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 경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homeroom teachers participating in ‘complementary program for learning competency’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in what context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mpetence Help Program’, what they experience while operating the ‘Learning Competence Help Program’, and what meaning they give to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or exploration.
First, in what context do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Second, what do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perien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Third, what meaning do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ttach to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To this end, the researcher appli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to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homeroom teachers working at A elementary school in the eastern area of ​​Jeju-si, literature on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resolve educational deficits and guaranteeing basic academic abilit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operation plan of A elementary school.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of Moustakas (1994) and categorized into 3 upper categories, 12 middle categories, and 24 lower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to ensure basic academic ability was made in the contex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chool’s operation plan. The deepening of educational deficits due to COVID-19 affected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ies,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1st Comprehensive Plan for Guaranteeing Basic Academic Abil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operation plan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was operated.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re all accepting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a curriculum supplement program to resolve educational deficits, but the degree of acceptance was different. In order to resolve educational deficits, they sympathized with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and recognized that guiding students subject to learning support was a teacher's job, so they took an active attitude of acceptance. It was recognized and accepted.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d with the frustration of starting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without guidance or guidance on how to teach, and the burden of having to produce results because they are teaching while receiving a guidance allowance. However, sh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guided teachers by discovering students' willingness to study, expressing gratitude from parents, and strengthening teachers' internal motivation through generous support from the education office and schools. However, she felt difficulties in guiding students who were subject to learning support due to the students' willingness to be disconnected, the parents' rejection reaction, and the difficulty of securing time and space. Despite these difficulties, teachers have come to recognize their calling so that they can focus on the students' self-esteem, the defining domain, rather than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ird,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students experienced growth not only in terms of results but also in terms of definition. Therefore, teachers felt the need for teachers' efforts to understand students such as learning disabilities and slow learners in order to teach students well and to put in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securing time and space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It was felt that institutional support was needed to enable immediate support from the new semester by adjusting the period of environmental support such as reduction and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to the end of the school year. In addition, they agreed that the will of students and the cooperation of parent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guidance of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nvironmental, financial, institutional support and school's temporal·spatial support that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requires effor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 level, and the individual teacher level. We suggest support for creating an environment, change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growth, and efforts to develop professional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out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petency Help Program' for incumbent teachers.|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이 초등교사에게 과연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 그들의 생생한 경험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어떤 맥락에서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연구자는 질적 연구 가운데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교육결손 해소 및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부의 정책,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과 A 초등학교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운영 계획의 문헌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제주시 동지역 A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담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했고, 수집한 자료는 Moustakas(1994)의 연구 절차에 따라 3개의 상위 범주, 12개의 중위 범주, 24개의 하위범주로 분류, 해석하였다.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교육부의 정책,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학교의 운영 계획이라는 맥락 속에서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해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교육결손의 심화는 교육부의 정책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교육부의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수립,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운영 계획 수립으로 이어져 제주도 내 모든 초등학교에서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다. 6명의 연구참여자 모두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을 교육결손 해소를 위한 교과보충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이를 수용했지만, 수용 정도는 달랐다. 어떤 연구참여자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운영 취지에 공감하며 지원 대상의 학생 지도를 ‘교사의 직무’라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한 반면, 어떤 연구참여자는 교육청에서 프로그램 진행 정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마지못해 참여하는 소극적 자세를 보이기도 했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프로그램의 진행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했다. 처음에는 매뉴얼이나 지도 방법에 대한 안내 없이 시작하는 것에 대한 답답함과 지도수당을 받으면서 지도하는 것이기에 성과를 내야 할 것 같은 부담감을 안고 시작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공부하려는 의지 발견, 학부모의 감사 표현, 교육청과 학교의 후한 지원 등을 통해 교사의 내적 동기를 강화하며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지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학습 의지의 단절, 학부모의 거부 반응, 시·공간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지원 대상 학생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을 느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몇몇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결과보다는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인 자존감에 중점을 두고 가르치는 것을 교사의 소명으로 재인식하게 되었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년별 지도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느꼈다.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신과 교육관과 기초학력 정책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되었다. 우선, 지도 결과뿐만 아니라 지도 과정에서 학생의 정의적 성장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래서 교사들은 학생들을 잘 가르치려면 학습장애가 있거나 느린 학습자를 잘 이해하고 각 학생의 특성에 맞는 지도 방법을 투입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나아가 교사의 전문적 연구 노력과 함께 대상 학생 지도에 필요한 시·공간의 확보 및 학급별 학생수 감축 등 환경적 지원, 기초학력진단검사 시기를 학년말로 조정하여 새 학기부터 바로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느꼈다. 끝으로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학생의 의지와 학부모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교육부 및 교육청에게는 환경적, 재정적, 제도적 지원, 학교에게는 시․공간적 환경조성 지원, 교사에게는 학생 성장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전문성 신장 노력 등을 제언했다. 이 연구는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가 현직 교사들에게 부여하는 생생한 의미를 찾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Author(s)
양지선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416
Alternative Author(s)
Yang ji s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전공
Advisor
김민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기초학력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6
2.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기초학력 정책 12
3. 교사의 직무 및 처우에 비추어 본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15
4. 선행연구 고찰 17
Ⅲ. 연구 방법 21
1. 현상학적 연구 방법 21
2. 연구참여자 23
3. 자료 수집 27
4. 자료 분석 28
5. 연구의 타당도 확인 31
6. 연구자의 위치와 연구 윤리 32
Ⅳ. 연구 결과 34
1.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의 맥락 34
2.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 경험 45
3.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의 의미 55
Ⅴ. 논의 및 결론 61
1. 논의 61
2. 결론 및 제언 64
참고문헌 68
참고자료 71
Abstract 73
부 록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지선. (2023).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학습역량 도움 프로그램” 참여 경험.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8-14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