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장애인고용업체 종사자의 장애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mong Employees in companie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장애인 1명 이상 고용된 업체의 비장애인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애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장애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장애인 고용 확대와 활성화 발전 방안에 대한 실천적인 제언을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제주지역 장애인 1명 이상 고용된 업체의 비장애인 종사자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총 267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 장애인식,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영향을 확인하고자 빈도분석, 기술통계, 차이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개인적 특성을 요약하면, 성별은 여성이 많았으며, 나이는 39세 이하가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이 많았다. 근무형태 특성을 요약하면, 직장유형은 사회복지 관련 기관 및 시설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직장규모는 50인 이상~100인 미만이 가장 높았고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 근무시간은 종일제, 월평균 임금은 300만원 미만, 계약형태는 정규직, 업체위치는 제주시가 많았다. 장애동료 근무경험은 경험이 있다, 근무경력으로 5년 이하가 가장 많았다.
둘째, 주요 변수 간의 차이 검증 결과 장애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개인적 특성은 나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50세 이상에서 장애인식이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 특성에 따른 차이는 직장유형, 직장규모, 업체 위치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장유형은 일반사업체가 장애인식이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직장규모의 경우, 10인 미만에서 장애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업체 위치의 경우 서귀포시가 장애인식이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개인적 특성은 성별, 나이, 결혼 상태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은 남자가 여자보다 조직몰입이 더 높게 나타났다. 나이의 경우 50세 이상이 가장 높았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조직몰입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근무형태의 특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개인적 특성은 나이와 결혼 상태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나이는 50세 이상, 결혼 상태는 기혼일 때 직무만족이 더 높았다. 직무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근무형태 특성에 따른 차이는 월평균임금과 장애동료 근무경험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월평균 임금 300만원 이상, 장애 동료와 같은 부서 근무경험한 사람이 직무만족이 더 높았다.
셋째, 부정적인 장애인식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부정적인 장애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해보면, 장애인식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인 장애인식이 다른 변인들보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낮아지게 하는 것을 변인임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실천적인 제언하면 첫째,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의 맞춤 교육 세분화를 통해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질 높은 교육과 직‧간접적인 경험의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제주지역 업체 특성인 영세한 업체일수록 다양한 과업들을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생산적 확보가 필요하다. 장애인 종사자의 역량강화, 책임감 향상 그리고 전문성 향상을 위해 시대적 흐름에 맞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훈련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셋째, 동료 근로자와의 함께 일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인 적극적인 장애인 고용 확대와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를 통한 하나의 일원으로서 동등하게 대우하고 모든 근로자가 조직 내에서 공정하게 대우받는 조직문화 구축이다.
본 연구는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전환을 유도하고, 장애의 올바른 이해로 편견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서로가 조직의 일원으로서 동등하게 대우하고 공정한 기회를 받는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disability by examining how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argeting non-disabled workers in companies that employ one or more disabled people in Jeju. It also aim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on ways to expand employment and vitalize development, which are resonable and constructiv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non-disabled employees in companies employing one or more disabled people in Jeju. A total of 267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the analysis metho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when summarizing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females by gender, and the most common age was 39 years or younger. The highest leve of education was college graduation, and most of them were married. When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 type, the type of work was slightly higher in social welfare-related institutions and facilities. The workplace size was the highest with 50 or more and less than 100 employees, working hours were all-day, average monthly wage was less than 3 million won, contract type was full-time, and the location of the many businesses was Jeju-si. Having experience of working in the same department with colleagues with disabilities and work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were the most common.
Second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individual charateristic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it was found the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was the most negative in the age of 50 or olde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yp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workplace type, workplace size, and workplace location. Regarding the type of workplace,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is more negative in general businesses, and in terms of workplace size, it was negative in those with less than 10 employees.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is more negative in businesses located in Seoguipo-si.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immersion were only i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In terms of gender, males showed higher organizational immersion than females. In terms of age, those over 50 had the highest rate. In regards to marital status, married people showed higher organizational immer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work.
Personal characteristic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age and marital statu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 age was over 50 and workers were married.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 type characteristic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were found only in average monthly wages and work experiences in the same department with disabled colleague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for those who had experience of working in the same department department with disabled colleagues and those who were earning more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f disability, the more negatively the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he higher the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f disability, the more it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o sum up,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affects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c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disability is a variable that lowered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ction more than other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practical sugegstions can be made. Firs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through segmentation of customized education and opportunities for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in the workplac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ductivity that can actively and efficiently solve various tasks for small businesse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Jeju rocal businesses. A diverse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that meets the trend of the times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Thirdly,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all workers are treated fairly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reated equally as a member through positive change in perception of disabilityies, and active expansion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which provides opportunuties to work with fellow workers are urgent tas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ducing a positive change in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finding ways to treat each other equally as members of an organization and receive fair opportunities by escaping from prejudice and streotypes through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uthor(s)
김아현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87
Alternative Author(s)
Kim, Ah-Hy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Department
보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고관우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1
Ⅰ.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6
Ⅱ. 이론적 배경 7
1. 장애인 현황과 경제활동 현황 7
1) 장애인의 개념 7
2) 장애인 현황 8
3) 장애인 경제활동 현황 9
2. 장애인식 10
1) 장애인식 개념 및 장애인식 변화 10
2) 장애인식 요인 13
3. 조직몰입 15
1) 조직몰입의 개념 15
2) 조직몰입의 요인 17
4. 직무만족 20
1) 직무만족의 개념 20
2) 직무만족의 요인 23
5. 선행연구 고찰 25
Ⅲ. 연구의 방법 28
1. 연구대상 28
2. 연구모형 28
3. 가설의 설정 29
4.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29
5. 자료 분석 33
Ⅳ. 연구 결과 34
1.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34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38
3. 주요 변수의 차이분석 38
4.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50
5. 장애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51
6. 장애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53
Ⅴ. 결론 및 제언 55
1. 연구 결과 55
2. 제언 58
3.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1
참고문헌 62
Abstract 67
부록(설문지)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Citation
김아현. (2023). 장애인고용업체 종사자의 장애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