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위험지각과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Risk Perceptions and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by Lifestyle Types on Satisfaction : Focusing on domestic tourists visiting Jeju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bstract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이후 관광산업은 매우 심각한 피해를 받게 되었고, 사람들은 코로나19 감염 공포와 우울감, 스트레스 이른바 ‘코로나블루’ 증상을 겪으며 코로나19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소비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변화가 생겼다. 그리고 코로나19와 제주 관광과 관련된 연구는 몇몇 탐색적 연구들에 불과한 상황으로 현재 정부의 코로나 위기단계 조정 등 방역 정책들도 많이 완화되어 코로나19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도 추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시점에서 실증연구의 필요성은 충분히 제기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제주를 방문한 20세 이상 내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위험지각과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새롭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라이프스타일과 위험지각, 관광지 선택속성 그리고 만족도에 대한 하위요인을 도출하였고, 변수 간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모형과 변수 간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 1은 라이프스타일과 위험지각 간 관계, 가설 2는 라이프스타일과 선택속성 간 관계, 가설 3은 위험지각과 선택속성 간 관계, 가설 4는 라이프스타일과 만족도 간 관계, 가설 5는 위험지각과 만족도 간 관계, 가설 6은 선택속성과 만족도 간 관계에 대해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각 변수에 대한 측정도구는 코로나19로 인한 감염공포와 우울감, 스트레스, 건강 관심, 위생과 청결, 경제적 불안 등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제주를 방문한 20세 이상 내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고 코로나19로 인한 대면조사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전문업체를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600명의 조사대상 표본을 선정하여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유효 표본 600부를 대상으로 SPSS 22.0(빈도분석)과 Smart PLS 4.0을 사용하여 1단계 측정모델 분석과 2단계 구조모델 분석 적합성을 확인하고 가설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가설 1은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건강추구형, 활동추구형, 실용추구형만 위험지각 요인 중 경제적위험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설 2는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건강추구형이 선택속성 요인 중 문화적요인과 실용추구형이 코로나안전요인 간 관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가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설 3은 위험지각 요인 중 코로나위험은 선택속성 요인 코로나안전, 문화, 매력, 힐링요인에 또한, 신체적위험은 코로나안전요인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 관계로 나타났으며, 경제적위험은 매력요인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로 나타났다. 가설 4는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건강추구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유형 모두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설 5는 위험지각 요인 중 경제적위험만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 관계로 나타났다. 가설 6은 관광지 선택속성 요인 코로나안전요인, 문화요인, 매력요인, 힐링요인 모두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반영하지 못했던 코로나19와 제주 관광과 관련된 영향 관계를 보다 실증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데에 학술적인 의미와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 대상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건강추구형, 활동추구형, 보수추구형, 실용추구형 모두 코로나위험과 신체적위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관계로 나타나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수준이 많이 안정화되고 또한, 정부의 위기단계 조정 등 일상적 관리체계로의 전환 추진 등을 고려하여 이제부터 제주도와 관광 관련 업계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시점으로 돌아가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활동추구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유형 모두 경제적위험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을 고려할 때 제주 관광에 대한 고비용 인식 해결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이후 약 3년이 지난 코로나19 감염 위험성과 방역정책 등이 많이 완화된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향후 코로나19 팬데믹 종식과 더불어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해야 하는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기가 다가오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연구의 공간적 범위 및 표본선정의 확대와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를 비교할 수 있는 연구 등 좀 더 심화한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Since the decla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the tourism industry has suffered severe damages, and people have experienced fear and depression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as well as symptoms of so-called “corona blues.” They have also undergone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and lifestyle to protect themselves from COVID-19. However, research on COVID-19 and Jeju tourism remains limited to exploratory studies, and the current government’s quarantine policies, such as adjusting the corona crisis level, have been greatly relax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changes in tourists’ perceptions during the pandemic and empirical studies to prepare for the post-COVID-19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s based on lifestyle types and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their impact on satisfaction among domestic tourists aged 20 and above who visited Jeju Isl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sub-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expected changes in lifestyle, risk perceptions,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Hypothesis 1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risk perceptions, Hypothesis 2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ypothesis 3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s and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ypothesis 4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atisfaction, Hypothesis 5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and Hypothesis 6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s for each variable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sidering specific situations such as fear and depression caused by COVID-19, stress, health, hygiene and cleanliness, and economic insecurit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research survey company to target domestic tourists aged 20 and above who visited Jeju Isl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aking into account the risks of COVID-19 infection. A total of 600 respondent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collected sample of 600 valid responses from the online survey, the study conducted a two-step analysis: the first step involved measurement model analysis using SPSS 22.0 (frequency analysis), and the second step involved structural model analysis using Smart PLS 4.0 to test the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lifestyle types of Hypothesis 1, only the health-seeking, activity-seeking, and practical-seeking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conomic risk among risk perceptions factors (Hypothesis 1). Among the lifestyle types, health-seeking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cultural factors, and practical-seeking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ll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except for COVID-19 safety factors (Hypothesis 2). Among the risk perceptions factors, COVID-19 risk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COVID-19 safety, cultural, attractiveness, and healing factors, while physical risk showed negative influence only on COVID-19 safety factor, and economic risk showed positive influence only on attractiveness factor (Hypothesis 3). Except for the health-seeking type, all other lifestyle typ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atisfaction (Hypothesis 4). Only economic risk among the risk perceptions factors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Hypothesis 5). All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including COVID-19 safety, cultural, attractiveness, and healing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atisfaction (Hypothesis 6).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and distinctiveness in empirically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d Jeju tourism, which were not adequately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Among the lifestyle types of the study participants, none of th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OVID-19 risk and physical risk,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COVID-19 crisis has stabilized. Considering the transition to a daily management system, such as government disease control regulations, stakeholders in Jeju Island and the tourism industry have suggested the need for a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attract tourists, as in the period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dditionally, excluding the activity-seeking lifestyle type, all other lifestyle typ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only with economic risk, highlighting that awareness efforts are needed to solve the high-cost problem of Jeju tourism.

This study was conducted approximately three years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during a period when the risk of COVID-19 infec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measures had significantly eased. However, as a crucial period approaches, which involves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and preparations for the post-COVID-19 era,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in-depth empirical research, such as expanding the spatial scope and sample selection and comparing the pre- and post-pandemic periods.
Author(s)
김기현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81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관광개발학전공
Advisor
임화순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5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제2장 이론적 고찰 8
제1절 라이프스타일(Lifestyle) 8
1. 라이프스타일 개념 8
2. 라이프스타일 유형 13
3. 라이프스타일 측정과 분석 18
4. 라이프스타일 관련 선행연구 20
제2절 위험지각(Risk perceptions) 23
1. 위험지각 개념 23
2. 위험지각 구성요인 28
3. 위험지각 측정 34
4. 위험지각 관련 선행연구 35
제3절 관광지 선택속성(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38
1. 관광지 선택속성 개념 38
2. 관광지 선택속성 구성요인 43
3. 관광지 선택속성 측정 48
4. 관광지 선택속성 관련 선행연구 49
제4절 만족도(Satisfaction) 52
1. 만족도 개념 52
2. 만족도 구성요인 56
3. 만족도 측정 57
4. 만족도 관련 선행연구 58
제3장 연구설계 60
제1절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60
1. 연구모형 60
2. 가설의 설정 61
제2절 조사설계 76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76
2. 설문지의 구성 79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84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84
2. 분석 방법 87
제4장 실증분석 89
제1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89
1. 인구통계적 특성 89
2. 관광 내용적 특성 90
제2절 기술통계 분석 94
제3절 측정모델 평가 99
1. 구성개념별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 99
2. 측정모델 평가 종합 106
제4절 구조모델 평가 107
1. 구조모델 평가 107
2. 구조모델 평가 종합 110
제5절 가설검증 111
1. 직접영향에 대한 가설검증 111
2. 특정간섭효과 매개효과 검증 121
3. 가설검증 결과 종합 124
제5장 결 론 132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132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35
1. 학술적 시사점 135
2. 실무적 시사점 138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140
참고문헌 141
설문지 165
ABSTRACT 171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기현. (2023).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위험지각과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Data Science for Sustainable Growth > Tourism Develop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