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무덤을 통해 본 제주인의 죽음관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view of death Jeju's Death Through Jeju Tomb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Seocheonggochbat’ the space of the living and the dead -
Abstract
인간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하여 의문을 갖고 살아간다. 인간에게 가장 확실한 미래는 ‘죽음’이다. 왜냐하면 삶과 죽음은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죽음은 삶 속에 공존하며 산 자들과 일상을 함께한다.
제주도는 한반도라는 동일 문화권 안에서 육지의 문화와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문화를 갖고 있다. 지리적 환경을 차치하고서라도 관·혼·상·제(冠·婚·丧·祭)까지 한반도 문화 안에서 또 다른 제주만의 문화를 창출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관·혼·상·제(冠·婚·丧·祭)의 네 가지 의례 중 상례(喪禮)와 관련하여 제주인들의 특별한 죽음관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육지의 타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제주인들의 장묘문화를 이해한다.
둘째, 산 자의 공간인 올레와 ‘서천꽃밭’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셋째, 삶과 죽음의 완충공간이 된 ‘서천꽃밭’에서 제주인들이 찾고자 했던 삶과 죽음의 종착지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인들에게 죽음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로의 출발이다. 인간의 존재는 영원한 것이며 죽음을 통해 존재의 근원으로 돌아간다. 죽음은 삶을 보다 긍정적, 적극적으로 살아 갈 수 있게 하는 정신적 기반을 만들어 준다. 죽음이 현실로 나타난 곳이 ‘무덤’이다. 장례의례는 죽은 자를 위한 산자의 축원(祝願)이다.
둘째, 삶의 공간인 올레 또한 초법피난처(超法避難處)의 기능으로 기록된 것처럼 올레의 공간은 산 자에게는 외부로부터의 피난처가 된다. 제주 신화를 통해 나타난 ‘서천꽃밭’과 ‘올레’는 산 자에게는 이동의 통로로, 죽은 자에게는 영혼의 통로이다. ‘서천 꽃밭’과 ‘올레’는 산 자와 죽은 자의 기억, 즉, 정신(精神)으로 이어지는 통로이다. 산 자의 이승과 죽은 자의 저승은 다른 세계이다. 그러나 정신과 영혼을 이어주는 매개체, 완충적 공간인 올레라는 현실 세계의 이정표와 ‘서천꽃밭’이라고 하는 정신적 공간이 하나로 이어질 때, 산 자와 죽은 자는 현실 세계에서 삶을 함께 하게 된다.
셋째, ‘서천꽃밭’은 제주인들의 죽음관에 있어서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이지만 삶에 가까운 완충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서천꽃밭’은 죽음을 준비하는 공간이 아니라 재생(부활)을 준비하는 공간이다. 죽음과도 같은 현실의 힘겨움을 위로 받고,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서천꽃밭을 통한 제주인들의 죽음은 다른 사람으로의 환생이나 다른 세계로의 전환이 아니다. 신화 속의 ‘서천꽃밭’을 통한 부활은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다. 제주의 가족문화는 ‘서천꽃밭’을 통해서 나타난다. 원래의 자기 자리로 돌아오는 제주의 신화에서 가족이 모두 한 집안을 지키는 가족 수호신으로 자격을 부여 받는다. 제주인들은 돌고 돌아가도 원래 본인의 자리가 되는 제주의 섬 안에서 죽음조차도 순환적 삶으로의 복귀, 즉, 재생(부활)을 ‘죽음’이라 여겼다.
|Humans live with doubts about the uncertain future. The su rest future for humans is death. Because life and death are inseparable. In this way, death coexists in life and shares daily life with the living. Jeju Island has a culture tha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ulture of the land within the same culture as the Korean Peninsula. Aside from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customs, weddings, funeral ceremonies, and rituals have created another Jeju's own culture within the Korean Peninsula culture. Among the four rituals that humans experience in their lives,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special view of death of Jeju people in relation to
Sangrye, wedding, funeral, and ritual.
First, we understand the burial culture of Jeju people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regions on land.
Second, we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Olle and the ‘Seocheon ggoctbat’.
Third, we will look at the end of life and death that Jeju people wanted to find in the ‘Seocheonggoctbat’, which has become a buffer space for life and death.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for Jeju people, death is not the end, but the start of a new world. Human beings are eternal and return to the source of existence through death. Death creates a spiritual foundation that allows you to
live life more positively and actively. The place where death has become a reality is the ‘grave’. Funeral rites are the prayers of the living lions for the dead.
Second, as Ole, a space for life, is also recorded as a function of ultra-legal refuge, Ole's space becomes a refuge from the outside for the living. ‘Seocheon ggoctbat’ and Olle, which appeared through Jeju mythology, are channels of movement for the living and channels of soul for the dead. ‘Seocheonggoctbat’ and Olle are passages that lead to the memories of the living and the dead, that is, the spirit. ‘Seocheonggoctbat’ and Olle are passages that lead to memories of the living and the dead, that is, memories of the soul. The world of the living and the underworld of the dead are different worlds. However, when the milestone of the real world called Ole, a buffer space that connects the mind and the soul, and the spiritual space called ‘Seocheonggoctbat’ lead to one, the living and the dead live together in the real world.
Third, ‘Seocheonggoctbat’ is a space where life and death coexist in the view of death of Jeju people, but it can be said to be a buffer space close to life. ‘Seocheonggoctbat’ is not a place to prepare for death, but a place to prepare for regeneration(revival). The Jeju people tried to overcome their lives by comfortingthemselves in the hardships of reality like death.
The death of Jeju people through the ‘Seocheonggoctbat’ is not a reincarnation of others or a transition to another world. The relief through the mythical ‘Seocheonggoctbat’ is to return to its original place. The family culture of Jeju appears through the ‘Seocheonggoctbat’.
The family culture of Jeju appears through the ‘Seocheonggoctbat’. In the Jeju myth that you go back to where you were, every family becomes the guardian deity of a family that protects one family. The Jeju people seem to have thought that even death on the island of Jeju, which is their place even if they go back and forth, is a return to a circular life, that is, regeneration (resurrection), as ‘death’.
Author(s)
함명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71
Alternative Author(s)
Ham, Myung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자연문화유산교육학과
Advisor
장승희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Ⅱ. 죽음의 의미와 제주장묘문화 6
1. 죽음의 의미 고찰 6
2. 제주장묘문화의 유래와 특징 12
1) 제주장묘제도의 유래 12
2) 제주장묘문화의 특징 16
Ⅲ. '서천꽃밭'에 나타난 제주인들의 죽음관 20
1. 제주신화와 '서천꽃밭' 20
1) '서천꽃밭'의 개념과 유래 20
2) '서천꽃밭'의 구성 및 의미 23
3) '서천꽃밭'에서 나타나는 제주인의 죽음관 34
2. 완충적 공간으로서의 '서천꽃밭' 36
1) 올 레: 산 자와 죽은 자의 길 36
2) 토 롱: 삶에서 무덤으로의 이동 44
3) 선(): 선(善)함이 빚어낸 제주무덤 48
3. 소 결 51
Ⅳ. '서천꽃밭' 개념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활용방안 53
1. 한국 죽음교육의 발달과 필요성 53
2. '서천꽃밭'의 문화유산적 가치로써의 죽음교육 활용 55
Ⅵ.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함명희. (2023). 제주무덤을 통해 본 제주인의 죽음관.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