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년여성의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Mediation Effect of Ego-Identit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마음챙김, 자아정체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년여성의 마음챙김, 자아정체감,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년여성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의 모집단은 대한민국의 만 40∼65세 미만 중년여성이며, 연구의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질문지에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방식이었다. 표집은 온라인 설문업체인 M사를 통하여 2023년 3월 7일부터 2023년 3월 15일까지 약 7일간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43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로는, 마음챙김은 박성현(2006)이 위빠사나 명상이론을 바탕으로 개발하고 타당화 한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정체감 척도로는 중년기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심운경(2017)이 개발하고 타당화 한 중년기 자아정체감 척도(Ego Identity Scale)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안녕감 척도로는 Ryff(1989)가 심리학 이론들을 기초로 개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psycholoical well-being)’을 김명소(2001)가 타당화하여 개발한 18문항의 단축형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사회과학통계패키지 SPSS 18.0을 이용하였으며, 조사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마음챙김, 자아정체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특성 및 수준 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평균 및 표준편차를 통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에 사용된 측정 도구의 구성 및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 등을 통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의 인식차이를 알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변인 간 관련성을 알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하위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년여성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마음챙김, 자아정체감, 심리적 안녕감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자아정체감, 심리적 안녕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년기 여성의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두 변인 사이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과 상담현장에서 마음챙김과 자아정체감을 위한 훈련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이론적 측면뿐 아니라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mindfulness, ego-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women, and to find alternatives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ofmiddle-aged women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in the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earchproblems set up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mindfulness, ego-identity,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Research Question 2. Does ego-identity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middle-aged women?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middle-aged women under the age of 40 to65 in Korea, and the data collection of the study was a method in which therespondents directly filled out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ampling wasconducted for about 7 days from March 7, 2023 to March 15, 2023, throughCompany M, an online survey company, and 438 copies were finally used foranalysis.
As a measurement tool used in this study, mindfulness used a mindfulness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Park Sung-hyun (2006) based on theWipasana meditation theory. As a measure of self-identity, the Ego Identity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Shim Woon-kyung (2017) was used tomeasure self-identity in middle age. As 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18-question shortene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KimMyung-ji (2001) was used by validating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edby Ryff (1989) consisting of six sub-factors that measure an individual'squality of life based on psychological theories.
The social science statistics package SPSS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the collected dat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frequency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o understand thedemographic characteristics, mindfulness, ego-identity, and psychologicalwell-being of survey respondents. In order to verify the composition and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urvey, reliabilitywas verified through Cronbach's α coefficient. Next, a one-way variance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elf-ident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self-identity and psychological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Finally, a three-stage regression analysis by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women's mindfulness, ego-identity, and psychologicalwell-being all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Second, ego-ident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ndfulness,ego-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self-identity acts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and thatego-identity acts as a medium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se results are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basic data for appropriate interventions to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raining and programs formindfulness and ego-identity in daily life and counseling, which can be helpfulnot only in theory but also in practice.
Author(s)
김숙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10
Alternative Author(s)
Kim So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8
3. 연구모형 8
4. 용어의 정의 10
Ⅱ. 이론적 배경 13
1. 중년여성 13
가. 중년기 개념 13
나. 중년여성의 정의와 특성 17
다. 중년여성에 대한 선행연구 19
2. 마음챙김 20
가. 마음챙김의 개념과 특성 20
나. 중년여성의 마음챙김에 대한 이해와 선행연구 22
3. 자아정체감 25
가. 자아정체감의 개념 및 특성 25
나. 중년여성에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이해와 선행연구 28
4. 심리적 안녕감 29
가.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과 특성 29
나. 중년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의 이해와 선행연구 33
5. 변인들 간의 관계 34
가.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34
나. 마음챙김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36
다. 자아정체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37
라. 마음챙김, 자아정체감,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38
Ⅲ. 연구방법 41
1. 연구대상 및 절차 41
2. 측정도구 43
가. 마음챙김 척도 43
나. 자아정체감 척도 44
다. 심리적 안녕감 척도 46
3. 자료처리 및 분석 4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9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49
2.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50
3. 자아정체감 하위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간 영향관계 52
4. 매개효과 검증 53
Ⅴ. 논의 및 결론 56
1. 논의 56
2. 결론 66
Ⅵ. 참고문헌 69
Abstract 82
부록 8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숙. (2023). 중년여성의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