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Smart Tourism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Applying the Extended TechnologyAcceptance Model on Continuous Use Intention : The Regulating Effect of Self-Efficac
Abstract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 등이 대중화, 일반화되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은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숙박, 여행 정보등을 이용자가 직접 예약하고 이용하며, 스마트관광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관광산업의 변화로 인해 스마트관광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는 소비자 행동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구성요인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의 요인과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이 관광객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2023년 4월 18일~4월 21일 4일간 제주국제공항에서 내국인 관광객 3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설문지 구성은 크게 스마트기기의 활용,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기술의 수용, 지속적 사용의도, 자기효능감, 인구 통계학적 특성의 6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0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여 제주도에서 스마트 관광을 경험한 내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크게 7가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후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가설을 검증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을 제외한 정보성, 개인화, 상호작용은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둘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지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요인이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유용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지각된 용이성은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에 따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그 기반이 될 수 있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기술 수용에 대한 용이성, 유용성과 실제 관광객이 스마트기기를 통해 관광정보 및 서비스를 수집, 사용하고자 하는 지속적 사용의도를 실증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관광객의 관광 의사결정과 소비자의 행동 변화연구, 스마트관광의 개념, 역할에 대한 연구, 스마트관광의 가치 확대를 위한 연구 등 소비 행동을 분석하는데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을 통해 관광을 경험하는 관광객의 행동을 설득력 있게 해석하기 위해 기존에 이루어지지 않은 ‘자기효능감’의 요인을 조절효과로 검증하였다. 이는 스마트관광을 경험하는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의도를 강화시키는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have become popular and generalized, affecting society as a whole. In particular, in the tourism industry, users directly book and use accommodation and travel information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paradigm is changing to smart tourism. As such, research on smart tourism is being actively conducted due to changes in the tourism industry, but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consumer behavior research, and research on the compon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t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and the perceived ease and usefulness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n tourists' intention to use it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30 Korean tourists at Jeju International Airport for four days from April 18 to April 21, 2023, and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ix parts: smart device utilization,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technology acceptance, continuous use intention, self-efficac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2.0 and AM0S 22.0.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through prior research and established seven major research hypotheses for Korean tourists who experienced smart tourism in Jeju Island. After that,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on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veness,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on, excluding accessibility. Second, the effect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on perceived eas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ll factors. Third, the effect of perceived ease on perceived useful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Fourth,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and perceived ea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sitive (+).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due to self-efficacy.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smart tourism is emerg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s the propertie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that can be the basis and demonstrates the ease and usefulness of technology acceptance and the intention of actual tourists to collect and use tourism information and services. Looking at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umption behavior such as research on tourism decisions of tourists and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research on the concept and role of smart tourism, and research to expand the value of smart tourism. However, in order to convincingly interpret the behavior of tourists experiencing tourism through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this study verified the factors of "self-efficacy"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made as a moderating effect.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intention of tourists experiencing smart tourism to continue to use it.
Author(s)
양회찬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383
Alternative Author(s)
Yang, Hoi Ch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관광개발학전공
Advisor
정승훈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 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 3절 연구의 구성 4
제2장 이론적 고찰 6
제 1절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6
1. 스마트관광의 개념 6
2.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11
제 2절 기술수용모델(TAM) 15
1. 기술수용모델의 개념 15
2.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19
3. 지속적 사용의도 24
제 3절 자기효능감 27
1. 자기효능감의 개념 27
2. 정보기술분야의 자기효능감 28
제3장 연구설계 32
제 1절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32
1. 연구모형 32
2. 가설 설정 33
제 2절 조사설계 37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37
2. 설문지 구성 41
3. 표본의 구성 41
4. 분석 방법 42
제4장 실증분석 43
제1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및 기술통계 43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3
2. 응답자의 스마트폰 사용 특성 45
3. 측정 항목의 기술 통계량 분석 47
제2절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48
1. 신뢰성 검증 48
2. 탐색적 요인분석 48
제3절 확인적 요인분석 51
1. 상관관계분석 51
2.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및 적합도 52
3. 집중타당도 분석 53
4. 판별타당도 분석 56
제4절 가설검증 57
1. 구조모형 적합도 검증 57
2. 구조 모형의 경로분석 59
3. 조절효과 검증 63
4.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요약 65
제5장 결론 66
제1절 연구의 요약 66
제2절 연구의 시사점 69
1. 학술적 시사점 69
2. 실무적 시사점 70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2
참고문헌 74
부록 8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회찬. (2023).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Data Science for Sustainable Growth > Tourism Develop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