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 중년 여성의 유산소 신체활동과 근력운동이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제8기 3차년도(2021)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Status in Korean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the data of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21)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3차년도(2021)도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중년 여성(40~65세)을 대상으로 유산소 신체활동과 근력운동이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횡단 조사 연구이다. 40~65세 중년 여성 1,353명을 대상으로 유산소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 상태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하였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따른 유산소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 실천율은 교차 분석(Rao-Scott χ2 test)시행, 연관성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유산소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차이는 일반 선형모형, 정신건강 상태의 차이는 교차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따른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연령대에서는 45~49세(47.6%), 소득수준에서는 ‘상’(46.9%), 교육 수준에서는 대졸 이상(46.8%), 결혼상태에서는 배우자 비동거(43.6%), 음주는 음주군(44.1%), 경제활동 여부에서는 비취업자(43.9%), 흡연 여부에서는 비흡연 군(43.5%), BMI 군에서는 정상(46.4%), 폐경 여부에서는 인공폐경 군(47.7%)이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실천율이 높았고 흡연과 BMI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력운동은 연령대에서는 60~64세(23.0%), 소득수준 ‘상’(21.3%), 교육 수준에서는 대졸 이상(21.4%), 결혼상태에서는 배우자 비동거 군(20.1%), 음주 군은 비음주 군(18.5%), 경제활동에서는 비취업자 군 (21.3%), 흡연 여부에서는 비흡연 군(17.9%), BMI 군에서는 정상 군(23.1%), 폐경 여부에서는 자연 폐경 군 (21.0%)에서 상대적으로 실천율이 높았고, 소득수준과 경제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2)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따른 유산소 신체활동은 흡연과 BMI에서 연관성이 있었고 근력운동은 소득수준, 교육 수준, 경제활동, BMI와 연관성이 있었다.

3) 유산소 신체활동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전체 총점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하위 영역인 계단 오르기, 우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정신건강 상태의 차이는 자살 생각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유산소 신체활동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에서 미치는 영향은 계단 오르기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고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4) 근력운동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차이는 전체 총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고 하위 영역인 계단 오르기, 기억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정신건강 상태에서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 영역인 계단 오르기와 행복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범불안장애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한 삶의 질과 정신건강 상태를 높이기 위한 건강관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This study is also a cross-sectional survey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aerobic physical activity and muscle health movement on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 middle-aged women (40-65 years old) by utilizing raw data for the eighth year of the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2021). Aerobic physical activity, muscle exerci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status were investigated in 1,353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5. For the data analysis, a composite sample design was applied, and the rate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practi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was cross-analysis (Rao-Scott χ 2 test),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general linear models were used fo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erobic physical activity and muscle exercise, cross-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actice rate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of the subjects was 45-49 years old (47.6%), 'upper' (46.9%) in income level, unaccompanied (43.6%) in marriage, non-drinking (44.1%), and non-smoking (43%) in the menopause group (43%). The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exercise was high in the age group of 60 to 64 (23.0%), income level of "upper" (21.3%), college graduates (21.4%) at the level of six, non-spouse group (20.1%) in marriage, non-drink group (18.5%) in economic activity, and non-smoking group (179%), and BMI (23%).

2) The physical activity of aerobic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was related to smoking and BMI and the muscle movement was related to income levels, education levels, economic activity and BMI.

3) aerobic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BMI, while muscle strength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and BMI.

4)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total score of the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muscle exercise, and significant results in the sub-areas, stair climbing, and memo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jogg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area stair climbing and happiness, and the effect on mental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n-anxiety disord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to improve healthy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status
Author(s)
한예자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65
Alternative Author(s)
Han, YeJ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홍성철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용어의 정의 3
II. 연구 방법 6
1. 연구 설계 6
2. 연구 대상 6
3. 연구 도구 6
4. 자료의 수집 및 절차 9
5. 분석 방법 10
6. 윤리적 고려 11
III. 연구 결과 12
1.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따른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과 근력운동 실천율의 차이 12
2. 유산소 신체활동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HINT-8) 및 정신 건강 상태의 차이 18
3. 근력운동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HINT-8) 및 정신건강 상태의 차이 20
4. 유산소 신체활동에 건강 관련 삶의 질(HINT-8) 및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22
5. 근력운동이 건강 관련 삶의 질(HINT-8) 및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25
Ⅳ. 논의 30
Ⅴ. 결론 및 제언 35
참고문헌 38
Abstract 4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한예자. (2023). 한국 중년 여성의 유산소 신체활동과 근력운동이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제8기 3차년도(2021)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Public Health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