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의 유형과 분포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Geomjilmaeneunsori in Jeju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도 민요 중 밭농사에서 불리는 밭매는 소리인 분포, 유형, 변이 연구를 통해 하나의 기능을 가진 민요가 다양한 문화를 품고 있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주도 는 다양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의 유형은 오이코타입과 훗소리로 분류하였다. 유형은 크게 사데류, 아웨기류, 밭매는홍애기, 공유민요, 기타민요로 5개로 분류하고 다시 사데류는 소리의 길이와 빠르기에 따라 진사데소리, ᄍᆞ른사데소리, 추침사데소리로 나눴다. 아웨기류는 진아웨기소리, ᄍᆞ른아웨기로 나누고 밭매는홍애기소리는 그 성격이 남달라 별도로 분류하였다. 공유민요는 상사소리, 더럼소리, 담벌소리, 용천검으로 분류하였고, 기타민요는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민요로 성주소리와 선낙각시로 2개의 유형이 존재한다. 사설의 특성은 노동요로서의 모습을 매우 잘 드러내고 있다. 대부분의 사설 내용이 노동의 실태를 담고 있고, 그 외에 경세, 애정, 생활 등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다. ’앞멍에는 들어나오라‘, ’뒷멍에랑 나구나가라‘, ‘사데불렁 우기멍가자’ 등이 첫 소절로 나타난다. 이후 노동실태를 계속 노래하거나 세상 사는 이야기, 애정에 관한 이야기, 세상 물정 등이다. 제주도 분포 양상은 지역에 따라 존재하는 유형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밝혔다. 사데류는 제주도 서쪽이 우선 지역이고 아웨기류는 제주도 동쪽이 우선 지역이다. 특히 조선시대 정의현 행정구역으로 표선면과 성산읍이 가장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제주도 유형의 지역 분포를 지도화하여 양상을 밝혔다. 제주도 의 분포 양상을 통한 인문지리적 성격은 자연환경에 따른 동서의 다름으로 제주도 서쪽 지역의 토양인 비화산토와 동쪽 지역의 토양인 화산회토로 토양의 성질이 서로 달라 농사법 또한 다르며, 그런 다름이 의 분포 양상을 만들었다. 역사지리적 성격으로 사데류 중 굽이진사데소리는 고려시대 행정구역을 벗어나지 못하는 폐쇄성을 가지고 있고, 아웨기류와 공유민요, 기타민요는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모습을 담고 있다. 제주도 내 다른 문화와의 교류로 무속과의 관계 속에서 아웨기소리라는 민요가 탄생하였다. 아웨기소리는 선소리는 사데소리이고 훗소리는 제주 무속 제차 중 석살림에 불리는 서우제소리의 훗소리다. 이러한 결합으로 아웨기소리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변이된 모습이 아닌 석살림에서 불리는 담불소리도 의 유형이다. 그리고 의 개방성으로 타농업노동요 수용, 어업요와의 관계에서 변이 형태, 육지민요 수용, 창민요 수용 등 여러 기능요와의 넘나듦이 존재한다. 타농업노동요로는 홍애기소리, 더럼소리가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로 불리고 있고, 사데류-ᄍᆞ른사데-뒤야로구나는 멜후리는소리 훗소리 앞부분과 ᄍᆞ른사데소리 훗소리 뒷부분이 만나 결합된 형태이다. 그리고 육지민요인 상사소리도 밭매는 노동에서 불려지면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창민요에서는 용천검이 밭매는용천검으로 선율, 사설의 변화 없이 불려지고 있다. 기타민요로 아직 그 성격이 밝혀지지 않는 성주소리와 선낙각시가 있다.
이 연구에서 내린 결론을 서술하면 첫째 는 제주도의 정체성을 한껏 드러내는데, 아주 적절한 대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둘째, 는 소리의 양상에 입각하여 독자적인 분포권과 함께 지역 유형이라는 각별한 양상을 만들어냈다. 셋째, 는 제주도의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매개하는 적절한 대상이 된다.|This study attempts to enunciate the distribution, types, and variation of Geomjilmaeneunsori — Jeju’s folk songs that are sung for weeding in dry-field farming — through which it is demonstrated that folk songs serving a single function encompass diverse cultural aspects. Jeju’s Geomjilmaeneunsori feature various types. Based on the oicotype and hutsori [the overword that follows seonsori or the leading solo] the songs contain, this paper largely classifies Geomjilmaeneunsori into songs in the Sadeh class, songs in the Aweghi class, shared folk songs, and other folk songs. The classification was followed by the subdivision of the folk songs with their lengths and tempos as the criteria, sorting the songs in the Sadeh class into Jinsadehsori, Jjoreunsadehsori, and Chuchimsadeh-
sori, and the shared folk songs into Hongaeghisori, Sangsasori, Deoreomsori, Dambeolsori, and Yongcheongeom. The other folk songs are very finitely distributed, featuring only two types, Seongjusori and Seonnakgakshi. The lyrics of Geomjilmaeneunsori very distinctively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work songs. In terms of themes, working conditions a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worldly affairs, love affairs, and livelihoods. A representative first verse is “Apmeongehneun deureonaora / Duitmeongehrang nagunagara / Sadehbuleong ughimeon-
ggaja” [lyrics that describe the working conditions in the field]. In the subsequent verses, workers continue to sing about their working conditions or shift the theme to their personal affairs, love affairs, or worldly affair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Geomjilmaeneunsori in Jeju, the regional typ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ir aspects. The Sadeh class prevails in the western region of Jeju, while the Aweghi class is predominant in the east. Specifically, the present districts of Pyoseon-myeon and Seongsan-eup, which belong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Jeonguihyeon in the Joseon period, feature the most diverse types. This paper elucidates the types of Geomjilmaeneunsori through the mapping of its regional distribution. In the human geographical sense, farming practices vary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regions of Jeju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ir natural conditions. The west contains land with non-volcanic soil, while the land in the east is largely comprised of volcanic ash soil. This difference shapes the distribution of Geomjilmaeneunsori in Jeju. From the perspectives of history and geography, Gubijinsadehsori in the Sadeh class are considered closed in that their lyrics fail to go beyond the scop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Goryeo era, while the songs in the Aweghi class, the shared folk songs, and the other folk songs describe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subsequent era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course of interacting with other cultures within Jeju, the folk song titled “Aweghisori” was created, particular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shamanism. Aweghisori’s seonsori features Sadehsori and its hutsori is identical to Seoujesori, a verse included in Jeju’s shamanic ritual named Seoksallim. This is how Aweghisori was constituted. Other than the said variation, Dambulsori sung during Seoksallim is also a type of Geomjilmaeneunsori. The open aspects of Geomjilmaeneunsori signify the crossover with other functional folk songs as proved in the acceptance of other agricultural work songs, the variants of fisheries work songs resulting from interactive relationships, the acceptance of work songs from other regions on the Korean mainland, and the acceptance of Changminyo [popular folk songs]. In terms of other agricultural work songs, Hongaeghisori and Deoreomsori are sung as Geomjilmaeneunsori, with their formats intact. The consecution of “Sadeh class-Jjoreunsadeh-
duiyaroguna” represents the combination of the beginning part of hutsori in Melhurineunsori and the ending part of hutsori in Jjoreunsadehsori. A folk song from the Korean mainland, titled “Sangsasori,” was adopted to be sung for weeding in dry-field farming and is now considered a type of Geomjilmaeneunsori. Yongcheongeom, a Changminyo, is also renamed Banmaeneunyongcheongeom and sung with no variation of the original melody and lyrics. The other folk songs adopted into Geomjilmaeneunsori include Seongjusori and Seonnakgakshi, of which the characteristics remain unidentified.
The conclusiv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eomjilmaeneunsori are deemed to be one of the most appropriate media through which the identity of Jeju is well-represented. Second, Geomjilmaeneunsori generated features of distinctive distribution and regional types based on the patterns of the songs. Third, Geomjilmaene-
unsori serve as an appropriate medium that connects Jeju’s physical and human geographies.
Author(s)
송정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69
Alternative Author(s)
Song Jeonghe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Advisor
허남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3
3. 연구방법 4
4. 연구 자료와 한계점 9
Ⅱ. 자료분석 14
1. 자료 24
1-1. 한국구비문학대계 24
1-2. 한국민요대전-제주도민요 28
1-3. 나요당기증 제주민요 자료집 31
1-4. 현장조사 34
1-5. 濟州의 鄕土民謠 35
1-6. 濟州島部落誌 36
1-7. 제주의 민요 38
1-8. 한국의 민속음악-제주도민요편 40
1-9. 백록어문 41
2. 자료분석 48
2-1. 사데소리 훗소리 분석 48
2-2. 아웨기소리 훗소리 분석 51
2-3.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훗소리 분석 52
Ⅲ. 의 유형과 실제 55
1. 의 유형 분류 55
2. 의 유형별 특징과 실제 64
2-1. 사데류 64
(1) 진사데소리 유형 65
(2) 른사데소리 유형 74
(3) 추침사데소리 81
2-2. 아웨기류 87
(1) 진아웨기소리 87
(2) 른아웨기소리 88
2-3 밭매는홍애기소리 89
2-4. 공유민요 93
(1) 상사소리(상사디야요) 94
(2) 담벌소리 95
(3) 더럼소리 96
(4) 용천검 97
2-5. 기타민요 99
(1) 성주소리 99
(2) 선낙각시 100
3. 의 사설 유형 104
3-1 실무성 사설 104
3-2 놀이성 사설 106
3-3 표출성 사설 107
Ⅳ. 의 분포 양상 111
1. 제주도 환경과 밭농사의 특징 111
1-1. 제주도 환경 111
1-2. 제주도 농사의 특징 116
2. 유형별 분포 양상 119
2-1. 사데류 122
2-2. 아웨기류 128
2-3. 밭매는홍애기소리 129
2-4 공유민요 130
2-5 공유민요-상사소리 131
Ⅴ. 의 인문지리적 성격 134
1. 자연환경에 따른 동서의 다름 134
2. 제주의 옛 행정구역의 모습 137
3. 무속신앙을 품고 있는 143
4. 의 개방성 146
Ⅵ. 결론 148
참고문헌 153
15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송정희. (2023). 제주도 의 유형과 분포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Korea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