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어린이들의 식생활 실태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Dietary Life of Children in the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식생활 및 식사 행동 실태 분석 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유아의 식생활 문제점과 원인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식생활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식행동 스크리닝 검사(DST)를 통해 제주도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2021년 10월 12일부터 12월 2일까지 온라인 및 지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38부를 ㈜뉴트리아이 식생활연구소에서 제공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통계 처리 프로그램 SPSS Win Program(ver.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𝒳test를 실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남아 52.7%, 여아 47.3%였으며 연령은 만 3세가 28.0%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비만판정은 양호가 68.5%, 비만 23.3%, 저체중 8.2%로 나타났으며 낮시간 보육자는 보육종사자/보육교사가 87.6%, 부모 10.9%, 조부모 1.6%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성식품 섭취 여부에 있어서는 섭취 하는 비율이 68.1%, 식품 알레르기 질환에 대해서는 없음이 91.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에 대한 부모의 걱정은 성장걱정을 하지 않는 비율이 69.5%, 식사걱정을 하는 비율이 52.9%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생활리듬은 양호 89.3%, 주의 10.7%로 나타났으며 주의일 경우 생활리듬을 판정하는 세부 항목 중 식사소요시간 주의1(느린식사) 및 주의2(빠른식사)가 42.2%, 취침시간 주의가 58.9%로 수면시간 주의 13.3% 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식생활인 식사의 질은 위험이 67.8%로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일 경우 세부 항목 중 간식의 건전성 위험 57.7%로 나타나 식품군 균형 위험(25.2%)과 식사의 규칙성 위험(32.4%) 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식품군 균형에서는 김치(거의 먹지 않음 39.5%)와 채소섭취 빈도(하루2회 이하 섭취 79.6%)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의 규칙성은 식사횟수 3회가 64.8%, 아침식사 매일이 48.0%로 높게 나타났다. 간식의 건전성은 단가공식품 주 3~4회가 35.7%, 패스트푸드 주1~2회가 52.9% 높게 나타났으며 단가공식품 위험이 38.9%로 패스트푸드 위험 0.8% 대비 높게 나타났다.
식사의 질은 유아의 생활리듬 판정(𝑝=0.499)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항목인 취침시간(𝑝<0.001)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유아의 식사 행동 중 섭식 발달을 분석한 결과, 양호가 72.4%로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일 경우 세부항목인 삼키기와 씹기에 있어서는 씹기의 위험(62.1%)이 삼키기의 위험(51.7%)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섭식 발달은 유아의 생활리듬 판정(𝑝=0.475)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생활리듬을 판정하는 세부항목인 식사소요시간(𝑝<0.001), 취침시간(𝑝=0.002)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사의 질(𝑝=0.073)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 항목인 식품군 균형(𝑝=0.015)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의 식사행동 중 식사 기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양호가 43.1%로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인 주의 및 위험이 56.9%로 양호 대비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일 경우 식사 기질 특성을 판정하는 세부항목인 까다로움, 불규칙성, 과활동성 중 까다로움 위험 50.3%, 과활동성 49.7%로 불규칙성 위험 14.3% 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사 기질 특성은 유아의 생활리듬 판정(𝑝=0.428)에 대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항목인 식사소요시간(𝑝<0.001), 취침시간(𝑝<0.001)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사의 질(𝑝<0.001)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인 식품군 균형(𝑝<0.001), 식rkx사의 규칙성(𝑝<0.001), 간식의 건전성(𝑝=0.006)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의 식사행동 중 식사 습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양호가 53.0%로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일 경우 식사 습관 특성을 판정하는 세부 항목인 식사거부, 매체조기노출, 스스로 식사 중 매체조기노출 위험 53.7%, 스스로 식사 위험 43.0%로 식사거부 위험 10.7% 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사 습관 특성은 유아의 생활리듬 판정(𝑝=0.679)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항목인 식사소요시간(𝑝<0.001), 취침시간(𝑝<0.001)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사의 질(𝑝<0.001)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인 식품군 균형(𝑝<0.001), 식사의 규칙성(𝑝<0.001), 간식의 건전성(𝑝=0.001)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조사대상자의 비만판정은 양호한 편이며 생활리듬, 섭식발달, 식사 기질 특성, 식사 습관 특성은 양호한 편이나 식사의 질은 위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식사의 질은 식품군 균형에서 김치와 채소섭취가 낮았고 간식의 건전성에서 단가공식품 섭취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식사 행동 중 식사 습관 특성은 식사의 질과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인 매체조기노출, 스스로 식사에 대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desirable dietary life by identifying infants' dietary life problems and the causes of infa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2 to December 2, 2021 for parent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infants in Jeju Island through Dietary Screening Test (DST) and the results of 838 online and paper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by the Nutri-I Dietary Laboratory and us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e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𝒳test, using the SPSS win program(version 26.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general traits of the participants, boys accounted for 52.7%, while girls were 47.3%. The most frequent age was three years, amounting to 28.0%. Regarding the diagnosis of obesity, 68.5 percent of participants found it good. Day-time childcare workers were mostly childcare workers and nursing teachers, accounting for 87.6%.
Second, it was found that 69.5 percent of parent participants answered no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y worry about the physical growth of their children said no, and about dietary problems, 52.9 percent of them said yes.
Third, it was found that infants' biorhythms are good (89.3%) and need caution (10.7%). In the case of caution, caution number one, eating time (slow meal), and caution number two (eating fast) account for 42.2%, caution for sleeping timing (58.9%), and caution for sleeping hours (13.3%), which indicates that the percentage of caution for sleeping timing outnumbered that of the sleeping hours.
Fourth, the meal quality of infants' eating habits is risky (67.8%). For detail, sub-risk items are soundness of snacks at 58.8%, balanced in the food group at 25.2%, and the regularity of meals at 32.4%, indicating that soundness of snacks is more frequent than the balance in the food group and the regularity of meals. Regarding balance in the food group, people rarely have kimchi (39.5%) and vegetables twice a day (37.9%), which takes the lowest proportion of eating. Regarding regularity of meals, having meals three times is 64.8%, and breakfast meals are 48.2%, relatively higher in proportion. In soundness of meals, processed meals three or four times a week are 35.7, and fast food once or twice a week is 52.9%, which is relatively higher. Regarding the quality of mea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ant biorhythms (𝑝=0.499), while sleeping tim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𝑝<0.001).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child development of food intake, 72.4% are found to be good, which is relatively higher. For risk, the chewing risk is 62.1%, and the swallowing risk is 51.7%, indicating the chewing risk is higher than the swallowing risk.
In food intake developmen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risk items, the time spent eating(𝑝<0.001) and sleeping time(𝑝=0.002)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meal quality (0.07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alance in the food group(𝑝=0.015).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child development of child eating disposition traits, 43.1% are good, which is relatively higher, and 56.9% are found caution and risk, which is much higher. Regarding risk, picky eating accounts for 50.3%, and the risk for hyperactivity is 49.7%, which is higher than the risk of irregularity, 14.3%. Regarding meal disposition trai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ant biorhythms. In sub-risk items, the time spent eating(p<0.001) and sleeping time(𝑝<0.001)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eal qu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in the food group(𝑝<0.001), regularity of meals(𝑝<0.001), and soundness of meals (𝑝<0.001).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child eating habits observed from the eating behaviors, 53.0% are found to be good, which is relatively higher.
For risk, early exposure risk is 53.7%, and eating alone risk is 43.0%, which is higher than a refusal to eat risk, 10.7% In food eating habi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risk items, the time spent eating(𝑝<0.001) and sleeping time(𝑝=0.002)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eal qu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in the food group(𝑝<0.001), regularity of meals(𝑝<0.001), and soundness of meals (𝑝=0.001).
Taking all things into account, the diagnosis of obesity is positive in the participants, and their biorhythms, food intake development, food deposition traits, and eating habits are relatively good. However, the meal quality is on the risky side. Regarding mela quality, people tend to eat less kimchi, have low vegetable intake and soundness in snacks, and eat more processed food. In addition, traits in eating habits out of eating behaviors have been linked to meal qu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rly exposure to media and eating by themselves.
Author(s)
김노경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55
Alternative Author(s)
Kim No-Gy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유아기의 식행동 특성 3
2. 유아기의 영양문제 3
1) 저체중 및 비만 4
2) 편식 4
3. 유아기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과 영향을 끼치는 요인 5
4. 식생활스크리닝(DST)검사 도구 6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조사대상 및 기간 7
2. 조사내용 및 방법 7
3. 자료의 분석 및 통계처리 11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2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
2. 조사대상자에 대한 부모의 걱정 13
3. 조사대상자의 생활리듬 실태 14
4. 조사대상자의 식사의 질 실태 15
1) 식사의 질 15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식사의 질 21
3) 부모의 걱정에 따른 유아의 식사의 질 23
4) 유아의 생활리듬에 따른 유아의 식사의 질 24
5. 조사대상자의 식사 행동 실태 25
1) 섭식 발달 25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섭식 발달 26
(2) 부모의 걱정에 따른 유아의 섭식 발달 27
(3) 유아의 생활리듬에 따른 유아의 섭식 발달 28
(4) 유아의 식사의 질에 따른 유아의 섭식 발달 29
2) 식사 기질 특성 30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식사 기질 특성 32
(2) 부모의 걱정에 따른 유아의 식사 기질 특성 34
(3) 유아의 생활리듬에 따른 유아의 식사 기질 특성 35
(4) 유아의 식사의 질에 따른 유아의 식사 기질 특성 36
3) 식사 습관 특성 38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식사 습관 특성 40
(2) 부모의 걱정에 따른 유아의 식사 습관 특성 42
(3) 유아의 생활리듬에 따른 유아의 식사 습관 특성 43
(4) 유아의 식사의 질에 따른 유아의 식사 습관 특성 44
Ⅴ. 결론 및 제언 46
Ⅵ. 참고문헌 50
Abstract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노경. (2023). 제주지역 어린이들의 식생활 실태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