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성인 20-30대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purchase of dietary formula for weigh control: focus on 20-30’s adults in Jeju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purchase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by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intake experience 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gender, age, and body mass index, including 300 adults (19-39 years old) in Jeju area. Prior to the online survey, 2 copies of questionnaires, one with non-agreem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he other being poorly filled out were excluded. The survey results of the 300 participan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39 in Jeju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Program (ver 26.0). For the analysis method for each survey conten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deriv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mean ± standard deviation with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and post-validation was performed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300 participants, the proportion of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the proportion of those in their 20s was high among ag group. For the area of residence, the proportion of residents of Jeju City was high, for the type of residence, the proportion of residents living with three or more was high, and for the education level, high school graduates or higher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For occupation, the proportion of unemployed was high and for the level of average income, the proportion of between 1 million won and less than 3 million won was high, and for the average food expenses, those spending between 13 thousand won and less than 500 thousand won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2. For the body mass index calculated based on height and weigh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 in 299 participants, the proportion of obese group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males, while normal weight group to be highest in females. In addition, the normal group was shown to be highest in those in their 20s, while the obese group in those in their 30s.

3. In the factor analysis on the food-related lifestyle of the participant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convenience pursuit type, health pursuit type, taste pursuit type, and economy pursuit type and in the cluster analysis, two clusters, a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and with low interest, were derived.

4. For the actual status of diet experience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gender and age group and body mass index,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ood-related lifestyle clusters,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those in their 20s, and the obese group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for those with diet experience. For the experience of diet method, exercise therapy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in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male, female, those in their 30s, and overweight group, while dietary therapy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in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female, and overweight group, and usage of dietary formula in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male, those in their 20s, and overweight group. Pharmacotherapy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in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female, those in their 30s, and overweight group.

5. For the total score of the eating habits, it was measured to be 30.16 out of 50 points, indicating 'average'. For the scores according to gender, age group, and body mass index, males scored 30.28 points, females 30.05 points, those in their 20s 30.82 points, and those in their 30s 28.93 points.

6. For the purchasing status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gender and age group, and body mass index, it was found that it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in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female, 20s, and overweight group. For the reasons for intake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gender and age group, and body mass index, 'for weight loss effect' was found to account for high proportion in the group with high and low interest in diet, female, and those in their 20s, while 'as snack substitute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in men and those in their 30s. In addition, 'as snack substitutes' was found to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in the underweight group, while the 'for weight loss effect' for a high proportion in the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groups. For the reason for not taking dietary formulas for weight control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gender and age group, and body mass index, 'feeling no necessity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and 'online' purchase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7. The average score of the nutrition knowledge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to be 8.46 points(out of 10 points), and wit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into the group with a high score(8 points or higher in nutrition knowledge) and the group with a low score(under 7 points in nutrition knowledge), for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 gender and age group, and body mass index, high scores were shown in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diet among the food-related lifestyle clusters and the overweight group.

8. In the IPA analysis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in purchasers, attributes of 'weight management without weight cycling phenomenon', 'systematic nutrition balance', 'taste', 'convenient menu', 'healthy recipe', and 'reviews of product users' were found in the first quadrant, indicating that maintenance of the current level is appropriate due to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 the second quadrant, which indicates the need for intensive improvement due to high importance but low satisfaction, the attributes of 'low salt and low fat' was found. In IPA analysis of dietary formulas for weight control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attribut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adrant in both the high interest group and the low interest group.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the effects on purchase of a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could b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diet experience and purchase status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gender and age group, and body mass index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n Jeju.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s following:(1) Limitation in purchase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due to high ratio of unemployed without income among survey participants(2) Insufficient kinds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for intake analysis,(3) Unclear distinction between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and protein-enhanced food. Therefore, in order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is rai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ult food-related lifestyle on purchase of dietary formula for weight control based on sufficient subjects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educational materials for purchasing consumers.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성인들(만 19~39세, 300명)을 대상으로 식생화 라이프스타일, 성별과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른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경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하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 시작 전 연구 참여 동의 여부에 미동의한 설문지와 부실 기재된 설문지 2부를 제외하여 제주지역 만 19세~39세 성인 300명의 설문결과를 SPSS Win Program(ver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내용별 분석방법은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량 분석하여 평균±표준편차, χ2-test, t-test, ANOVA를 실시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사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전체 300명의 조사대상자 중 성별은 여성, 연령은 20대, 조사대상자의 거주지역은 제주시 거주자가, 거주의 형태는 3인 이상, 교육수준은 고졸 이상, 직업은 미취업자, 평균소득은 100~300만원 미만, 마지막으로 평균 식비는 13~50만원 미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의 299명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신장과 체중을 근거로 산출한 체질량지수는 남성은 비만군, 여성은 정상체중군, 20대는 정상체중군, 30대는 비만군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으로 편의추구형, 건강추구형, 미각추구형, 경제추구형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식생활 고관심 집단과 식생활 저관심 집단의 2개 군집이 확정되었다.

4. 조사대상자의 다이어트 경험 실태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성별 및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 중 식생활 고관심 집단, 20대, 비만군에서 다이어트 경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다이어트 방법별 경험에서 운동요법은 식생활 고관심 집단, 남성과 여성, 30대, 과체중군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식이요법은 식생활 고관심 집단, 여성, 과체중군 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다이어트 식품은 식생활 고관심 집단, 남성, 20대, 과체중군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약물요법은 식생활 고관심 집단, 여성, 30대, 과체중군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5.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합계 점수는 총 50점 만점 중 30.16점으로 ‘보통’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른 결과, 남성은 30.28점, 여성은 30.05점, 20대 30.82점, 30대 28.93점이었고, 저체중군 29.40점, 정상체중군 30.23점, 과체중군 30.70점, 비만군 29.76점이었다.

6.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실태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성별 및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식생활 고관심 집단, 여성, 20대, 과체중군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 이유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성별 및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식생활 고관심 집단과 저관심 집단, 여성, 20대에서는 체중감소의 효과, 남성과 30대에서는 운동보조식품, 저체중군은 간식대용,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에서는 체중감소의 효과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 하지 않는 이유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성별 및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성별 및 연령대, 체질량지수 모두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온라인’ 구매처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7.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의 평균 점수는 8.46점(10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지식 점수에 따라 점수가 높은 집단(영양지식 점수 8점 이상)과 낮은 집단(영양지식 점수 7점 이하)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상자의 영양지식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성별 및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 중 식생활 고관심 집단, 과체중군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8.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선택속성 IPA 분석 결과, 중요도와 만족도 모두 높아 현 수준을 유지하는데 적정한 1사분면에서는 ‘요요없는 체중관리’, ‘체계적인 영양섭취’, ‘맛’, ‘편리한 메뉴’, ‘건강한 조리법’, ‘제품사용자의 이용후기’속성이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으므로 집중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는 제2사분면에서는 ‘저염식 및 저지방’ 속성이 나타났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선택속성의 IPA 분석 결과, 식생활 고관심 집단과 식생활 저관심 모두 2사분면에는 속성이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주지역 20~30대 성인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성별, 연령대, 체질량지수에 따른 다이어트 경험 실태와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실태를 파악하여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1) 조사대상자의 미취업자의 비율이 높아 소득이 발생하지 않아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의 한계 (2)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를 분석하기에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의 종류 부족한 조사결과 (3) 체중조절용 조제식품과 단백질강화식품과 구분이 명확하게 되지 않은 점이다. 그러므로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충분한 대상자를 바탕으로 성인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시도한다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 소비자들의 맞춤형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Author(s)
홍주연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51
Alternative Author(s)
Hong, Joo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Advisor
이윤경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4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개념 4
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선행연구 5
2.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6
1)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의 개념 6
2)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의 시장현황 7
3)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의 중류 8
3. 영양지식 10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1
1. 조사대상 및 기간 11
2. 조사내용 및 방법 11
3. 조사 분석 및 통계 처리 14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5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15
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19
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요인분석 19
2)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군집분석 22
3)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일반사항 23
3. 다이어트 경험 실태 26
1) 조사대상자의 다이어트 경험 유무 26
2) 조사대상자의 다이어트 소요기간 28
3) 조사대상자의 다이어트 평균 지출 비용 31
4) 조사대상자의 다이어트 방법별 경험 및 만족도 34
4. 식습관 및 식행동 41
1)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41
2) 조상대상자의 식행동 44
5.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실태 47
1)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 경험 47
2)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섭취 이유 49
3)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입처 53
4)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입 횟수 55
6. 영양지식 57
1)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 57
2)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체질량지수에 따른 영양지식 59
7.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의 선택 시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60
1)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선택속성의 중요도 62
2)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선택속성의 만족도 65
3)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입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IPA 분석 68
4)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입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군집별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선택속성 대한 중요도-만족도 IPA 분석 70
8.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재구매 72
1) 조사대상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재구매 여부 72
2) 조사대장자의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재구매 이유 74
Ⅴ. 결론 및 제언 78
Ⅵ. 참고문헌 84
Abstract 9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홍주연. (2023). 제주지역 성인 20-30대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