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원예치료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이용하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Self-Esteem, Stre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a Youth After-School Academy
Abstract
이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이용하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제주도 서귀포시 A 시설의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이용하는 중학생 12명이다. 연구자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2022년 12월 말부터 2023년 3월까지 매주 1회, 60분씩 총 6회기로 진행하였다. 시작하기에 앞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참가자 전원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척도 검사를 진행하였고, 모든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같은 척도를 이용하여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를 혼합하는 방식이다. 양적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척도 검사를 대상자에게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질적 연구는 프로그램 진행시 대상자에게 인터뷰와 만족지를 진행한 것이다. 이 연구에 이용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내용은 한국 원예치료복지협회 교재를 기반으로 꽃심기, 이끼를 이용한 액자만들기, 수중식물 만들기, 잔디인형만들기, 케이크 및 부케만들기이다. 연구자는 SPSS 22.0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 방법인 비모수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원예치료프로그램에서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사후 전체 자아존중감 중 하위영역인 사회적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향상되었다. 스트레스 영역에서도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 회기가 진행될수록 스트레스 감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원예치료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정서 반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이용하는 중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효과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소근육을 이용한 만들기 프로그램이 아닌, 더 나아가 실외공간, 숲을 이용한 프로그램으로 확대시킨다. 그래서 확대시킨 프로그램인 산림치유로 심신에 안정적이고 쾌적감, 건강증진, 사회성 회복, 스트레스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에 접근이 필요하다고 논의 및 제언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써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이용하는 중학생들에게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서적 변화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tr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a youth after-school academ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hanges in self-esteem and stress by implementing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2 middle school students who use the Youth After School Academy at Facility A in Seogwipo City, Jeju Island.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a total of six sessions of 60 minutes, once a week, from the end of December 2022 to March 2023. Before the program began, self-esteem and stress scales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scales after all programs.
The research method is a mix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administering pre- and post-tests to the subjects of self-esteem and stress scales.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participants during the program and asking them about their satisfaction. The conten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ed in this study were planting flowers, making picture frames using moss, making underwater plants, making lawn dolls, and making cakes and bouquets based on the textbook of the Korea Horticultural Therapy and Welfare Association. The researcher used SPSS 22.0 to analyze the data using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elf-esteem, a sub-scale of overall self-esteem, from pre- to post-test using a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s the program progressed. Stress was also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it was found that stress decreased as the sessions progressed.
The changes in self-esteem and stress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ith various groups of adolescents, including middle school students who use youth after-school academies.
The researcher expanded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include outdoor spaces and forests, rather than just crafting programs using small muscles. Therefore, it was discussed and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pproach a study that shows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an expanded program, on the mind and body, comfort, health promotion, social recovery, and str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an be used as an emotional change program by applying it to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Youth After School Academy.
Author(s)
김매련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36
Alternative Author(s)
Kim Mae-R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김종우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7
1. 원예치료의 이해 7
가. 원예치료의 개념 7
나. 원예치료의 효과 8
다. 원예치료의 이론적 접근 11
Ⅲ. 연구방법 13
1. 연구대상 및 절차 13
2. 연구도구 14
가. 자아존중감 척도 14
나. 스트레스 척도 16
다. 프로그램 설계내용 1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8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2. 자아존존감 척도 사전사후 비교 19
3. 스트레스 사전사후 비교 24
4. 원예치료프로그램 회기별 관찰결과 28
5. 원예치료프로그램 대상자별 만족도 37
Ⅴ. 결론 39
1. 논의 39
2. 결론 40
참고문헌 42
Abstract 45
부 록 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매련. (2023). 원예치료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이용하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