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질 들뢰즈의 '시간의 종합' 이론을 통한 재현 중심 교육과정 비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riticism of Representation-based Curriculum through Gilles Deleuze’s Theory of three synthesis of time
Abstract
세계적인 산업 환경을 혁명적으로 바꾸는 것을 ‘산업 혁명’이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늘 혁명을 창조하지 못하고 창조된 혁명을 따라만 가는 입장에 속했다. 우리가 새로운 것을 창조하지 못하고 이미 창조되어 있는 것을 쫒아만 가는 것은 우리의 교육제도가 ‘재현’, ‘표상’, ‘동일성’ 중심 철학에 기반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철학에서는 ‘새로움’, ‘창의성’을 발견하기 힘들다.
‘재현’ 또는 ‘표상’이라고 하는 것은 Representa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나의 동일성으로 대상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Representation과 동일성은 아주 긴밀한 관계에 있다.
우리 교육과정의 기반이 되는 주요 사상에는 플라톤, 타일러, 브루너의 이론이 있다. 플라톤은 모든 것을 동일하고 영원한 이데아의 모상으로 본다는 점에서 동일성의 철학을 정초한 철학자이다.
타일러는 ‘목표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과학적으로 체계화했다고 하는데 이 또한 학습 활동을 수단으로 하여 목표로 향해가는 것이기에 동일성을 중시하는 플라톤의 철학과 크게 다르지 않다.
브루너는 발견학습을 통한 ‘나선형 교육과정’을 강조했으나 이는 학자들이 탐구하는 모습을 학생들이 모방하는 것이다. 학생들의 목표 또한 탐구를 통해 이미 일반화된 지식을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다.
질 들뢰즈는 ‘재현’을 비판하며 ‘차이’를 강조한 한 프랑스 철학자이다. 그는 시간론을 통해 동일성을 비판하며 자기동일성으로 대상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재현 대신 차이와 차이가 연결되는 ‘차이의 존재론’을 완성한다.
그는 데카르트가 자기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쫓아낸 시간을 다시 불러와 대상의 동일성을 해체하고 자기동일성 또한 해체한다. 그리고 세계는 차이로만 가득 차 있으며 차이의 상호작용이 우리가 경험하는 현재의 배후에 잠재적으로 존재함을 밝힌다. 그의 세 번째 시간에서는 아이온의 시간이 등장하는데 이는 자아의 동일성과 모든 습관들을 파괴한다. 이 파괴적인 시간으로 인해 차이만이 되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차이의 존재론’으로 교육을 바라볼 때 우리는 들뢰즈가 말한 ‘배움’에 다가갈 수 있다. 들뢰즈의 배움은 ‘기호와의 만남’으로서 이는 동일성을 통해서는 만날 수 없는 것이다. 기호는 강도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이 강도라는 것은 그 자체로 차이를 내포하고 있는 즉자적 차이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강도’, ‘기호’와 만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기호와의 만남이야말로 진정한 ‘배움’이다.
우리 교육과정에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재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교과교육을 보완해줄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다. 재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교과교육에서는 들뢰즈가 말하는 진정한 차이를 반복하기 어렵지만, 성취기준이 없어 활동의 폭이 넓은 창의적 체험활동에서는 들뢰즈가 말하는 ‘배움’을 실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하는 각종 범교과 교육의 삭제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성화 노력이 필수적이다.
|The term 'Industrial revolution' refers to a revolutionary change in the global industrial environment. However, South Korea has always been in a position of following the revolutions created by others instead of creating its ow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our education system is based on a philosophy of 'Representation' and 'Identity'. In such philosophies, it is difficult to discover 'novelty' and 'creativity'.
The term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act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an object through my identity. Therefore, representation and identity are closely related .
There are three main philosophical theories that form the basis of our educational curriculum. Plato, Tyler, and Bruner. Plato is a philosopher who started the philosophy of identity by seeing everything as copy of ideal model which is called ‘IDEA’.
Tyler systematized ‘Learning’ scientifically by presenting the ‘objectives model’. but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Plato's philosophy because it also consider learning activity as a mean toward a goal.
Bruner emphasized the "Spiral curriculum" through discovery learning, but thi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hilosophies of the previous two scholars, as it involves students mimicking the process of inquiry modeled by scholars. The goal of students is to discover general knowledge through exploration on their own.
The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is known for his critique of ‘representation’. Through his theory of ‘Three synthesis of Time’, he criticizes the concept of identity and instead proposes a "ontology of difference" that is based on the mutual interaction of differences.
He brings back the time that Descartes expelled in order to secure ‘self-identity’, dismantling the ‘identity of the object’ and ‘self-identity’. And the world is filled only with differences, revealing that the interaction of differences exists as ‘Virtuel’ underneath the ‘Actuel’.
In his third time, the ‘Time of Aion’ appears, which destroys the ‘self-identity’ and all habits. Due to this destructive time, only differences return.
we can approach Deleuze's ‘Learning.’ only when we look at education through ‘Ontology of difference’. Deleuze's learning is meeting with ‘signes’ which cannot be encountered through identity. Signes can be found in ‘intensité’, which contains many layers of differenc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students where they can encounter with ‘intensité’ and ‘Signes’. Learning is possible only when one meets with ‘Signes’.
In our educational curriculum, we hav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is an important part of curriculm that complements ‘Subject matter education’ focused on reproduction. While it is difficult to repeat the true difference described by Deleuze in a ‘Subject matter educa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Deleuze’s Learning’ through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o achieve this, it is essential to make efforts to minimize various ‘Cross-curricular themes’ that practically render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mpossible and activat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uthor(s)
김승민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23
Alternative Author(s)
Kim Seung-m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도덕교육전공
Advisor
고대만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Ⅱ. '재현중심 교육과정'과 그 배경 7
1.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 7
가. 교육과정의 두 가지 의미 7
나.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성격 8
2. 재현 중심 교육과정의 기반 9
가. 플라톤과 '동일성' 철학 9
나. 타일러의 '목표 모형' 12
다.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 14
Ⅲ. 질 들뢰즈의 시간론 17
1. 시간의 첫 번째 종합 17
가. 흄과 '인과성(因果性)' 17
나. '습관'과 시간의 첫 번째 종합 20
2. 시간의 두 번째 종합 22
가.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 22
나. '기억'과 시간의 두 번째 종합 25
3. 시간의 세 번째 종합 30
가. 칸트와 '분열된 코기토' 30
나. 니체의 '힘의 의지'와 '영원 회귀' 32
다. 시간의 세 번째 종합 35
Ⅳ. 질 들뢰즈의 '시간론'과 '배움' 37
1. 질베르 시몽동의 '불균등화'와 '강도' 37
2. 재현중심 교육과정의 한계 극복으로서의 '기호의 배움' 40
3. 창의적 체험 활성화를 통한 들뢰즈의 '배움' 실천 43
Ⅴ. 결론 및 제언 47
참고 문헌 50
ABSTRACT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승민. (2023). 질 들뢰즈의 “시간의 종합” 이론을 통한 재현 중심 교육과정 비판.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th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