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낙상 관련 지식, 태도 및 낙상 예방 활동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Knowledge of Falls, Attitude toward Falls, and Activities to Prevent Falls of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낙상 지식, 태도 및 낙상 예방활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낙상 태도와 낙상 예방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낙상 예방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J시와 S시에 소재한 12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입사 6개월 이상인 요양보호사 2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대상자의 낙상 지식 점수는 14점 만점에 평균 10.59±2.67점이며 낙상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2±0.34점, 낙상 예방 활동은 4점 만점에 평균 3.65±0.26 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낙상 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 지식, 태도, 낙상 예방 활동의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낙상 지식에서 결혼 상태(t=3.53, p=.016), 소속기관 지역(t=2.06, p=.040)에서 차이가 났고 낙상 태도에 있어서는 교육 수준(t=2.06, p=.040), 소속기관 지역(t=2.96, p=.003), 근무 형태(t=7.16, p=.001), 주관적 건강 상태(t=3.12, p=.046), 일상 스트레스(t=-2.80, p=.006)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낙상 예방 활동에 있어서는 교육 수준(t=2.88, p=.004), 소속기관 지역(t=3.07, p=.002), 시설 규모(t=18.16, p<.001), 근무 형태(t=7.40, p=.001), 삶의 만족도(t=2.88, p=.004), 낙상 예방 교육 횟수(t=3.40, p=.035)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낙상 예방 활동이 낙상 태도(r=.13, p=.046)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낙상 태도도 낙상 지식(r=.26, p<.001)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낙상 지식은 낙상 예방 활동(r=-.03, p=.603)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4) 대상자의 낙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낙상 지식(β=.24, p<.001), 일상 스트레스(β=.16, p=.016), 학력(β=.15, p=.026), 주관적 건강 상태(β=.14, p=.028)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낙상 예방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 규모(β=.27, p=.001), 학력(β=.23, p<.001), 낙상 태도(β=.17, p=.008), 삶의 만족도(β=.14, p=.02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낙상에 대한 태도와 낙상 예방 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낙상 지식의 교육과 함께 요양보호사 대상 맞춤형 힐링 프로그램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의 검증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survey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fall knowledge, attitudes, and the degree of fall prevention activities for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fall attitude and fall prevention activiti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41 nursing care workers with more than 6 months of employment at 12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J and S cities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ubject's fall knowledge score is 10.59±2.67 points on average, the fall attitude is 3.72±0.34 points on average, and the fall prevention activity is 3.65±0.26 points on average.
2) In fall knowledge, there were differences in marriage status(t=3.53, p=.016) and affiliated institution area(t=2.06, p=.040), and in fall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level(t=2.06, p=.040), affiliated institution area(t=2.96, p=.003), work type(t=7.16,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t=3.12, p=.046), and daily stress(t=-2.80 , p=.006). In terms of fall prevention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 level(t=2.88, p=.004), area of affiliated institutions(t=3.07,p=.002), size of facilities(t=18.16, p<.001) and type of work(t=7.40, p=.001), life satisfaction(t=2.88, p=.004), the number of fall prevention training sessions
(t=3.40, p=.035).
3) Fall prevention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ll attitude(r=.13, p=.046), and fall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ll knowledge(r=.26, p<.001). However, fall knowledg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ll prevention activities(r=-.03, p= .603).
4) The factor affecting the subject's fall attitude is fall knowledge(β=.24, p<.001), daily stress(β=.16, p=.016), academic background(β=.15, p=.026), subjective health status(β=.14, p=.028).
5) The factor affecting the fall prevention activity of the subject is the size of the facility(β=.27, p=.001), academic background(β=.23, p<.001), Falling attitude(β=.17, p=.008), life satisfaction(β=.14, p=.020).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ttitude and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ombine customized healing programs along with repeated fall knowledge and verify their effects.
Author(s)
문지혜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68
Alternative Author(s)
Moon, Ji-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Advisor
홍성철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용어 정의 4
II. 연구 방법 7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7
2. 연구 도구 8
3. 자료 분석 10
III. 연구 결과 12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
2. 연구 대상자의 건강 및 낙상 관련 특성 14
3. 연구 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낙상 예방 활동 정도 16
4.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낙상 지식, 태도 및 낙상 예방 활동 차이 22
5.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낙상 예방 활동 간 상관관계 28
6. 낙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
7. 낙상 예방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Ⅳ. 논의 33
1. 연구 대상자의 낙상 지식, 태도, 낙상 예방 활동 정도 33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낙상 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 지식, 태도 및 낙상 예방 활동의 차이 36
3. 연구 대상자의 낙상 관련 지식 및 태도, 낙상 예방 활동 간의 상관관계 38
4. 연구 대상자의 낙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8
5. 연구 대상자의 낙상 예방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
Ⅴ. 결론 및 제언 42
참고문헌 46
Abstract 53
부록 1. 연구참여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 55
부록 2. 연구 대상자용 설문지 60
부록 3. 도구 사용 승낙서 67
감사 인사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문지혜. (2023).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낙상 관련 지식, 태도 및 낙상 예방 활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Public Health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