대 중반~1950년대) 108
4. 걸궁의 정착기Ⅱ : 절정기와 왜곡기의 교차(1960년대~1970년대) 121
5. 걸궁의 변형기Ⅰ : 정체성 상실의 시기(1980년대~1990년대) 155
6. 걸궁의 변형기Ⅱ : 재가공된 걸궁의 고착화(2000년대) 163
7. 소결 168
Ⅳ. 제주도 걸궁의 사회 역사적 맥락 170
1. 제주도 걸궁의 배경론적 맥락 171
2. 제주도 걸궁의 연행론적 의미 188
3. 제주도 걸궁의 사회적 기능과 의의 211
4. 제주도 걸궁과 다른 지역 농악의 변화상 226
5. 소결 233
Ⅴ. 결론 23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진오. (2023). 제주도의 걸궁 수용과 변천.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Korea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