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친수공간으로서 제주시 한천의 건축계획적 활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rchitecture to Utilize Hancheon as the Waterfront Space : Focus on Odeungbong Park in Jeju-si
Abstract
본 연구는 지질적 특성에 의하여 치수의 대상으로만 인식되어온 제주도 하천을 도시민이 친수공간으로서 경험할 수 있도록 건축계획 측면에서의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제주시 동 지역 내 17개 하천 중 ‘좋은 친수공간’으로서 가장 적합한 한천을 포함한 오등봉공원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점·선·면으로 형태화한 건축지침 -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건축배치 및 디자인기법 - 을 분석과 평가의 도구로 사용하고, 이 건축지침에 충족하지 않는 항목에 대하여 건축계획 측면에서 대안을 제시하였다. 점적 요소에 대해서는 공공공간의 접근성과 연계성, 수변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대안 등을 제시하였고, 선적 요소에 대해서는 공간 간의 연계, 대중교통과의 연계, 건물의 외부공간과 편의시설의 선형배치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면적 요소에 대해서는 한천변에서 개방감, 장소성을 강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lternatives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so that urban residents can experience Jeju Island's streams. Among the 17 streams in the Jeju-si, Hancheon, the most suitable stream as a 'good waterfront space', its surroundings, and the related plan including Hancheon are the objects of this study. The architectural guidelines – for creating a water-friendly space, architectural layout and design techniques - in the form of points, lines, and planes, were used as a analysis and evaluation tool. The architectural alternative proposal regarding the item unsatisfied with the guidelines was drawn up. For the Point element, alternative proposal to enhance accessibility, connectivity to the waterfront of public space, for the Line element, such as linkage between spaces, public transportation connection, and linear arrangement of building's outside spa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Plane element, to enhance the sense of open and place along Hancheon were presented.
Author(s)
김자림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92
Alternative Author(s)
Kim, Jar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박정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3. 제주도 하천 유역 3
Ⅱ. 친수공간 정의 및 요건 도출 5
1. 친수공간 정의 5
2. 선행연구 조사 6
3. 친수공간 '입지요건' 및 '건축지침' 도출 9
Ⅲ. 친수공간으로서 한천의 평가 및 조사 11
1. 친수공간으로서 한천의 평가 11
2. 오등봉공원 민간특례사업 17
3. 현장조사 19
Ⅳ. 분석 및 평가 22
1. 가이드라인의 형태화 22
2. 분석 및 평가 24
Ⅴ. 구상안 도출 45
1. 점적 요소의 구상안 제시 45
2. 선적 요소의 구상안 제시 48
3. 면적 요소의 구상안 제시 50
Ⅵ. 결론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자림. (2023). 친수공간으로서 제주시 한천의 건축계획적 활용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rchitectural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