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 작품론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Theory on the Works of Toshiko Tamura (田村俊子) -Aspects of gender conflict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bstract
다무라 도시코는 메이지 유신 이후 제도적으로 정립된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일본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로 여성의 자립과 섹슈얼리티를 당당하게 주장한 보기 드문 작가이다. 도시코 작품 속의 여주인공들은 강렬한 자아의식을 지녔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고는 견고한 가부장제로 표상되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낸 도시코의 작품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고찰했다. 도시코는 작품에서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정신적인 일을 직업으로 선택해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고정적 젠더역할에 대한 도전이며 이로 인해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었던 도시코의 삶을 투영했다고 보았다. 도시코가 창출한 여성들의 자아의식은 때로는 미숙하기도 하지만 당시로서는 새로운 자아개념을 정립하고자 분투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도시코 작품의 주제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연애와 결혼을 둘러싼 갈등이 중심적인 축을 이루고 있다. 도시코는 자신을 비롯한 주변의 신여성들의 삶을 관찰하여 작중에서 실험하고 있음에도 주목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 여섯 편을 선정하여 주인공의 삶과 의식의 발전 단계를 연대기적으로 추적하여 젠더 갈등의 양상을 도출했다. 첫 번째 작품 『생혈(生血)』은 미혼 여성이 처음으로 성적 체험을 한 이후 겪게 되는 내면의 복잡한 심리를 그린 작품이다. 메이지 말기부터 대두된 청년들의 자유연애와 성에 관한 담론을 소재로 남성과 여성간의 불평등한 젠더 위상에 대해 고발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작품 속 여주인공의 의식은 주위의 시선을 부단히 의식하고 있어서 전근대적이라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도출했다.
두 번째 작품『미라의 입술연지(木乃伊の口紅)』는 오랜 연애기간을 거쳐 결혼에 이른 근대적인 부부의 생활을 그린 작품이다. 미노루와 요시오는 결혼 이후 요시오의 작품이 팔리지 않아 경제적으로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 때 남편 요시오가 제시한 방책은 결별이라는 수순이다. 이에 반해 아내 미노루는 자신이 돈을 벌면 되니까 결별할 수 없다고 단호한 의지를 보인다. 여기서 남성의 무능과 비겁한 자세가 부각된다. 요시오는 저널리즘 시대의 도래로 여성 문인들도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을 기민하게 포착한다. 미노루는 요시오의 권고로 현상공모에 소설을 투고하여 당선된다. 여성도 전통적인 젠더역할의 제약에서 벗어나 지적인 일로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준 작품이라고 보았다. 작품의 마지막에 나오는 미라 꿈은 이를 상징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작품『여작가(女作者)』는 문필업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작가 부부가 등장인물이다. 여작가는 일상에 찌든 속악한 마음으로 글쓰기를 하는 것은 예술에 대한 모독으로 생각하는 진지한 인물이다. 순수한 예술혼을 지닌 소설가로 변신하기 위해 정성스럽게 화장을 하고 창작에 임하게 되는데 이것은 예술에 대한 진지한 태도에서 나온 하나의 성스러운 의식이라고 보았다. 또한 이 작품에 나오는 부부 갈등은 아내의 예술에 대한 남편의 몰이해이며 가치관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도출했다. 남편과의 갈등의 골을 메울 수 없으면서도 결별을 하지 못하는 것은 첫사랑이라는 주박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작가는 별거 결혼이라는 결혼형태를 제시하고 당시로서는 최선의 형태로 주장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작품『포락지형(炮烙の刑)』은 여성의 불륜에 대해서만 제도적으로 강하게 처벌하는 불평등한 법제도에 도전장을 내민 작품이라고 보았다. 이 작품의 여주인공은 남편이 있음에도 다른 남성을 사랑하는 행위에 대해 인정해 줄 것을 당당하게 주장한다. 여주인공 류코에게서 비정상적으로 과잉된 자아의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남성에게는 여러 명의 처첩이 용인되지만 여성에게는 그것이 왜 불가능한지 항의하는 도발적인 문제제기라고 도출했다.
다섯 번째 작품『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은 도시코의 실생활과 합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험을 시도한 작품으로 보았다. 여주인공 마사코는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살면서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인물이다. 그러던 중 여성을 독립된 자아로서 인정하고 자아실현을 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남성을 만나 결혼한다. 이 약속은 결혼 이후 지켜지지 않는다. 이것은 인습적인 가부장사회에서 젠더 구조를 바꾼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말해준다. 결국 여주인공이 현실과의 타협점으로 찾은 것은 ‘사랑의 힘’ ‘사랑의 신앙’ 이라는 정신승리이다. 이 작품은 그 당시 여성들이 처한 딜레마를 대변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여성 스스로가 근대적 자아의식과 더불어 양성평등이라는 젠더의식을 지니지 않는 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작가가 역설하고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 작품『파괴하기 전(破壊する前)』은 도시코 부부상극의 마무리라 할 수 있는 작품이다. 쇼교와 결별을 결심하고 에쓰를 선택하는 과정을 면밀히 그리고 있다. 『파괴하기 전』의 ‘파괴’는 F와의 결혼생활에 대한 종지부를 의미하고 있다고 보았다. 여주인공 미치코는 남편에게 끌려 다니고 억압 받던 끝에 심신이 피폐해진 인물이다. 이 때 나태와 방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진심 어린 충고를 해주는 인물 R이 나타난다. R의 진심 어린 인간애에 마음이 움직이게 된 미치코는 거듭나게 되고 타성적으로 살아온 남편과의 생활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등장인물들의 연대기적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마지막 작품이 『파괴하기 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것처럼 다무라 도시코의 문학은 자신의 결혼생활을 기저로 하여 다이쇼기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젠더의 위상과 여성의 자립이라는 문제를 주제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Toshiko Tamura was an exceptional novelist who confidently advocated women’s independence and sexuality in the voice of a woman in Japanese society, dominated by the ideology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a concept which was institutionally established following the Meiji Restoration. The heroines in her works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all have a strong sense of self.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Toshiko Tamura, who had a voice with confidence as a woman in a male-centered society represented by a solid patriarchal syst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her novels, Toshiko Tamura demonstrates that women, just like men, can choose a job requiring mental intelligence and, as a result,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Not only is this a challenge to the rigidly fixed gender roles of women, but it can also be seen as a reflection of Toshiko’s life, in which she was bound to have conflicts. Although the self-awareness of the women created by Toshiko Tamura is sometimes immature, the traces of struggles to establish a new self-concept in those days can be found.
The main theme of Toshiko’s works is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love and marriage between men and women in a male-centered society. This paper also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uthor observed the lives of modern women, including herself, and experimented with her observations in her works.
This paper selects six of her representative novels that encapsulate what Toshiko Tamura was trying to say and chronologically traces the lives and development stages of consciousness of the protagonists to draw the aspects of gender conflicts. Ekichi (Lifeblood: 生血), the first novel this paper deals with, portrays the mixed emotions that a single woman feels after having her first sexual experience. With the discourse on free love and sex among young people as its subject, which started to emerge from the end of the Meiji era, she tries to report the unequal gender statu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the novel still shows the limitation of being old-fashioned as the heroin is constantly conscious of how others around her think about her.
The second novel, Miira no Kuchibeni (Rouge-lipped Mummies: 木乃伊の口紅), depicts the life of a modern couple who got married after dating for a long time. Since Minoru and Yoshio got married, the couple has faced financial difficulties as Yoshio’s works have not sold well. Against this backdrop, the solution that Yoshio, the husband, comes up with is to divorce. On the other hand, Minoru, the wife, shows a firm determination that she won’t separate from him because she thinks that she can earn money. In the scene, men’s incompetence and cowardly attitude are highlighted. Yoshio swiftly detects that female writer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make money thanks to the advent of journalism. Yoshio recommends Minoru to submit her fiction to the contest for money and she ends up winning the prize. It is considered to be a work that shows the confidence that women can gain from becoming economically self-sustaining by engaging in intellectual work, breaking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gender roles. The mummy’s dream at the end of the novel conveys it symbolically.
Onna Sakusha (A Woman Writer: 女作者), the third novel, features a couple who earns a living by writing literary works. The woman writer is a serious person who thinks that writing with a vulgar mind, exhausted from everyday life, is an insult to art. In order to transform into a novelist with a pure artistic spirit, she engages in writing after carefully putting on makeup, and she regards it as a sacred ritual born out of her sincere attitude toward art. In addi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rital conflict shown in this novel stems from the lack of the husband’s understanding of his wife’s art and the difference in values that each pursues. The reason why the wife’s not able to separate from her husband even though she cannot fill the chasm of conflict with her husband is that she’s still bound to the fact that he is her first lov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woman writer suggests a marriage where they don’t live together and still argues that it is the best option at the time.
The fourth novel, Horaku no Kei (The Torture of Hot Pillar: 炮烙の刑), is a work that challenges the unequal legal system in which only women receive severe punishment for infidelity. The heroine of this novel boldly demands that her husband should accept the fact that she loves another man, even though she’s a married woman. An abnormally excessive sense of self can be seen from Ryuko, the heroine. However, it is concluded that the author raises a provocative question to protest why women are not allowed to have several husbands and male concubines, while men are allowed to do so.
The fifth work, Kaisetsu Saegusa Kazuko (Her Daily Life:彼女の生活), is viewed as an experimental work in that it doesn’t match Toshiko Tamura’s real life. Masako, the female protagonist, is a person who wants to lead her own single life freely, without getting married. However, she meets and marries a man who recognizes that women are independent beings and who tells her that he will actively help her to realize herself. However, he fails to keep his promise after marriage. This tells people how difficult it is to change the gender structure in a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y. In the end, what the heroin finds as a compromise with her reality is the spiritual victory of “the power of love” and “the faith in love.” It can be said that this novel represents the dilemma women faced at that time. As such, the author emphasizes that such a dilemma cannot be resolved unless women themselves have modern self-awareness along with a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last novel that this thesis covers is Hakai Suru Mae (Before the Fall: 破壊する前), and it can be said to be a work that concludes the conflict between Toshiko Tamura and her husband. The fiction describes how the protagonist decides to break up with Shokyo and chooses Etsu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the “fall” in Hakai Suru Mae represents the end of the marriage with character F. Michiko, the heroine, is a person who is physically and mentally exhausted after being dominated and oppressed by her husband. Appearing then is a character R, who gives her sincere advice so that she can break from indolence and self-indulgence. Michiko, whose heart was touched by R’s sincere love for humanity, is finally reborn and puts an end to her life with her husband, who had been controlling her. Hakai Suru Mae can be said to be the last work showing the chronological growth process of the characters.
As discuss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oshiko Tamura’s literature, based upon her own marriage, deals with the unequal gender status of men and women and women’s independence during the Taishō period.
Author(s)
오상은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35
Alternative Author(s)
Oh Sang-E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김난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연구 배경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1
3.1 연구 대상 11
3.2 연구 방법 13
Ⅱ. 작품 세계 15
1. 생혈(生血)론 15
1.1 들어가며 15
1.2 "유린(蹂)"이라는 자의식에서 나온 유코의 폭력성 17
1.3 "생혈"과 붉은색의 상징 24
1.4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유코의 전근대성 28
1.5 나오며 31
2. 미라의 입술연지(木乃伊の口紅)론 32
2.1 들어가며 32
2.2 미라의 입술연지소설 탄생의 배경 34
2.3 소설가 부부의 갈등 38
2.4 꿈의 상징성과 미노루의 자립 43
2.5 나오며 48
3. 여작가(女作者)론 49
3.1 들어가며 49
3.2 창작을 위한 의식으로서의 화장(化粧) 50
3.3 창작의 고통과 남편의 몰이해 54
3.4 별거 결혼이라는 실험 59
3.5 나오며 62
4. 포락지형(烙の刑)론 64
4.1 들어가며 64
4.2 포락지형이라는 제목의 상징성 67
4.3 여주인공 류코의 성격 72
4.4 파국으로 치닫는 등장인물들 76
4.5 나오며 79
5.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론 81
5.1 들어가며 81
5.2 다이쇼기 여성의 경제적 자립과 결혼기피 82
5.3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에 갇혀 있는 신여성들 85
5.4 정신승리로 현실을 타개해 나가는 여성의 한계 87
5.5 나오며 92
6. 파괴하기 전(破する前)론 93
6.1 들어가며 93
6.2 F가 표상하는 세속적 현실주의 95
6.3 R이 표상하는 감성적 박애주의 100
6.4 방황 끝에 찾은 재생의 길 106
6.5 나오며 110
Ⅲ.결론 113
참고문헌 118
Abstract 127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오상은. (2023).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 작품론.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