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해녀의 구술자료를 통해 본 할망바당과 할망장의 의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ignificance of Halmang Badang and Halmangjang Examined through Oral Testimonies of Jeju Haenyeo
Abstract
이 논문은 제주 지역의 바다와 전통시장을 삶의 터전으로 삼아 평생을 살아온제주 해녀와 할망장의 제주 노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구술 인터뷰를 채록하고 이를 정리하여 생애사적 연구를 하였다. 제주 할망의 생애담을 통해 ‘할망바당’과‘할망장’에 나타난 노동경험과 생활사적 의미를 분석하였고, 그 속에 나타난 공동체적 양상과 의미, 그 현대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2023년 4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제주도를 동서남북 네 장소로 나누어, 제주시민속오일시장, 제주시 고산리, 서귀포시 보목동, 서귀포시 온평리 지역에서 7명의해녀 할망들의 생애사를 구술 채집하였다.
할망바당이라는 공간에서는 제주 해녀의 노동경험과 고유의 공동체 문화를 조사하였고, 할망장이라는 공간에서는 제주 할망 상인을 만나 노동과 생활경험과전통시장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게석, 반태우기, 수눌움과 같은 제주 고유의 배려와 나눔의 문화가 바다에서는 할망바당이라는 공간으로 나타났고 육지에서는 할망장이라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제주 할망바당과 할망장은 수동적으로 소비와 복지의 대상자가 되기 쉬운 노인들이 생산과 판매의 노동을 하며 경제활동의 주체가 되는 곳으로, 제주의 전통문화유산이 현대적으로 이어져 형성된 공동체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해녀들이 바다밭이라고 인식하는 바다라는 공간에서 물질 작업이 쉬운 가까운 바다를 할망바당으로 지정해 약자를 배려하는 제주 해녀의 독특한 문화는 척박한 자연환경속에서 수평하고 평등한 공동체를 만들어왔다. 할망장은 제주 여성들이 우영팟이라는 집밭에서 직접 생산한 농작물을 판매하게 함으로써 공동체의 가치를 이어가고 있다.
초고령화사회를 앞둔 한국 사회의 다른 집단들처럼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는해녀 공동체는 자연과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해 주체적으로 바다밭을가꾸며 할망바당을 통해 공동체의 약속을 지켜간다. 할망장에서는 농업의 현대화로 사라지는 토종종자 농작물을 판매하고 전통생태지식을 전파하고 있다.
제주 지역의 바다와 전통시장을 삶의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는 고령자들은 고립되고 소외된 노인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자립적으로 살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노년층은 소비자와 복지 수혜의 대상으로서의 역할만이 주어지기 쉽다. 할망바당과 할망장은 노인들에게 생산과 판매의 장소와 기회를 제공하고 노인들이 강한제주 여성상 그대로의 주체적이고 자립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주 할망바당과 할망장은 현대 사회에 대와 대를 이으며 선순환하는 공동체의 양상을 보여준다. 제주 지역 사회는 전통문화유산을 이어받아 공존과 공생의가치를 가지고 지켜나가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a method-based documentation of life history and astudy of oral interviews with Jeju haenyeo [professional diving women ofJeju] and elderly Jeju women in halmangjang [traditional markets with elderlywomen merchants] who have earned their livelihoods in the sea and attraditional markets. By researching the narratives of their lives throughtestimonies by elderly Jeju women, their experiences of labor in halmangbadang [littoral sea areas zoned exclusively for elderly Jeju haenyeo] andhalmangjang and their life history are analyzed in this paper, which endswith an examination of the communitarian aspects and implications ofhalmang badang and halmangjang and their contemporary valu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Jeju Island was zoned into four regions fromApril to June in 2023 — north, south, east, and west, and the oral testimoniesof the life histories of seven haenyeo halmang [a Jeju word for elderlywomen] were recorded in these four zones, specifically in the TraditionalFive-Day Market in Jeju City, Bomok-dong in Seogwipo City, Onpyeong-riin Seogwipo City, and Gosan-ri in Jeju City.
Based on the interviews of the Jeju haenyeo in halmang badang, their labor experiences and unique communitarian culture were investigated, while theelderly Jeju women’s experiences of labor and life, as well as thecharacteristics of Jeju’s traditional markets, were reviewed based on theinterviews with Jeju halmang merchants in halmangjang.
According to the research, Jeju’s unique culture of concern and sharingfound in the local practice of gheseok [the most skilled haenyeo sharing theircatch with the least skilled members], ban taeughi [sharing food withneighbors after ancestral rituals are performed], and sunureum [exchangingequivalent labor by taking turns between households] are represented in themaritime space of halmang badang and the onshore space of halmangjang.
Jeju’s halmang badang and halmangjang are places where elderly residents,who often become passive consumers and welfare recipients, actively engagein economic activities by working in production and sales, and, at the sametime, community spaces that have been formed by passing down Jeju’s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o the contemporary era. Jeju haenyeos’ uniquepractice of considering the weak by designating the sea area closest to thecoast in the space perceived as the “sea field” as halmang badang for easiermuljil [haenyeo’s diving to catch and collect seafood] has contributed to ahorizontal community with equal membership in a natural environmentdeficient in resources. Halmangjang has also valued community spirit byallowing Jeju women to sell produce they grow in their uyeongpat, orvegetable gardens.
The Jeju haenyeo community, which has experienced the aging of itsmembers just like other groups in Korea amid the transformation into asuper-aged society, fulfills the communal pledges through the practice ofhalmang badang to actively maintain their “sea field” for sustainable fisherieswhile pursuing coexistence with nature. In halmangjang, elderly Jeju womensell local produce of indigenous varieties that have gradually disappeared dueto the modernization of farming techniques, while spreading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Jeju’s elderly residents who make their livelihoods by working in the seaand the traditional markets live their lives independently and in aself-supported manner, rather than remaining socially isolated or alienated. Incontemporary society, the elderly population is often rendered only as fillingthe roles of consumers and welfare recipients. Halmang badang andhalmangjang provide elderly women with a venue and opportunity forproduction and selling, enabling them to live an independent andself-supported lives that match Jeju’s local ideal image of strong women.Jeju’s halgmang badang and halmangjang demonstrate a virtuous circlewhere community values are passed down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inmodern society. The local community of Jeju has inherited the traditionalcultural heritage and has valued coexistence and symbiosis.
Author(s)
장재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09
Alternative Author(s)
Jang, Jae-H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Advisor
허남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7
1) 구술사 연구방법론 7
2) 구술생애사 연구 9
4. 연구범위와 한계 11
Ⅱ. 자료개관 13
1. 조사방법과 대상 13
1) 기록자료의 수집과 분석 13
2) 조사 대상 14
2. 조사현황 16
1) 구술자 조사 16
2) 관련자 조사 18
3) 장소 조사 19
(1) 할망바당 어장구역 20
(2) 할망장 23
Ⅲ. 경험과 기억에 나타난 공동체의 양상과 의미 26
1. 할망바당, 배려와 나눔의 공간 26
1) 바다와 해녀공동체 26
(1) '우리 바다' :바다밭과 해녀회 26
(2) 수직과 수평 사회 : 신입과 노년의 해녀 28
2) 제주 해녀 : 배려와 나눔의 공동체 32
(1) 나눔의 문화:여러바당과 게석 33
(2) 불턱과 공동체정신 38
2. 할망장, 노동과 삶의 공간 42
1) 할망장의 현대화 42
2) 노동공간 '시장'의 형성 48
3) 제주 공동체의 일상 공간에서의 노동 54
Ⅳ. 할망바당과 할망장이 가지는 현대적 가치의 의미 58
1. 초고령 사회에 필요한 자기 주도성 58
2. 지역사회의 공존과 공생 63
Ⅴ. 결론 69
참고문헌 71
Abstract 7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장재희. (2023). 제주 해녀의 구술자료를 통해 본 할망바당과 할망장의 의미.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Korea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