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COVID-19 팬데믹 동안 종합병원 간호사의 우울 영향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during COVID-19 Pandemic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동안 종합병원 간호사의 우울, 직무요구,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조직적 지지의 정도와 제 변수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주도에 소재한 6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240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4월 28일부터 2023년 5월 7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step-wis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우울 점수는 평균 15.49±11.57점, 외상 후 스트레스 17.90±16.10점, 직무요구 2.96±0.45점, 사회적 지지 평균 3.79±0.48점이었고, 조직적 지지 평균 2.74±0.51점이었다.

2. 우울은 근무형태(t=-2.96,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대근무자가 전일제 근무자보다 우울 정도가 높았다.

3. 직무요구는 연령(F=2.86, p=.038), 매뉴얼 제공 여부(t=-2.12, p=.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 결과 30세~35세 미만이 25세 미만인 경우보다 직무요구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외상 후 스트레스는 동거인 유무(t=2.14, p=.036), 근무형태(t=-4.00, p=.<001)와 매뉴얼 제공 여부(t=-2.30,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거인이 있는 경우, 교대근무자, 그리고 매뉴얼을 받지 못한 경우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보이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없었다.

6. 조직적 지지의 경우, 총 임상경력(F=3.30, p=.02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 경력이 많아질수록 조직적 지지를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우울, 직무요구,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조직적 지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울은 직무요구(r=.24, p<.001) 및 외상 후 스트레스(r=.40,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적 지지(r=-.31, p<.001)와 조직적 지지(r=-.21, p=.001)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8.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상 후 스트레스(β=.33, p<.001), 사회적 지지(β=-.30, p<.001), 직무요구(β=.21, p<.001)이었다. 이들 변수들은 우울의 총분산의 26.4%를 설명하였다(F=29.55, p<.001).

본 연구 결과, 간호사들은 지속적인 우울과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나타나 COVID-19 팬데믹 이후에도 간호사들의 우울과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직무요구가 간호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우울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요구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에서 실질적인 일상회복을 시작하는 시점에서도 간호사들이 지속적인 우울과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간호사들의 우울과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직무요구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여 간호사들의 우울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요구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방안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demand, post-traumatic stres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depression in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nur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40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six months in six general hospitals on Jeju Island from April 28 to May 7 of 2023.
This study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ES-D scale validated by Jeon et al., (2001) to measure depression in nurses. To measure job demand, among the Korean job stress measurement items developed by Chang et al., (2004), eight questions related to job demand were used. Post-traumatic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K) translated by Eun et al., (2005) and amended by Kim and Choi (2021). To assess social support, Weinert's (1988) PRQ-Ⅱ tool, as amended by Kim & Kim (2011) and used by Jin and Kim (2017) was used, while for organizational support, the measurement method of Jin and Kim (2017)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 one-way ANOVA, Scheffe’s test,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y multiple regression (step-wise) using IBM SPSS/WIN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depression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15.49. The mean score for post-traumatic stress was 17.90, and the mean scores for job demand,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support were 2.96, 3.79, and 2.74, respectively.
2.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t=-2.96, p=.007). Shift workers were more depressed than non-shift workers. Job dem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F=2.86, p=.038) and on the provision of a COVID-19 manual (t=-2.12, p=.035). Job demand was higher in the group aged 30~35 than in the group aged under 25. Regarding post-traumatic stress,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living with someone (t=2.14, p=.036), type of work (t=-4.00, p=<.001) and the provision of a COVID-19 manual (t=-2.30, p=.025). Post-traumatic stress was higher in the participants who were living with someone, doing shift work, and in those who were not provided with a COVID-19 manua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For organizational suppor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linical experience (F=3.30, p=.021). The more clinical experience the participants had, the less organizational support they perceived.
3. Dep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demand (r=.24, p<.001) and post-traumatic stress (r=.40, p<.001) and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support (r=-.31, p<.001) and organizational support (r=-.21, p=.001).
4.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the participant were post-traumatic stress (β=.33, p<.001), social support (β=-.30, p<.001), and job demand (β=.21, p<.001). These factors explained 26.4% of the variance in the depression outcomes (F=29.55, p<.001).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1.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nurses continue to suffer from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manage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in nurses,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2. In this study,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stress were the factors found to influence depression in nurses. To develop a program to mitigate their depression, plans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duce post-traumatic stress in nurses must be devised.
3. In this study, given that job demand was also one of the factors found to influence depression in nurses, reducing job demand levels should be done to mitigate depression. Therefore, as hospitals and the nation prepare for national disasters such as new infectious diseases, arranging clear work systems in hospitals and securing an appropriate level of nursing personnel with feasible plans for their deployment are necessary.
4. In this study, organizational support was not a factor influencing depression in nurses,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demand, a factor found to influence depression. Thus, to mitigate depression in nurses,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plans at the hospital level to lower job demand levels, a factor found to affect depression in nurses.
5. New infectious diseases have a long-term effect on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in nurses. Consequently, longitudinal studies are suggest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in this vulnerable group.
Author(s)
백시현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02
Alternative Author(s)
Si Hyun Bae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김정희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용어 정의 4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5
2. 연구 대상 6
3. 연구 도구 6
4. 자료수집 방법 8
5. 자료 분석 9
6. 윤리적 고려 9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및 직무 특성 10
2. 우울, 직무요구,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조직적 지지의 정도 13
3. 일반적 및 직무 특성에 따른 우울, 직무요구,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조직적 지지 정도의 차이 14
4. 우울, 직무요구,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조직적 지지의 상관관계 17
5. 우울의 영향요인 18
Ⅳ. 논의 19
Ⅴ. 결론 및 제언 28
참고 문헌 31
부록 41
Abstract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백시현. (2023). COVID-19 팬데믹 동안 종합병원 간호사의 우울 영향요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