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삶의 의미가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가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 소재 고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군집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12월 15일부터 2022년 12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제주시 소재 고등학교 2곳, 서귀포 소재 고등학교 2곳에 총 51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97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문항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46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삶의 의미 척도(총 10문항, 7점 Likert), 자아탄력성 척도(총 20문항, 5점 Likert)와 주관적 안녕감 척도(총 30문항, 4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변수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삶의 의미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와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은 서로간의 관계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의 하위변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 매개하여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행복한 성장을 위하여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탄력성이 매개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매개변인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살펴봄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된 호소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이나 상담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삶의 의미추구 및 발견하는 것에 대해 탐색하고 구체적으로 개입할 방법들을 모색하며 실현해나가도록 도움으로써 고등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I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a cluster of first and second graders of high schools in Jeju Island was cluster-sampled.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December 15, 2022 to December 30, 2022, and a total of 5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wo high schools in Jeju City and two high schools in Seogwipo City to collect 497 copies. Among them, 46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or missing questions. The study’s measurement tools used the meaning scale of life (10 questions, 7 points Likert), the self-resilience scale (20 questions, 5 points Likert),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30 questions, 4 points Like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data,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addition, a three-stag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on subjective well-being, and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high school students’ lives, self-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showed a static correlation in their relationships.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in the path through which meaning pursuit and meaning discovery,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meaning of high school students’ live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To sum 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e happy growth of high school students and empirically verified that self-resilience mediates. This is meaningful in finding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for appeals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ounseling scene and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education or counseling programs by examining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ediating variable is significant. It is also expected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 their self-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by exploring and realizing ways to specifically intervene in the counseling scene.
Author(s)
최미나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14
Alternative Author(s)
Choi Mi-N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연구모형 7
4.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삶의 의미 10
가. 삶의 의미 개념 10
나. 삶의 의미 하위요인 12
다.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 13
2. 주관적 안녕감 14
가. 주관적 안녕감의 개념 14
나.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16
3. 자아탄력성 18
가. 자아탄력성의 개념 18
나.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20
4.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 21
가.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 21
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23
다. 삶의 의미와 자아탄력성 24
라.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25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및 절차 27
2. 연구도구 28
가. 삶의 의미 척도 28
나. 자아탄력성 척도 29
다. 주관적 안녕감 척도 29
3. 자료처리 및 분석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2
2. 삶의 의미,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관계 33
3.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34
가.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34
나. 고등학생의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36
다. 고등학생의 의미발견과 주관적 안녕감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38
Ⅴ. 논의 및 결론 41
Ⅵ. 참고문헌 46
Abstract 62
부록 64
설문지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최미나. (2023). 삶의 의미가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