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학생 동인 ‘석좌(石座)’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Seokjwa’, the Jeju Student Literary Club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background, purpose, composition, and activities of the Jeju student club ‘Seokjwa’ and to discover the ≪Seokjwa≫, the literary magazine that existed only as a record and reveal the full extent of it.
The club Seokjwa was formed in April 1956 by about 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to practice literature that uses Jeju, symbolized by ‘stone’, as a literary base but is not buried in locality. Although there wer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members due to graduation and admission to higher education, they continued their activities as adults. There are 14 people who passed through ‘Seokjwa’, including Ko Chi-moon, Kim Kwang-hyeop, Kim Chul-hee, Park Ho-gil, Son Chun, Jang Soon-yong, Jeon Hyun-kyu, Jung Young-taek, Cho Jin-chun, Hyun Ki-young, Hyun Gil-eon, Hong Kwon-hong, and Hong Hee-gu. A young lover of literature Kim Young-don's middle school pupils played a central role and published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Seokjwa≫, and the title was written by Hyun Ki-young.
It can be said that the period of ‘Seokjwa’ continued until at least October 1975. The activities of ‘Seokjwa’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the student club to the adult club. When it was a student club, its main activities were to publish literary magazines, participate in cultural events in the province, such as discussion meetings with writers, or contribute to writing contests and literary works. As an adult club, it continued to study creative works by focusing on controversial works published at the time. The club had grown into an entity that led the following literary generation and strengthened Jeju's cultural base by hosting prize competitions and literary night events. In addition, it actively published literary works in local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institutional magazines, enriching the Jeju literary world.
The first and second issue of ≪Seokjwa≫, whose existence was unclear, were confirmed to be currently owned by the Jeju Education Museum with the donation of Hyun Gil-eon in December 2009. The book size of the first issue of ≪Seokjwa≫ is 18.3×24cm, and the paper material is coarse woody one. This is written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mixed, and is a copy edited from left to right in horizontal writing. The publisher is named as ‘Seokjwa Club’, and the publication date is July 26, 1957. It contains four novels and seven essays. The size of the second issue ≪Seokjwa≫ is 17.7×24.7cm, and it is also made of coarse woody paper and a copy. It is written in mixe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was produced by editing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vertical writing. The publisher is ‘Seokjwa Dongin’, and the publication date is December 25, 1957. It contains two poems and seven novels.
Looking at the world of ≪Seokjwa≫'s works, focusing on the main topics around the Jeju 4·3 incident and the Korean War, and the growth process of youth in Jeju,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First of all, works dealing with the Jeju 4·3 incident as a major topic reveale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incident and had limitations in not securing a three-dimensional view. This is a characteristic of works created during the ‘non-essential and abstract shaping stage’. However, considering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Jeju 4·3 incident was a taboo subject and the fact that one of the writers was a high school student who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incident from various angles, their literary courage and initiative are worth evaluating. Looking at the works dealing with the Korean War as a main topic, poems sensibly embodied the horrors of a war in general, and in the case of novels, they critically depicted the characteristics of a war and the absurd society after it. It can be seen that this was influenced by the works of established writers, as it mainly uses materials emphasized in Korean postwar novels such as the loss of hometown, family dissolution, and damaged bodies of disabled soldiers. Novels depicting the growth process of the Jeju teenagers deny their hometown as a barren and poor place by comparing it with others. The main characters in the novel reveal their desire for Seoul, a big city, when they have to prove their existence. They try to escape from their hometown by entering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reflecting the rapidly progressing urbanization and educational enthusiasm in the 1950s. The hometown they face after returning from their hard life in a foreign place recovers their original comfortable and warm image. However, the strong centripetal force that led them back to their hometown quickly turns it a space of frustration and failure. Those who cannot escape their hometown are eventually forced to jump into the sea, leaving the island behind, a space of failure. It seems that the youth of Jeju at the time conflicted and wandered between these dual images of their hometown.
The meaning of the literary moves of the ‘Seokjwa’, which focused on Hyun Ki-young, Hyun Gil-eon, and Jeon Hyun-gyu, is that the purpose of forming the ‘Seokjwa’ that wanted to use Jeju as a literary base was constantly practiced in their creative process. The attempt to shape Jeju in literature is also evident in the works they published before their literary debut. The literature view, which was held within ‘Seokjwa’, the student's club, made Jeju the main theme of their creation and made them grow as the main agents of Jeju literature. They realized the first intent of ‘Seokjwa’ that wanted to ‘practice literature that uses Jeju as a literary base but is not buried in locality’.
The appearance of ‘Seokjwa’ in Jeju literary history is multi-laye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dict the future of Jeju novels, which actively developed in the 1970s, announcing the beginning of the Jeju 4·3 incident-based literature by writers from ≪Seokjwa≫, which celebrates the literary aspirations of student writers, is also an indicator of the literary foundation of Hyun Ki-young and Hyun Gil-eon, who became one of the pillar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80s.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Jeju literature was discovere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local literature shown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literary world of ‘Seokjwa’ outside the existing literary system. It is an incontestable fact that ‘Seokjwa’ has expanded the base of Jeju literature. |이 연구는 제주 학생 동인 ‘석좌’가 결성된 배경과 취지, 동인 구성 및 활동 등을 확인하고 그동안 기록으로만 존재했던 ≪석좌≫를 발굴해 그 전모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석좌’는 1956년 4월 제주시내 중‧고등학생 20여 명이 ‘돌’로 상징되는 제주를 문학적 기반으로 삼되 지역성에 매몰되지 않는 문학을 실천하고자 결성한 동인이다. 졸업과 진학으로 인해 회원 구성의 변화가 있었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해서 활동을 이어나갔다. ‘석좌’를 거쳐 간 동인은 고치문, 김광협, 김철희, 박호길, 손춘, 장순용, 전달문, 전현규, 정영택, 조진춘, 현기영, 현길언, 홍권홍, 홍희구 등 14명이다. 당시 문학청년이었던 김영돈의 중학교 제자들이 구심이 돼서 ≪석좌≫ 창간호와 제2집을 발간했는데, 제호는 현기영이 지었다.
‘석좌’의 활동 시기는 적어도 1975년 10월까지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석좌’의 동인 활동은 학생 동인에서 성인 동인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크게 변화했다. 학생 동인일 때는 동인지를 발간하고, 문인 초청 좌담회 등 도내 문화행사에 참여하거나 백일장 및 문학작품 공모에 투고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었다. 성인 동인이 되어서는 당시 발표된 문제작을 중심으로 작품 합평회를 꾸준히 이어가면서 창작 공부에 열을 올렸으며, 작품 현상모집과 문학의 밤을 개최하는 등 문학후속세대를 견인하고, 제주의 문화 기반을 다지는 주체로 성장했다. 또한, 신문과 기관지 등 지역 매체에 작품을 활발하게 발표하면서 제주 문단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존재 여부가 불투명했던 ≪석좌≫ 창간호와 제2집은 2009년 12월 현길언의 기증으로 현재 제주교육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석좌≫ 제1집의 판형은 18.3×24㎝이며, 지질은 갱지다. 국한문혼용체로 쓰여있으며 가로쓰기로 좌우 이단 편집된 등사본이다. 발행인은 ‘石座클럽’이고, 발행일은 1957년 7월 26일이다. 소설 4편과 수필 7편이 실려있다. ≪석좌≫ 제2집의 크기는 17.7×24.7㎝이고 지질은 갱지, 등사본이다. 국한문혼용체로 쓰였으며 세로쓰기의 상하 이단 편집으로 제작되었다. 발행인은 ‘石座同人’이고, 발행일은 1957년 12월 25일이다. 시 2편과 소설 7편이 수록됐다.
≪석좌≫의 작품세계를 4‧3과 한국전쟁을 주요 제재로 다룬 작품과 제주(섬) 청소년들의 성장 과정을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발견된다. 먼저 4·3을 주요 제재로 다룬 작품은 4‧3에 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며 입체적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녔다. 이는 ‘비본질적‧추상적 형상화단계’에 창작된 작품들이 갖는 특징이다. 하지만 4‧3이 금기의 영역이었던 시대 상황과 창작자가 4‧3을 다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고등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침묵을 강요받던 4·3의 틈새를 비집고 의미를 도출하려 했던 이들의 문학적 실천과 용기는 평가받을 만하다.
한국전쟁을 주요 제재로 다룬 작품을 살펴보면 시에서는 전쟁 일반의 참혹함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했다면 소설에서는 가공할 만한 파괴력을 지닌 전쟁의 생리와 전후(戰後) 부조리한 사회를 비판적으로 그려냈다. 고향 상실과 가족 해체, 상이군인의 훼손된 신체 등 한국 전후소설에서 강조되는 소재를 주로 사용하는 것을 보아 기성 문인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제주(섬) 청소년들의 성장 과정을 그린 소설에서는 타자와의 비교를 통해 재인식하게 된 고향 제주(섬)는 척박하고 가난한 곳으로 부정된다. 소설 속 주인공들은 자기의 존재를 증명해야 하는 순간이 오면 서울(도시)을 향한 욕망을 드러낸다. 이들은 상급학교의 진학을 계기로 고향으로부터의 탈주를 시도하는데 이는 1950년대 급속히 진행된 도시화와 교육열을 반영한 것이다. 고된 타향살이에서 돌아와 마주한 고향은 원래의 편안하고 따뜻한 이미지를 회복하지만, 이들을 고향으로 이끌었던 강한 구심력은 순식간에 고향을 좌절과 실패의 공간으로 바꿔놓는다. 고향을 벗어날 수 없는 이들은 결국 실패의 공간인 섬을 뒤로 한 채 바다로 뛰어들 수밖에 없다. 당대 제주(섬)의 청소년들은 이러한 이중적인 고향의 이미지 사이에서 갈등하고 방황한 것으로 보인다.
현기영, 현길언, 전현규를 중심으로 살펴본 ‘석좌’ 동인의 문학적 행보가 갖는 의미는 제주를 문학적 기반으로 삼고자 했던 ‘석좌’의 결성 취지가 이들의 창작 도정에서 끊임없이 실천되었다는 점이다. 제주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려는 시도는 이들이 등단 전까지 발표한 작품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학생 동인 ‘석좌’ 안에서 품었던 문학관은 이들에게 제주를 창작의 주요 제재로 삼으면서 제주 문학의 기반을 튼실히 다질 주체로 성장하게 했다. 이들은 ‘제주를 문학적 기반으로 삼되 지역성에 매몰되지 않는 문학을 실천’하고자 했던 ‘석좌’의 첫 마음을 실현해낸 것이다.
제주 문학사에서 ‘석좌’의 등장이 의미하는 것은 다층적이다. 제주 출신 작가의 4·3 문학 시발을 알리면서 1970년대 들어서 활발하게 전개될 제주소설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학생 문인들의 문학적 열망을 온축하고 있는 동인지 ≪석좌≫는 1980년대 한국 문단의 한 축이 된 현기영, 현길언의 문학적 근간을 밝히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또한, ‘석좌’의 문단 진입 과정에서 보여준 지역 문학의 한계를 문단 제도권 밖에서 극복한 제주 문학의 가치를 발견하게 했다. ‘석좌’의 제주 문학 저변 확대라는 성과에 이론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Author(s)
조미경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19
Alternative Author(s)
Cho, Mi-ky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김동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목적과 방법 4
Ⅱ. 전란 후의 제주 문학과 학생 동인 7
1. 전란 후 제주 사회의 변화와 문학계 동향 7
2. 제주 학생 문단의 활성화 15
3. 학생 동인과 동인지의 등장과 전개 27
Ⅲ. '석좌(石座)' 동인의 활동 37
1. 동인 결성의 배경과 취지 37
2. 동인 활동의 양상 45
3. 석좌(石座)의 서지적 고찰 65
Ⅳ. 석좌(石座)의 작품세계 73
1. 금기된 4 3의 틈새 담론 74
2. 한국전쟁의 상흔과 공동체 복귀 79
3. 단절된 섬과 자기 존재의 증명 91
Ⅴ. '석좌(石座)' 동인의 문학적 행보와 그 의미 98
Ⅵ. 결론 114
참고문헌 117
ABSTRACT 12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미경. (2023). 제주 학생 동인 ‘석좌(石座)’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