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사회자본과 공동체 의식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n Donation Behavior : Focusing on the Jeju region
Abstract
최근 우리 사회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같은 사회적 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복지재정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한적인 복지재정으로 사회적 재난 대응에 한계가 있어 지속적인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한 민간영역 비영리조직 자원개발과 기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 민간자원들의 유기적 협력과 높은 나눔 지수를 보이는 제주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이 기부행위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제주지역에 지역적 기반을 두고 유기적 협력관계 속에서 형성된 사회자본과 공동체 의식이 기부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이들 토대로 제주지역의 기부 확산 정책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기부 경험이 있는 제주도민 330명을 대상으로 단순무작위표본추출 방법으로 표집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22년 9월 26부터 2022년 10월 10일까지 이루어졌고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07명의 응답을 회수하여 29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기부행위와 사회자본, 공동체 의식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기부행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각 변수의 측정은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인 사회자본은 신뢰, 네트워크, 사회규범, 사회참여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측정하였고, 공동체 의식은 지역 애착과 사회적유대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평균 차이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자본과 공동체 의식이 기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개인적 특성 측면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부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 특성에 따른 결과로 가구원 중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원이 많을수록 기부행위에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에 따른 기부행위를 살펴본 결과, 신뢰가 기부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사회자본의 하위영역 중 사회참여가 기부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동체 의식의 하위영역 중 지역 애착이 기부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주지역 기부행위 강화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사회자본과 공동체 의식 중심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사회자본 중심행위 강화전략의 신뢰 차원에서 첫째, 기부자의 신뢰 형성과 유지를 위한 개별적 관리에 관심을 두어 모금기관의 적극적이고 투명한 기부금 관리와 기부금 내역 공개를 제언하였다. 둘째, 지역사회 예비 기부자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한 홍보와 적극적인 이미지 마케팅을 제언하였다. 셋째, 신뢰는 단순 모금기관의 신뢰만이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믿음이기 때문에 행정기관, 정치, 제도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한 노력을 제언하였다.
사회자본 중심의 사회참여 차원의 제언은 첫째, 적극적인 사회 의제 개발을 통한 공론화와 이를 알리고 문제해결에 참여하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사회참여 기회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참여 방법의 다양화를 제언하였다. 셋째,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접근방법으로 사회참여를 유도할 것을 제언하였다.
공동체 의식 중심의 지역 애착 차원의 제언은 첫째, 지리적 영역을 바탕으로 하는 공동체 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제언하였다. 둘째, 제주를 대표하는 특산품, 장소 등을 활용한 지역의 특장점을 발굴하여 상징화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지역주민의 공동체 의식 향상과 지역 애착 강화를 위한 지역주민들 대상의 시민복지학교와 같은 모임을 통한 시민교육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민간자원들의 유기적 협력과 높은 나눔 지수를 보이는 제주지역의 기부 행동 예측요인을 연구하여 그에 따른 실천적, 행정적 제언을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로 사회적 분위기가 위축된 시기에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므로 분석 결과를 해석하고 적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더불어 제주지역을 대상으로만 진행한 연구라는 점에서도 연구의 일반화에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Recently, as social disasters such as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increase in our society, the need for welfare finance is increasing. However, due to limited welfare finance, there is a limit to responding to social disasters, so the importance of resource development and donation to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private sector for continuous social service provision is increas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systematic cooperation of local private resources and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Jeju, which show a high sharing index, have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formed in an systematic cooperative relationship based on a regional basis in the Jeju region affect donation behavior, and based on these, to propose a policy for spreading donations in the Jeju reg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330 Jeju residents aged 18 or older who liv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had experience in donations were sampled using a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and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6, 2022 to October 10, 2022, and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307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29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contents of the survey,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onation behavior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nation behavior,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survey subjects. The measurement of each variable is as follows. Social capital, an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as four sub-factors of trust, network, social norms,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as measured as two sub-factors, place attachment and social bo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n donation behavior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ge increases, donation behavior increases. Second, as a result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household members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he more negative the dona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donation behavior according to sub-factors of social capital, it was confirmed that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 behavior. Fifth, it was confirmed that place attachment among the sub-domains of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don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donation behavior in the Jeju region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consciousness.
First, in terms of trust in the strategy of strengthening social capital-centered behavior, first, in order to build and maintain trust in donors, we are interested in individual management, and suggest active and transparent management of donations by fundraising institutions and disclosure of donation details. Second, publicity and active image marketing were suggested to build trust in prospective donors in the local community. Third, since trust is trust not only in fundraising institutions but also in the community as a whole, efforts to build trust in administrative institutions, politics, and institutions are suggested.
As for the social capital-centered social participation dimension, it was suggested that, first, public debate should be made through active development of social agendas,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roblem solving should be provided. Second, active publicity for social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hat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and diversification of participation methods were suggested. Third, it was suggested to induce social participation with a differentiated approach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 region.
As for the proposal of place attachment center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first,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community culture based on geographical area were proposed. Second, it was proposed to discover and symbolize the special features of the region using Jeju's representative specialties and places. Third, it proposed civic education through meetings such as the Civic Welfare School for local residents to improv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trengthen place attach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searched the predictive factors for donation behavior in Jeju region, which shows systematic cooperation among local private resources and a high sharing index, and made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suggestions accordingly. However, sinc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at a time when the social atmosphere was depressed due to coronavirus infection-19 , caution is needed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for generalization of the study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the Jeju region.
Author(s)
유철호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92
Alternative Author(s)
Yoo, Cheol h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및 과정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제 1 절 사회자본에 대한 이론적 논의 8
1. 사회자본의 개념 8
2.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12
제 2 절 공동체 의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 18
1. 공동체 의식의 개념 18
2. 공동체 의식의 구성요소 21
제 3 절 기부행위에 대한 이론적 논의 23
1. 기부행위의 개념 23
2. 기부행위 관련 요인 29
제 4 절 선행연구 검토 31
1. 사회자본과 기부행위 관련 선행연구 31
2. 공동체 의식과 기부행위 관련 선행연구 33
제 3 장 연구방법 35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35
1. 연구모형 설정 35
2. 연구문제 36
제 2 절 측정도구 36
1. 사회자본 측정도구 36
2. 공동체 의식 측정도구 37
3. 기부행위 측정도구 38
4. 분석에 사용한 변수의 구성 39
제 3 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9
1. 자료수집 39
2. 분석방법 40
제 4 장 연구결과 41
제 1 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제 2 절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45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45
2.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46
3.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51
제 3 절 사회자본과 공동체 의식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회귀분석 54
제 5 장 결 론 56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56
제 2 절 기부행위 강화를 위한 실천적 제언 58
1. 사회자본 중심의 기부행위 강화 전략 58
2. 공동체 의식 중심의 기부행위 강화 전략 61
제 3 절 연구의 한계 63
참고문헌 64
ABSTRACT 77
설문지 8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유철호. (2023). 사회자본과 공동체 의식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