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백서향의 성분학적 연구 및 생리활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hytochemical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Daphne jejudoensis
Abstract
백서향속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고 다양한 약리학적 기능이 있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민속의약적 소재로 이용되어왔다. 백서향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페놀화합물들로 인한 항류마티즘, 상처의 치유, 항염증, 항암, 항심혈관질환, 항비만 효과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주백서향은 과거 백서향과 같은 종으로 분류되었으나 2013년 형태학적 차이가 인정되어 신종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제주백서향에 대한 형태학적, 약리학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백서향의 성분학적 연구 및 생리활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주백서향의 잎 추출물에서 주요 화합물인 daphnin 과 daphnetin을 분리, 동정 하였으며 부위별 추출물의 성분을 UHPLC-Q-ToF MS/MS를 이용하여 잠정동정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부위별 추출물에 주요 화합물인 daphnin과 daphnetin이 들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주백서향의 월별 잎 추출물에 대한 daphnin과 daphnetin을 정량 한 결과로 daphnin은 5월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daphnetin은 10월 추출물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두 주요 화합물 모두 12월에 공통적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제주백서향의 부위별 항산화를 실험 한 결과, 공통적으로 꽃봉오리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꽃봉오리 추출물의 daphnin 및 daphnetin 정량 결과가 가장 높게 나왔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D. jejudoensis의 식물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성분학적 분석과 생리학적 평가를 동시에 진행한 연구는 처음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설명한 실험 결과는 D. jejudoensis의 약리학적 소재로서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과 더불어 추후 연속될 연구의 방향을 잡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Daphne jejudoensis is a worldwide distributed plant belonging to the genus Daphne. Because of their various physiological benefits, Daphne species had been used as folk medicines in ancient times. Studies show that the Daphne species has anti-rheumatism, wound healing,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ti-carcinogenic, anti-diabetic, and anti-aging effects. It has been proven that phenolic compounds and coumarin derivatives are directly involved in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D. jejudoensis was classified as morphologically different from Daphne kiusiana, which was an accepted identity previously14. Therefore, more studies can determine its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 in a proper wa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oxidant efficacy of each plant part and seasonal extract in leaf. We found that it was the highest in flowers followed by buds, roots, leaves, and then in branches. At the seasonal extract, the highest in spring(May) followed by summer, fall, winter. In addition, to identify their chemical components, the leaves of D. jejudoensis were extracted with 70% EtOH and different fractions were prepared. Based on the HPLC profile, Daphnetin and daphnin were separated from the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 respectivel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through UV spectrum and UPLC-Q-ToF MS/MS.
From the extracts of flowers, buds, branches, roots, and leaves UPLC-Q-ToF-MS/MS was performed, and internal chemical substances in each plant part were tentative identified. With these findings, we can figure out the responsible metabolites for the biological effects, and new pharmaceutical interventions may be designed in the future.
Author(s)
이지연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50
Alternative Author(s)
Lee Ji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차세대융복합과학기술협동과정
Advisor
배지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연구 1: 제주백서향의 성분학적 연구 5
1. 실험재료 및 방법 5
1) 식물재료 5
2) 시약 및 기기 10
2. 제주백서향의 주성분 분리 11
1) 추출 및 분획 11
2) daphnin의 분리 13
3) daphnetin의 분리 14
3. Liquid Chromatogram을 이용한 제주백서향의 성분 분석 17
1) 시료액의 제조 17
2) 표준액의 제조 17
3) HPLC-DAD를 이용한 성분패턴 분석 17
4) UHPLC-Q-ToF MS/MS를 이용한 성분패턴 분석 17
5) 소프트웨어 18
4. HPLC-DAD를 이용한 daphnin 및 daphnetin의 월별 정량 22
Ⅲ. 연구 2: 제주백서향의 생리활성 연구 23
1. 실험 재료 231) 시약 및 기기 23
2.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4
1) 시약의 제조 24
2) 시료의 제조 24
3) radical 소거능 측정 25
3.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6
1) 시약의 제조 26
2) 시료의 제조 26
4. Total flavonoid contents 29
1) 시약의 제조 29
2) 시료의 제조 29
5. Total phenolic contents 31
1) 시약의 제조 31
2) 시료의 제조 31
3) total phenolic contents 31
6.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33
1) 시약의 제조 33
2) 시료의 제조 33
3)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33
Ⅳ. 결과 및 고찰 35
1.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제주백서향의 성분패턴 분석
1) HPLC-DAD를 이용한 제주백서향의 성분패턴 분석 35
2) UHPLC-Q-ToF MS/MS를 통한 제주백서향의 부위별 성분패턴 분석 39
2. HPLC-DAD를 통한 월별 제주백서향 잎 추출물에서의 주요 화합물 정량 41
1) HPLC-DAD를 이용한 daphnin 정량 41
2) HPLC-DAD를 이용한 daphnetin 정량 44
3. 생리활성 평가 48
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8
2)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9
3) Total flavonoid contents 51
4) Total phenolic contents 52
5)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53
Ⅴ. 결론 61
VI. 참고문헌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지연. (2023). 제주백서향의 성분학적 연구 및 생리활성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Graduate Program in Advanced Convergence Technology and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