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젊은 성인의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 실태 및 체조성 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nsumption of protein supplements/protein fortified foods and its association with body composition among young adul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20-30대 젊은 성인의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단백질 섭취량과 체조성 지표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 실태 설문조사, 1일 24시간 회상법, 생체전기저항측정법(Inbody770)을 이용해 제지방량, 체지방률 등의 체조성 지표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식사 및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통한 총 단백질 섭취량을 추정하였고 체조성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022년 6월부터 2023년 4월 30일까지 온라인(전화, 메일, 문자 등) 및 오프라인(학교 안, 식당 등)으로 대상자를 모집하여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총 310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식사를 통한 1일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은 CAN-Pro 5.0(Web ver.) 전문가용(한국영양학회 개발) 프로그램을 이용해 산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9.4(SAS Institute, Cary, NC,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내용별 분석방법은 t-test, chi-square test, 일반선형모형(general linear model),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36.77%, 여자 63.23%로 나타났으며,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72.95%,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27.05%로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신체활동의 강도에 따라 고강도와 중강도로 구분하였을 때 고강도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6.30%, 고강도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63.70%로 고강도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22.58%가 현재 2주 이상 지속적으로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섭취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섭취하는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의 형태는 분말이 75.71%로 가장 높았다. 섭취하는 동기로는 근육 발달에 도움을 얻기 위해 섭취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16.77%로 가장 높았고, 구입경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24.52%로 나타났다. 복용기간은 1~3개월 섭취하였다고 응답한 비율 4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식사 및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통한 총 단백질 섭취량은 88.07g/day으로 남성(110.58g/day)이 여성(74.97g/day)에 비해 섭취량이 더 많았으며, 신체활동을 하는 대상자의 섭취량은 98.75g/day,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에서는 82.26g/day으로 신체활동을 하고 있는 그룹에서 단백질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신체활동 강도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마찬가지로 고강도 신체활동 수행자의 섭취량 98.75g/day, 중강도 신체활동 수행자의 섭취량은91.22g/day로 신체활동을 하는 대상자의 단백질 섭취량이 더욱 높았다.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의 총 단백질 섭취량은 119.12g/day으로 전체 대상자의 총 섭취량에 비해 높았으며, 마찬가지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신체활동 수행자가 비수행자에 비해 단백질 섭취량이 높았다.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여부에 따른 식사를 통한 영양소 섭취량을 살펴보았을 때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에서 비섭취자에 비해 단백질 섭취량(섭취자 97.06g/day, 비섭취자 79.01g/day, p value=0.0110)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백질 에너지섭취비율(섭취자 18.25%e, 비섭취자 16.86%e, p value=0.0793)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탄수화물 에너지섭취비율(섭취자 44.41%e, 비섭취자 51.27%e, p value<.0001)은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에서 비섭취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 여부에 따라 영양소 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했을 때 단백질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은(섭취자 11.43%, 비섭취자 25.83%, p value=0.0112) 섭취자에서 단백질을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다량영양소의 에너지 적정비율(AMDR) 충족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섭취자에서 단백질과 지방을 AMDR의 상한선을 초과해서 섭취하고 있는 비율이 각각65.71%로 비섭취자에 비해 높았던 반면, 탄수화물은 AMDR 하한선 미만(<55%)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81.43%로 비섭취자 61.67%에 비해 높아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자는 대체로 단백질, 지방의 비율이 높은 식사를 하고 있었다.
단백질 섭취량을 식사를 통한 섭취량,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통한 섭취량, 식사와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포함한 총 섭취량으로 분류해 하루 총 섭취량(g/day), 에너지섭취비율(% of energy), 단위체중당 섭취량(g/kg/day)으로 산출하여 체조성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성에서 총 단백질 에너지섭취비율과 제지방량과 양의 상관관계(r=0.19, p value=0.0415)가 있었으며,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통한 단백질의 에너지섭취비율과 제지방량이 양의 상관관계(r=0.19, p value=0.0384)가 있었다. 체중 당 총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r=-0.21, p value=0.0243)과 체질량지수(r=-0.20, p value=0.0325)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식사를 통한 단백질의 체중 당 섭취량은 체중(r=-0.21, p value=0.0243)과 체질량지수(r=-0.23, p value=0.0159)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성에서는 체중 당 총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r=-0.45, p value<.0001)과 체질량지수(r=-0.44, p value<.0001), 체지방률(r=-0.37, p value<.0001), 제지방량(r=-0.37, p value<.0001)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식사를 통한 단백질의 체중 당 섭취량은 체중(r=-0.48, p value<.0001)과 체질량지수(r=-0.46, p value<.0001), 체지방률(r=-0.38, p value<.0001), 제지방량(r=-0.41, p value<.0001)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급원별(총, 식사,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단백질 섭취량과 제지방량 및 체지방률과의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통한 단백질 에너지섭취비율 증가는 제지방량의 증가(β=0.053, R2=0.94, p value=0.0010), 체지방률의 감소(β=-0.055, R2=0.79, p value=0.0237)와 관련이 있었으며,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통한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는 제지방량의 증가(β=0.075, R2=0.72, p value=0.0310)와 관련이 있었다.
급원별(총, 식사) 단백질 섭취량 삼분위수(tertiles)에 따른 체조성 지표 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총 단백질 에너지 섭취비율(% of energy)이 높아질수록 체지방률은 낮아졌고(p for trend =0.0238), 제지방량은 높아졌다(p for trend =0.0002). 총 단백질과 식사를 통한 단백질 섭취량(g/day)이 높아질수록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 제지방량이 모두 높아졌다(p for trend <0.05). 반면 단위체중당 단백질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체지방률이 낮아졌다(p for trend =0.0225).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총 단백질 및 식사를 통한 단백질 섭취량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체중당 단백질 섭취량과 에너지섭취비율 모두 비만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일일 총 단백질 및 식사단백질 섭취량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에서 단백질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삼분위군의 비만의 교차비가 가장 적게 섭취하는 삼분위군에 비해 2.93배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제주지역 20-30대 젊은 성인에서 단백질 섭취상태를 개선하는 것에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들에서 식사를 통한 단백질 섭취량만으로도 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이루어지고 있어 과잉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 단백질 섭취량을 파악해 제주 지역 성인들의 올바른 단백질 섭취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제지방 증가, 체지방 감소를 위한 단백질의 적정 섭취수준, 유형 등의 파악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nsumption of protein supplements/protein fortified foods and investigate its association with body composition factors such as lean body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among young adults in Jeju.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nline (telephone, e-mail, etc.) and offline (school, restaurant, etc.) from June 2022 to April 30, 2023, and 310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nsumption of protein supplements/protein fortified foods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and dietary intake was assessed using a 1-day 24-hour recall method.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using Inbody770. Total protein intake including dietary protein and supplemental protein was estimated. Daily energy and nutrient intake through meals were calculated using the CAN-Pro 5.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AS 9.4 (SAS Institute, Cary, NC, USA). Analysis methods included t-test,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general linear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36.77% of the participants were men and 63.23% of women, 72.95% said they were physically active, and 27.05% said they we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36.30% of participants said they were doing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and 63.70% said they were not doing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Around 22.58% of the participants consumed supplemental protein for more than 2 weeks, and the form of protein supplemental protein consumed was the highest at 75.71%. As for the motivation to consuming protein supplements/fortified foods, 16.77% said they ate it to help muscle development, whilst 24.52% said they bought it from online shopping malls. About 44.12% of the participants said they took it for 1 to 3 months, the highest percentage.
The total protein intake from diet and protein supplements/protein fortified foods was 88.07 g/day, with men (110.58 g/day) consuming more than women (74.97 g/day), 98.75 g/day for those wh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and 82.26 g/day for those who do not engage in the group.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98.75 g/day of intake by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performers and 91.22 g/day of intake by medium-intensity physical activity performers were also higher. The total protein intake of supplemental protein consumers was 119.12 g/day, higher than the total intake of all subjects, and men also had a higher protein intake than women.
According to a survey of nutrient intake through meals based on whether or not supplemental protein were consumed, protein intake (97.06 g/day for non-intake, 79.01 g/day for non-intake, p value=0.0110) was higher than non-intakes. On the other hand, the carbohydrate energy intake ratio (44.41% e for consumers, 51.27% e for non-consumers, and p value <.0001) were lower than that of non-consumers in supplemental protein.
When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nutrient intake depending on whether supplemental protein are consumed, the rate of protein intake below average requirements (11.43% for consumers, 25.83% for non-consumption, and pvalue=0.0112) was low. On top of that,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AMDR, just about 65.71% of consumers ate protein and fat above the AMDR upper limit, respectively, while 81.43% ate carbohydrates below the AMDR lower limit (<55%) compared to 61.67% of non-consumers.
Protein intake was classified as dietary intake, protein supplements/protein fortified foods intake, total daily intake (g/day), % of energy, and g/kg/day per unit weight intake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gymnastics body composition. As a consequence,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protein energy intake ratio and the amount of fat control (r=0.19, pvalue=0.0415) in men and the % of energy and fat control through supplemental protein (r=0.19, pvalue=0.0384). Total protein intake per weight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r=-0.21, pvalue=0.0243) and body mass index (r=-0.20, pvalue=0.0325), and dietary protein intake per weight by diet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r=-0.21, pvalue=0.0243).
In women, total protein intake per weight is inverse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r=-0.45, pvalue<.0001), body fat percentage (r=-0.37, pvalue<.0001), and fat removal amount (r=-0.37, pvalue<.0001), and dietary protein intake per weight by diet is body weight(r=-0.48, pvalue<.0001). According to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body composition, the increase in % of energy is related to increasing in fat control (β=0.053, R2=0.94, p value=0.0010).
When comparing the gymnastic index level according to tertiles of total and dietary protein intakes, the higher the total protein % of energy (p for trend=0.0238) and the higher the fat control (p for trend=0.0002). The higher the total protein and protein intake (g/day) through diet, the higher the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and anti-fat content (p for trend < 0.05). On the other hand, as dietary protein intake per body weight increased,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p for trend=0.0225).
Whe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intake through total protein and diet and obesity, Total daily protein and dietary protein intake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besity. On the contrary, people in the highest tertile of total daily protein had a 2.93 times higher risk of obesity compared to those in the lowest tertile.
In conclusion, thes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protein supplements/protein fortified foods may help improve protein intake status in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n Jeju. However, the participants consumed enough protein intake from the diet, thus it is necessary not to overdose. Hence,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total protein intake status among young adults in Jeju and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appropriate intake level of protein intake to increase muscle mass/strength and reduce body fat.
Author(s)
이효주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60
Alternative Author(s)
Lee Hyo-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Advisor
하경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단백질 3
1)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 3
2) 단백질 섭취실태 3
2. 단백질 건강기능식품 및 강화식품 5
3. 단백질과 체조성지표와의 연관성 6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7
1. 연구대상 및 모집 7
2. 단백질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설문조사 7
3. 식사섭취조사 11
4. 체성분 측정(Inbody) 11
5. 통계분석 11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13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
2.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 실태 15
3. 식사 및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을 통한 총 단백질 섭취 실태 22
4. 총 단백질 섭취량과 체조성 지표와의 연관성 34
V. 결론 및 제언 61
VI. 참고문헌 68
부록 73
Abstract 8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효주. (2023). 제주지역 젊은 성인의 단백질 건강기능식품/강화식품 섭취 실태 및 체조성 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