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이 지각한 정서지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of Adjustment to School: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내 사회환경적 요인이 개인 내적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목적으로,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 사회적 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를 주요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 및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별 영향력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고등학생이 지각한 정서지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연구대상자는 전국 16개 시도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7세∼18세 고등학생 623명으로, 온 오프라인 조사를 혼합하여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 검증을 통해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예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는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하위변인인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모두 학교생활 적응의 전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정서지능보다 사회적 지지의 영향의 정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감소시키는 완화효과(Buffering effect)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각 하위변인인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모두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그 정도가 교사지지, 부모지지, 친구지지 순으로 나타나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지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고등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개인 내적 및 사회환경적차원의 통합적인 접근을 제공하였으므로 향후 학교생활 적응으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들이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나갈 것을 기대한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ithin the school interact with individual internal factors to influenc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key variables of interest were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The study included 623 high school students aged 17 to 18 from 16 different cities nationwide. A mixed-method approachcombining online and offline surveys was used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including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teraction effects were examined to prevent multicollinearity issues. The summarized key finding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Is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moderated by social suppor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23 high school students aged 17∼18 who were attending high schools in 16 cities nationwide. A survey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was
conducted using a mixed online and offline survey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was prevented through verification of interaction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in all sub-areas, including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friend support.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u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greater than that of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social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buffer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all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including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friend support,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school adjustment,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teachers support, parents support, and friend support.

The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chool adjustment. Thi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study sought ways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adapt well to school life and become healthy members of society. Furthermore, by provid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individual internal and social environmental dimensions that can help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in school adjustment can be prevented, and healthy members of society can create a healthy society in the future.
Author(s)
최혜지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25
Alternative Author(s)
Choi, Hye J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연구 모형 7
4. 조작적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1. 정서지능 9
가. 정서지능의 개념 9
나. 정서지능의 요인 10
2. 학교생활 적응 12
가. 학교생활 적응의 개념 12
나. 학교생활 적응의 요인 13
3. 사회적 지지 15
가. 사회적 지지의 개념 15
나. 사회적 지지의 요인 15
4. 정서지능, 학교생활 적응, 사회적 지지의 관계 17
가.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17
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17
다.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20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대상 및 절차 22
2. 측정도구 24
가. 정서지능 척도 24
나. 학교생활 적응 척도 26
다. 사회적 지지 척도 27
3. 자료분석 2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2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2.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33
3. 주요변인의 상관관계 34
4. 고등학생의 정서지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35
5. 고등학생의 정서지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36
가.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전체의 조절효과 36
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부모지지의 조절효과 39
다.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42
라.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친구지지의 조절효과 45
Ⅴ. 논의 및 제언 49
1. 결과 요약 및 논의 49
2. 결론 및 제언 53
Ⅳ. 참고문헌 56
Abstract 69
부록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최혜지. (2023). 고등학생이 지각한 정서지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