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서천꽃밭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in Seocheon Flower Garden :Focusing on Taema Park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본풀이에 나타난 서천꽃밭의 상징성을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주의 신화인 ‘본풀이’는 굿에서, 하나의 신(神)이 현재의 면모로서 숭앙받기까지 과정을 설명하는 서사이다. 본풀이가 가진 가장 큰 매력은 오랫동안 구전되어 온 생명력이다. 본풀이는 시간이 흘러 현재도 굿에서 불리고 있고, 전설, 민담, 소설 등의 변모된 모습으로 남아 있어 오랜 시간동안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고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는 강한 생명력이 있다. 생명력을 지닌 본풀이와 문화콘텐츠가 결합하는 것은 낯설지 않다. 대중적인 지지를 확보할 수 있고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서사는 다양한 콘텐츠로 재생산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본풀이는 제주의 옛이야기이면서 현재의 이야기이다. 본풀이에 등장하는 서천꽃밭은 자연의 생명력이 인간의 생명력을 좌우할 수 있고 우주와 자연과 인간의 운명이 결합되어 있다는 사유가 반영된 서사적 공간이다. 서천꽃밭은 인간의 죽음을 넘어서고자 하는 극복의지이고 그것을 넘어선 또 다른 세상을 꿈꾸는 곳이기도 하다.
서천꽃밭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는 와 , , 에 나타나 있다. 본풀이는 제주 사람들의 삶이 잘 반영되어 있는 서사이다. 본풀이의 구조와 인물의 형상화, 가치관 등을 통해 제주 사람이 인간에게 주어지는 여러 사건과 현상들을 대응하는 방법들이 행위를 통해 드러난다.
서천꽃밭은 인간을 위안하는 곳이며, 삶에 대한 깊은 철학이 반영된 곳이다. 서천꽃밭에서 꽃은 생명으로 태어나고, 생명을 다시 살리고, 죽게도 만든다. 꽃과 사람은 운명공동체란 의미다. 서천꽃밭의 꽃의 순환 원리는 곧, 생명의 순환 원리로 작용한다. 생명의 순환 원리에는 생명의 탄생, 성장과 성숙, 죽음과 환생이 포함된다.
서천꽃밭을 문화콘텐츠로 활용한 기존 사례는 문학, 공연, 전시, 이미지, 설치미술, 퍼포먼스에서부터 보드게임, 축제, 테마 거리 등 매우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기존 사례에서 서천꽃밭을 인간의 영혼을 꽃으로 담아낸 인간 생명의 본원적인 공간이자 굿을 통한 신화적 상생의 공간으로 잘 표현했다. 서천꽃밭이라는 공간을 신화적, 상상적 공간으로 그려내며 신성성을 한층 가깝게 표현해내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서천꽃밭을 직접 공감할 수 있는 상시적인 장소 콘텐츠가 매우 미흡했다. 서천꽃밭은 우리의 상상 속 장소이다. 이로 인해 다양한 콘텐츠로 형성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더욱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장소성 부분에서 활용되지 못한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서천꽃밭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으로 서천꽃밭만이 가지고 있는 신비하고 신화적인 장소성에 생명의 순환 원리를 반영하여 제주다움을 살린 서천꽃밭 테마공원 ‘꽃풀이’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꽃풀이’란 서천꽃밭의 ‘꽃’과 본풀이의 ‘풀이’의 의미를 조합한 이름이다. 전체적인 기획 원리는 ‘꽃은 곧, 생명’이고 이를 기반으로 기획 방향은 꽃의 순환 원리와 생명의 순환 원리다. 슬로건은 ‘꽃을 풀다. 삶을 풀다’로 정하여 의 ‘사라도령’과 ‘원강아미’를 주인공으로 Main Story를 정하였다. 핵심테마는 ‘생명’으로 서천꽃밭의 원리를 분석한 자료를 근거로 4개의 꽃밭으로 구성하였다. 생명의 꽃밭을 메인으로 정하고 제1꽃밭은 ‘봄: 탄생’, 제2꽃밭은 ‘여름: 성장’, 제3꽃밭은 ‘가을: 성숙’, 제4꽃밭은 ‘겨울: 죽음, 환생’을 테마로 구성하였다.
서천꽃밭 테마공원 ‘꽃풀이’가 실제로 조성된다면, 제주지역의 본풀이와 서천꽃밭이라는 소재가 장소와 결합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사회적인 연대감과 자부심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관광객들에게는 제주의 매력을 발산하여 제주의 문화를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주다운 것을 알릴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제주의 문화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어 테마공원을 구성하는 논의가 좀 더 확장되었으면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 사례에 다소 부족했던 서천꽃밭의 구체적 양상과 의미가 대중들에게 좀 더 전달되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ypify the symbolism of the Seocheon flower garden shown in Bonpuri, and to suggest ways to utilize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is.
‘Bonpuri’, a myth of Jeju, is a narrative that explains the process from exorcism to a god being revered as the current aspect. The biggest attraction of Bonpuri is the vitality that has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Bonpuri, which is still being sung in exorcism over time and remains transformed in legends, folktales, and novels, has a strong vitality that has been shared by many people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It is not strange that Bonpuri with vitality and cultural contents combine. This is because narratives based on universality can secure popular support and have the power to be reproduced in various contents.
Bonpuri is an old story of Jeju and a present story. The Seocheon flower field that appears in Bonpuri is a narrative space that reflects the thought that the vitality of nature can influence the vitality of human beings and that the universe, nature, and human destiny are combined. The Seocheon Flower Field is a place where people have the will to overcome death and dream of another world beyond it.
How Seocheon Flower Garden was formed and what characteristics it has are shown in , , , and . Bonpuri is a narrative that reflects the lives of Jeju people well. Through the structure of Bonpuri, the shaping of characters, and values, the ways Jeju people respond to various events and phenomena given to humans are revealed through their actions.
The Seocheon Flower Field is a place that comforts people and is a place where a deep philosophy about life is hidden. In the Seocheon Flower Garden, flowers are born as life, revive life, and make death. It means that flowers and people are a community of destiny. The principle of circulation of flowers in Seocheon Flower Garden works as the principle of circulation of life. The life cycle principle includes the birth of life, growth and maturation, death and reincarnation.
Existing cases of using Seocheon flower fields as cultural contents have been investigated in a variety of ways, from literature, performances, exhibitions, images, installation art, and performances to board games, festivals, and themed streets. In the existing case, the original space of human life in which the human soul is captured in flowers using the Seocheon flower garden as a material, and the space of mythical coexistence through exorcism are well expressed. It played a role in expressing the sacredness more closely by portraying the space of Seocheon Flower Garden as a mythical and imaginary space. However, there was a lack of permanent place content that could directly empathize with the Seocheon flower garden. The Seocheon Flower Field is a place in our imagination. Although it can be formed into various contents, it is regrettable that it has not been utilized in the part of the place that can be more easily approached by people.
As a way to utilize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Seocheon Flower Field, we proposed a plan to organize the Seocheon Flower Field theme park, 'Kkotpuri', by reflecting the circulation principle of life in the mysterious and mythical place that only Seocheon Flower Field has. ‘Kkotpuri’ is a name that combines the meaning of ‘flower’ in Seocheon Flower Field and ‘Puli’ in Bonpuri. The overall planning principle is 'flowers are life', and based on this, the planning direction is the principle of circulation of flowers and the circulation of life. The slogan is ‘unpack the flowers. Solving life' was decided as the main story with 'Saradoryeong' and 'Wongangami' of as the main characters. The core theme is 'life', and it is composed of four flower fields based on data analyzing the principles of Seocheon flower fields. The Flower Garden of Life is set as the main theme, the 1st Flower Garden is 'Spring: Birth', the 2nd Flower Garden is 'Summer: Growth', the 3rd Flower Garden is 'Autumn: Maturity', and the 4th Flower Garden is 'Winter: Death, Rebirth'. composed of.
If ‘kkotpuri’, a Seocheon flower garden theme park, is actually created, the material of Jeju’s Bonpuri and Seocheon flower garden will be combined with the place to form a sense of social solidarity and pride for local residents. Tourists will be able to introduce the culture of Jeju by exuding the charm of Jeju. It is hoped that it will also help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of constructing a theme park will be expanded a little further by recognizing what can be known about what is Jeju-like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prepare a foothold for Jeju's culture to spread to the worl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hoped that the specific aspects and meaning of the Seocheon flower garden, which were somewhat lacking in the existing cases, will be conveyed to the public.
Author(s)
김은정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72
Alternative Author(s)
Kim Eun J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허남춘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1
2. 연구 대상 및 선행 연구 검토 3
제2장 연구대상 정의 및 특성 17
1. 문화원형의 개념과 특성 17
1) 문화원형의 정의 17
2) 문화원형의 보편성과 특수성 18
2. 본풀이의 특성과 가치 22
1) 본풀이의 유형과 특성 22
2) 본풀이의 민족문화원형 가치 29
3) 서천꽃밭의 의미 32
3. 문화콘텐츠 개념과 가치 40
1) 문화콘텐츠의 개념 40
2) 본풀이의 문화콘텐츠 가치 42
제3장 본풀이에 나타난 서천꽃밭의 양상과 의미 49
1. 본풀이에 나타난 꽃의 상징 49
1) 천지왕본풀이 51
2) 삼승할망본풀이 64
3) 이공본풀이 74
4) 세경본풀이 80
5) 문전본풀이 84
2. 서천꽃밭의 상징성 89
3. 서천꽃밭의 상징과 변환 원리 97
1) 생명 탄생의 상징 98
2) 성장과 성숙의 상징 101
3) 죽음과 환생의 상징 107
4) 긍정과 부정의 조합 원리 109
제4장 문화콘텐츠 사례 분석 115
1. 문화콘텐츠 현황 115
2. 문화콘텐츠 사례 118
1) 문학 콘텐츠 118
2) 시각 콘텐츠 125
3) 공연 콘텐츠 134
4) 복합 콘텐츠 146
5) 장소 콘텐츠 159
3. 서천꽃밭의 문화콘텐츠 특징 161
제5장 문화콘텐츠 전환 과정 164
1. 문화콘텐츠로서 서천꽃밭의 가치 164
1) 이상향으로서 서천꽃밭 164
2) 서천꽃밭의 현재성 169
2. 서천꽃밭의 공간 이미지화 171
1) '공간'과 '장소'의 개념 171
2) 서천꽃밭의 장소성 174
3. 서천꽃밭의 장소 문화콘텐츠 전환 방법 179
제6장 테마공원 조성 방안 182
1. 테마공원 개념과 유형 182
2. 문화콘텐츠 기획 방향과 전략 188
1) 기존 테마공원 사례 분석 188
2) 기획 방향과 테마 구성 방법 192
3) 계절과 색의 상징성 196
3. 세부 주제 구성 내용 201
1) 제1꽃밭: 탄생꽃밭 204
2) 제2꽃밭: 자람꽃밭 205
3) 제3꽃밭: 이룸꽃밭 206
4) 제4꽃밭: 환생꽃밭 207
4. 공간 구성 배치 및 이동경로 209
1) 스토리 네트워크 방식 209
2) 세부 공간의 설계 및 이동경로 211
5. 프로그램 구성 양식 214
1) 전시 행사체험 양식 214
2) 디지털 전시체험 양식 215
제7장 결론 218
참고 문헌 222
Abstract 23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은정. (2023). 서천꽃밭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