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on adjusting to school lif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 1.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가설 1-1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부(-)적 영향이 있을 것이다.
가설 1-2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다.
가설 1-3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학교, 서귀포시 1학교를 포함한 총 3개의 고등학교 1, 2학년 37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는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24명(남 188명, 여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측정 도구는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자료처리 및 통계분석방법으로 SPSS 18.0과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각 측정 도구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주요 변인들에 관한 기술 통계량을 산출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여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함께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감소하며,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아지고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증가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감소한다는 의미이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연구 결과에서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서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학교생활적응을 완화하기 위해 무엇보다 학교 현장이나 상담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등학생에게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개입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high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Hypothesis 1-1 There will be a negative (-) effect on the relationship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Hypothesis 1-2 There will be a positive (+)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aptation.
Hypothesis 1-3 There will b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between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78 first and second gradersin three high schools, including 2 schools in Jeju-si and 1 school inSeogwipo-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selected. Themeasurement tools used were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school life adaptation measures.
school life adaptation measures.In this study, the SPSS 18.0 and PROCESS Macro 4.2 programs were usedas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o verify the researchhypothesis. In order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each measurement tool,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descriptive statistics for major variables were calculated to conduct correlationanalysis. In addition, a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conducted using the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to verify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Sobel test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gether to verify the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analyzedthese data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re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re was a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adaptation,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stress, the lower theacademic stress, the highe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Thismeans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stress, the lower the academicself-efficacy, and the lower the academic stress, the higher the academicself-efficacy. In addition, the hig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higher the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lower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lower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Second,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adaptation.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directly affects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has a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school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igh schoolstudents'academic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were related to each other, and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a 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adaptation. Therefore, in order to ease high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school life due to academic stress,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counseling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in schoolsites and counseling processes to fi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can be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송현지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72
Alternative Author(s)
Song Hyeon j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7
3. 연구모형 8
4. 조작적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학업스트레스 10
2. 학업적 자기효능감 13
3. 학교생활적응 15
4. 각 변인과의 관계 17
가.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17
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18
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20
라.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2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3
1. 연구대상 23
2. 측정도구 23
가. 학업스트레스 척도 23
나. 학교생활적응 척도 24
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25
3. 자료처리 분석 26
Ⅳ. 결과 및 해석 27
1. 주요 변인의 인구학적 특성 27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28
3.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29
4.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30
Ⅴ. 논의 및 제언 34
1. 결과 요약 및 논의 34
2. 결론 및 제언 36
Ⅵ. 참고문헌 39
Abstract 49
부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송현지. (2023).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