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alatalization of Sino-Korean Character Sounds
Abstract
본 연구는 18세기 이후의 한국 자전류(字典類) 문헌에 나타나는 한자음의 구개음화 현상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운옥편(全韻玉篇)』(1796?)ㆍ『자전석요(字典釋要)』(1909)ㆍ『신자전(新字典)』(1915) 등에 수록된 한자음을 정리한 후 그 가운데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한자음을 대조하면서 한자음의 구개음화 실현 양상, 그리고 구개음화의 변화 과정을 비교ㆍ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제로 이론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자전의 개념이 무엇인지, 자전과 관련이 있는 ‘자림(字林), 자원(字源), 자통(字通), 자관(字貫), 자휘(字彙), 사서(辭書), 사림(辭林), 자서(字書), 자석(字釋), 자류(字類), 자해(字海), 석사서(釋辭書), 어전(語典), 유서(類書), 사원(辭源), 사해(辭海)’ 등의 용어를 살펴보았고, 옥편과 자전 그리고 운서의 관계도 설명하면서 대표적인 문헌 자료도 제시하였다. 동시에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인 18세기 말경에 간행된 『전운옥편(全韻玉篇)』(1796?)과 19세기 초에 간행된 『자전석요(字典釋要)』(1909)ㆍ『신자전(新字典)』(1915)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첫째는 세 문헌의 편찬 시기, 편찬 배경, 문헌의 체제 및 범례, 문헌의 발행 판본(版本) 및 이본(異本) 사항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는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과 각 운서ㆍ자서와 맺은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는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 등 자전류 문헌의 중요성과 자료적 가치를 밝혔다. 다음으로 구개음화 현상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특히 ㄷ구개음화의 통시적 변화 양상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어중고음의 41자모(字母), 등(等), 개합(開合) 등의 구개음화 실현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자전류 문헌에 구개음화 관련 한자음 현황을 검토하였다. 우선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에 수록된 한자음에 포함되고 있는 한국어 음운 체계를 살펴보았으며, 이 중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한자음 1,595자를 추출하여 환경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에 수록된 한자음 중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것을 중세한국어 시기 한자음과의 대조를 통해 구개음화 현상을 거쳤는지 또는 구개음화 현상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1,595자에서 구개음화 현상을 거칠 수 있는 한자음과 『전운옥편』 시기까지 이미 구개음화가 완성된 한자음, 그리고 『자전석요』ㆍ『신자전』 시기에 이르러서야 구개음화가 완성된 한자음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제4장에서 근대 후기의 자전류 문헌에 한자음 구개음화의 실현율과 점유율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자음 구개음화의 실현 양상을 사성칠음을 바탕으로 설음(舌音) 안의 구개음화의 확산 규칙 및 원인을 밝혔다.
제4장에서는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의 한자음 구개음화 실현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중 구개음화의 음운론적 해석과 한어중고음 성운학(聲韻學)적 해석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비율을 제시해 보았다. 동시에 근대한국어 시기의 다른 문헌에 나타난 한자음 구개음화 양상도 살펴보면서 한자음 구개음화의 통시적 확산 양상을 밝혀보았다. 분석 결과로 보아 한자음의 구개음화는 이른 시기에 시작하였지만, 확산 속도와 완성 시기는 고유어보다 훨씬 늦은 시간에 완성되었음을 밝혔다.
제4장 마지막 부분에서 해당 한자음들의 구개음화의 과도교정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에서는 ‘ㄷ, ㅌ+ i, j’ 환경의 과도교정의 예로 볼 수 있는 한자가 확인되지 않았다.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의 자료적 성격상 과도교정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즉, 『전운옥편』은 운서인 『규장전운』의 보편(補篇)으로 간주하여 『규장전운』의 규범음(規範音)을 반영했기 때문에 당시 현실 한자음보다 과도교정과 같은 현상이 쉽게 나타날 수 없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자전류 문헌에 수록된 한자음은 고유어와 문학 작품의 한자음보다 비교적 보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 부분으로 전체 논의로써 얻은 결론을 제시하고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이를 앞으로의 연구 방향으로 삼도록 하였다. |One of the most prominent phonetic phenomena manifested in modern Korean is palataliz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palatalization in Sino-Korean character sounds in the post-18th century period. To achieve thi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ino-Korean pronunciations recorded in works such as "Jeonunokpyeon(全韻玉篇)"(1796?), "Jajeonseokyo(字典釋要)"(1909) and "Shinjajeon(新字典)"(1915) was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alization patterns of Sino-Korean character sounds that correspond to palatalization environments. Additionally, we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palatalization over time.
Palatalization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the fortis stops /ㄷ, ㄸ, ㅌ/, and the palate closure sound/ㄱ, ㄲ, ㅋ/ become palatal affricates /ㅈ, ㅉ, ㅊ/ before the semivowels /i, j/, and the laryngeal friction /ㅎ/ becomes the alveolar friction /ㅅ/. In a broader sense, palatalization also encompasses phenomena such as the addition of the semivowel /j/ before /i, j/ and the elision of /ㄴ/ before /i, j/. However, in Korean, it is commonly understood that palatalization refers to the phonetic phenomenon where a series of non-palatal stops such as /ㄷ, ㅌ/ becomes palatal stops /ㅈ, ㅊ/ before the semivowels /i, j/. Based on this premise,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palatalization of ‘ㄷ’ that can occur before /i, j/.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character sounds in the works "Jeonunokpyeon", "Jajeonseokyo" and "Shinjajeon" where palatalization is both realized and not realized. Additionally, the patterns of overcorrection and the timing of when palatalization was fully established in these lexicographic works are discussed in detail.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and precise understanding of palatalization in Korean.
Author(s)
이길경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82
Alternative Author(s)
Li, Jiqi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배영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동기 1
2. 연구사 검토 4
3. 연구 대상 및 방법 8
3.1. 연구 대상 8
3.2. 연구 방법 13
Ⅱ. 기초적 논의 17
1. 자전류 문헌의 자료적 특성 17
1.1. 자전의 개념 17
1.2. 자전류 문헌의 간행 양상과 특징 21
1.3. 자전류 문헌의 중요성 및 자료적 가치 36
1.3.1. 자전류 문헌의 중요성 36
1.3.2. 자전류 문헌의 자료적 가치 40
2. 구개음화 현상의 특징에 대한 고찰 41
2.1. 구개음화 정의에 대한 고찰 41
2.2. 구개음화 유형에 대한 고찰 44
2.3. ㄷ구개음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 46
3. 한어중고음 사성칠음 및 구개음 환경 52
Ⅲ. 자전류 문헌에 구개음화 관련 한자음 현황 55
1. 대상 문헌 한자음의 음운 체계 55
2. 대상 문헌 구개음 환경의 한자음 양상 60
3. 중세한국어 시기 한자음과의 대조 62
4. 전운옥편 한자음 구개음화 실현 양상 132
4.1. 구개음화 실현된 한자음의 현황 132
4.2. 구개음화 실현되지 않는 한자음 현황 135
4.3. 한자음 구개음화의 사성칠음적 해석 143
Ⅳ. 자전류 한자음 구개음화 실현 양상에 대한 고찰 147
1. 자전류 한자음 구개음화의 음운론적 해석 147
2. 한자음 구개음화 실현 양상의 통시적 고찰 155
3. 한자음 구개음화 과도교정에 대한 해석 158
Ⅴ. 결론 160
참고문헌 163
ABSTRACT 170
부록 1전운옥편 수록된 구개음 환경의 한자음 상황 172
부록 2전운옥편의 체제의 원문 177
부록 3자전석요의 범례 및 체제의 원문 178
부록 4신자전의 범례 및 체제의 원문 17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길경. (2023).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