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저항성 훈련 순서와 형태가 남자 대학생의 기초체력, 근비대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sequence and form on basic physical strength, hypertrophy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male college student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저항성 운동시 관절순서(Study I)와 프로그램(Study II)이 남자 대학생의 신체 구성, 기초체력, 근비대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I에서는 성인 남성 대학생의 신체 구성, 기본 체력, 최대 근력 및 등속 근기능에 대한 저항운동 8주 동안 단 관절 및 다관절 운동순서 변화의 영향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I은 성인 남성 대학생 30명이 참여해, 통제그룹(Control group: CG, n=10), 다단관절-다관절 운동그룹(Single-Multi joint group: SMG, n=10), 다관절-단관절 운동그룹(Multi-Single joint group: MSG, n=10)으로 무선할당하였다. 운동그룹은 8주간 주 3회, 1일 60∼90분간 저항성 운동을 수행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1RM 60%∼80%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반복 횟수는 1RM 60% 15회, 70% 12회, 80% 8회, 80% 5회, 휴식시간은 60∼90초, 운동프로그램 간 3분 동안 휴식하였다. 운동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모두 그룹은 운동 8주 전, 신체 구성, 기초 체력, 최대 근력, 근육 둘레,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 등속성 근기능을 운동 참여 전, 후에 측정하였다. 모든 변인의 집단 간, 시기 간에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 참여 전(0주), 저항성 운동 참여 후(8주)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후, 사후검정으로 Tukey (post-hoc)를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집단 내 시기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모든 분석의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MG에서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악력은 증가하였다. 또한, 제지방량, 신체 둘레,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견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은 CG보다 SMG, MSG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연구 II에서는 저항성 운동시 복합세트(Compound set), 피라미드세트(Pyramid set) 및 슈퍼세트(Super set), 세 가지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의 형태가 성인 남성 대학생의 상·하관절의 주동근과 길항근의 근력 및 근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II는 40명의 성인 남성 대학생이 참여했으며 통제그룹(Control group; CG, n=10), 복합세트그룹(Compound set exercise group; CSG, n=10), 피라미드세트그룹(Pyramid set exercise group; PSG, n=10) 및 슈퍼세트그룹(Super set exercise group; SSG, n=10)으로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운동그룹은 8주 동안 주 3회 1일 60∼90분씩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운동집단의 운동강도는 1RM 60∼80%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복합세트의 운동강도와 반복 횟수는 1RM 60% 강도로 15회, 70% 강도로 12회, 80% 강도로 8회, 80% 강도로 5회, 각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은 총 4개 그룹, 운동시간은 각 그룹당 30∼40초, 운동 간 휴식시간은 10초, 운동프로그램 간 휴식시간은 3분으로 하였다. 피라미드세트의 운동 강도와 반복 횟수는 1RM 60% 강도로 15회, 70% 강도로 12회, 80% 강도로 8회, 80% 강도로 5회, 운동시간은 30∼40초, 운동 간 휴식시간은 60∼90초, 세트 간 휴식시간은 3분으로 하였다. 슈퍼세트의 운동 강도와 반복 횟수는 1RM 60% 강도로 15회, 70% 강도로 12회, 80% 강도로 8회, 80% 강도로 5회 실시하였으며, 운동시간은 30∼40초, 운동 간 휴식시간은 10초, 운동프로그램 간 휴식시간은 3분으로 하였다. 운동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운동 8주 전에 실험 대상자는 신체 구성, 기초 체력, 1RM, 근육 둘레,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 및 등속성 근 기능을 측정하고 8주 후에 다시 측정하여 30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한다. 본 연구의 측정 자료는 SPSS for windows(Versio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ve statistics)을 통해 모든 변인의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할 것이며 집단 간, 시기 간에 차이 검증을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 참여 전(0주), 저항성 운동 참여 후(8주)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Tukey (post-hoc)를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집단 내 시기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모든 분석의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CSG에서 윗몸일으키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어깨 등속성 근기능은 PSG가 가장 유의하게 향상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무릎 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에서 저항성 운동그룹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함께, 제지방량, 신체 둘레,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유연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joint sequence (Study I) and program (Study II) o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fitness, muscle hypertrophy,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male college students during an 8-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In Study I,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changes in single-joint and multi-joint exercise sequences during an 8-week resistance train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fitness, maximum muscle strength,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adult male college students. For Study I, 30 adult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ontrol group (CG, n=10), a single-multi joint exercise group (SMG, n=10), or a multi-single joint exercise group (MSG, n=10).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s performed resistance exercises for 60-90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e exercise intensity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60% to 80% of their one-repetition maximum (1RM). The number of repetitions was set at 15 times at 60% of 1RM, 12 times at 70%, 8 times at 80%, and 5 times at 80%. Rest time was set at 60-90 seconds, with 3 minutes of rest between exercise programs. To confirm the effect of exercise, we measured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fitness, maximum muscle strength, muscle circumference, flexibility, agility, power,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for all groups before the program and again 8 weeks later. We used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o identif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and time periods for all variables. After conducting a one-way ANOVA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efore (week 0)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resistance exercise program (week 8), we used Tukey's post-hoc test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dditionally, we conducted a paired-sample t-test to track changes over time within each group.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 for all analyses was set at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fat percentage and an increase in grip strength in the SMG group. Furthermore, lean body mass, body circumference,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gility, flexibility,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the shoulder joint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MG and MSG groups compared to the CG group.

In Study II,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 Compound set, Pyramid set, and Super set - on the strength of the agonist and antagonist muscles of the upper and lower joints of adult male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ir effect on muscle hypertrophy.
In Study II, 40 adult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CG, n=10), a compound set exercise group (CSG, n=10), a pyramid set exercise group (PSG, n=10), and a super set exercise group (SSG, n=10).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groups performed resistance exercises for 60-90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e exercise intensity for all
groups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60% to 80% of 1RM.
For the compound set, the number of repetitions was set at 15 times at 60% of 1RM, 12 times at 70%, 8 times at 80%, and 5 times at 80%. Exercise time was 30 to 40 seconds for each group, with a rest time of 10 seconds between exercises and 3 minutes between programs. For the pyramid set, the exercise duration was 30 to 40 seconds with the same number of repetitions and intensities as the compound set. However, the rest time between exercises was 60-90 seconds, and the rest time between sets was 3 minutes. For the super set, the exercise intensity, number of repetitions, and rest times were identical to the compound set. To confirm the effect of exercise, we measured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fitness, 1RM, muscle circumference, flexibility, agility, power,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eight week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We used the data of 30 participants for the analysis. For the measurement data of this study, we will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all variable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rough the SPSS for Windows (Version 21.0) statistical program.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efore (week 0) and after participation in resistance exercise (week 8), a one-way ANOVA was performed. Additionally, we conducted a paired-sample t-test to track changes over time within each group.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 for all analyses was set at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it-up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SG group, and the PSG group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 in shoulder isokinetic muscle function. Additionally, all resistance exercise groups positively affected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the knee joint, as well as lean body mass, body circumference,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gility, and flexibility.
Author(s)
유붕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10
Alternative Author(s)
Liu Pe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서태범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가설 7
4. 연구의 제한점 9
5. 용어의 정의 10
II. 이론적 배경 13
III. 연구Ⅰ: 저항성 운동 시 단관절과 다관절 운동순서가 남자 대학생의 신체 구성, 기초체력, 최대 근력 및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 17
1. 연구의 필요성 17
2. 연구의 목적 19
3. 연구 방법 20
4. 측정항목 및 방법 23
5. 자료처리 28
6. 연구 결과 29
IV. 연구Ⅱ: 저항성 운동프로그램 형태가 상하지 관절의 주동근과 길항근 근력 및 근비대에 미치는 효과 137
1. 연구의 필요성 137
2. 연구의 목적 140
3. 연구 방법 141
4. 운동프로그램 143
5. 측정항목 및 방법 144
6. 자료처리 149
7. 연구 결과 150
V. 논 의 258
VI. 결론 및 제언 26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유붕. (2023). 저항성 훈련 순서와 형태가 남자 대학생의 기초체력, 근비대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ines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